일요일 아침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대담 프로그램을 보았는데... 이주호 교과부 장관, 김상곤 교육감, 그리고 교총과 전교조에서 한 명이 나와 질문을 받고 이야기를 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최근에 불거진 학생 체벌 중에서 간접체벌을 놓고, 찬반을 이야기하였는데... 

간접체벌이란, 도구를 이용해 신체에 압력을 가하는, 즉 때리는 행위가 아닌, 신체를 힘들게 하는 벌, 예를 들면 엎드려 뻗치기, 앉았다 일어나기, 운동장 돌기 등을 말한다. 

흔히 군대에서 말하는 얼차려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이 간접체벌마저 없애면 학생들 지도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입장이 교과부와 교총의 입장이고, 간접체벌도 체벌이기에 학생의 인권을 위해서는 간접체벌도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김상곤 교육감과 전교조의 입장이었다. 

이게 논란거리가 되는, 텔레비전에서 방영이 되는 자체가 한심스럽다. 

학생은 학생이기 전에 사람이다. 즉 사람으로서의 권리를 당연히 누려야 한다. 이게 인권이다. 학생은 그 다음이다. 그러므로 인권을 생각한다면 간접체벌도 체벌이므로,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므로 당연히 금지되어야 한다. 논란거리가 될 여지가 없는 문제를 가지고 아직도 왈가왈부하고 있다니... 

그러니 이런 책이 아직도 유효하지.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학생을 교사와, 또 어른과 동등한 사람으로 본다면 체벌에 관한 논의는 이미 끝났어야 했다. 간접체벌도 체벌임을, 학생을 사람으로 보기보다는 가르쳐야 할, 만들어야 할 대상으로 보았을 때나 간접체벌 허용 운운이 가능하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존중받은 사람이, 인권적으로 자라난 사람이 인권을 존중하는 사람으로 성장한다는 사실,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쌍용자동차 노조 문제가 해결된 지가 제법 되었는데도, 약자인 노동자들은 계속 죽어가고 있다. 

벌써 몇 명째인지. 

약자가 이렇게 죽어가는 나라에서 복지는 무슨? 

노동자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정당도 생긴 나라에서, 노동조합 조직율이 30%도 안 되는 현실. 

파업만 하면 불법이 되는 현실. 

40년 전에 전태일이 외쳤던 그 말들을 지금도 외쳐야 하는 현실. 

맘이 무겁다. 

이제는 전태일이란 이름을 역사 속에 묻어두어야 하지 않나... 

아직도 이 땅에 얼마나 많은 전태일이 계속 나와야 할까. 

이 전태일 평전이 아직도 우리에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니, 우리 현실을 직시하자. 국민의 대대수가 노동자 아니던가. 쌍용차 노동자들 이야기가 남 얘기가 아니다. 진정한 복지국가를 꿈꾼다면 이러한 사람들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고픔을 각오하지 않고 예술을 할 수 있을까. 예전 예술가들의 생애를 읽다보면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가난이 나오지 않는 예술가가 별로 없던데... 생전에는 배고픔에 시달렸으나 죽어서 유명해져 그의 작품들만은 엄청난 가격을 유발하는.

물려받은 재산이 많아 취미로, 또는 한 순간의 성공으로 배고픔을 면하고도 예술을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생계를 걱정해야 한다. 아니 어떤 예술가들은 끼니를 걱정해야 한다. 

한 시나리오 작가의 죽음이 예술가들에겐 남의 일이 아닐 터이고, 자식들이 예술에 종사하겠다고 하면 부모들이 걱정부터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오늘자 한겨레 신문의 한 제목 예술계통으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 이야기.

"등록금 비싼데 작업실은 열악" "졸업 뒤 계획 제발 묻지 마세요" 

이게 마음에 잘 다가오지 않으면 이 만화들을 보자. 

최규석의 "생태습지 보고서" 그리고 "울기엔 좀 애매한" 

미대생들의 열악한 생활환경을, 미대에 진학하려는 돈없고, 빽없는 학생의 비애를 너무도 현실적으로 잘 그려내고 있다. 그렇다고 우중충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그의 만화에는 나름대로 유머가 있다. 이 유머가 현실을 가리기만 하지도 않고, 오히려 현실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누구는 몇십억짜리 그림을 집에다 떡 걸어놓고 산다는데, 예술가들이 생계를 걱정하지 않고 자신들의 꿈을 펼칠 수 있는 세상, 그게 언제쯤 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주노동자 대표 미셸 씨를 강제 출국조치하겠다는 기사가 뜬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일을 해 우리나라 경제에 이바지한 사람들. 

그들을 우리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그들을 우리와 같은 사람으로 대우하고 있는가? 

무슨 기계처럼 필요할 때 부려먹고, 더이상 필요가 없다면 헌신짝 버리듯 버리는 것이 과연 선진국일까? 

선진국 운운하기 전에 사람에 대한 기본 예의, 이것 자체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원주민이 아니라, 선주민이란 생각을 지녀야 하고, 이 땅에 사는 사람은 누구나 우리와 똑같은 권리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에 이주노동자로 와서 온갖 수모를 당하는 사람들. 

그들은 이주노동자이기 전에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겠다. 

몇 년 전 마음 아프게 읽었던 찬드라 씨 얘기.. 이게 아직도 반복되고 있다니... 

나라의 국격 운운하기 전에.. 우리 먼저 이주노동자 운운하기 전에 그들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임을, 즉 사람을 사람으로 대우하는 태도를 지녀야겠다. 

이 책들 읽어보자. 그러면 쉽게 이들을 강제출국시킨다는 말을 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자신을 잃게 된다. 

내 몸의 주인이 나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몸에 대해 말할 권리가 없어진다. 

오직 의사의 말에 순응하는 말 잘듣는 순한 양이 될 뿐이다. 

일리히는 병원이 병을 만든다고 했는데, 말 그대로 병원이 진짜 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병원이라는 제도로 인해 병이 아닌 것들도 병으로 인식된다는 얘기겠지. 

몸을 기관으로 해부하고 어떤 기관이 잘못되었는지를 진단하는 병원. 

예전 같으면 그냥 넘어갈 문제도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하고 치료를 안 하면 큰 문제가 발생하는 양  병원은 우리를 그렇게 만든다. 

전체로서의 나는 신체의 각 부분의 나로 분해가 되고, 결국 나는 하나의 기계에 불과해진다. 

가기 싫지만, 가지 않을 수 없고, 거부하고 싶지만 거부하지 못하는 거대한 권력. 그것이 바로 병원이다. 

언제끔 나는 내 몸의 주권을 되찾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내 몸의 권리를 내가 행사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