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학교랑 유치원 보낼려고 챙기느라 한참 바쁜 시간에 엄마가 커다란 검정 비닐봉지에 뭔가를 한아름 안고 오셨다. "엄마, 그거 뭐꽝? 오늘 일 안 가멘?" 했더니 '사슴제골'  이라신다. 웬 거냐고 물었더니 며칠전에 이모님을 만났는데 이말저말 하다 봄이라 그런지 영~ 기운이 없다고 하자 이모님도 그래서 아는 사람 소개로 '사슴제골'을 해다 먹었더니 괜찮은 것 같다고 하셔서 엄마도 부탁을 했었단다.

그래서, 그 '사슴제골'이 토요일날 왔는데 아무래도 목에 넘어가지 않아서 가지고 왔단다. 요새, 살이 쭉쭉 빠져보이는 임서방이랑 나랑---난 덤이란다--- 나눠 먹으라면서 자기도 다음달 쯤에 다시 해 먹을려고 생각중이라시면서 단서를 붙이였다. "공짜, 아니여이. 20만원 주라" 하신다. 그 순간 나도 모르게 "에이, 돈도 없어 죽겠는데!" 하고 툭 내뱉어 버렸다. 그러자 엄마가 "무사, 고기 주문 어시냐"  하셔서 "그냥, 며칠에 한번씩 와" 했다.

그러자, 엄마가 갑자기 벌컥 화를 내시며 "게매, 경허난 무사 너까지 직장은 그만뒁 이모냥이냐. 애들은 쑥쑥 커강 돈도 하영 들건디. 아무튼 니네만 보민 속상핸 못 살켜. 둘 다 그냥 직장을 다니라. 달믄 얼마라도 고정으로 나 오는게 이서사주. 이게 뭐니?  나 가켜!" 하시면서 그냥 나가 버리셨다. "엄마, 커피라도 마셩가" 했더니 "일 갑쪄" 하시고는 뒤도 안 돌아보고 가신다.

에구구, 정말 내 입이 방정이다. 그리고, 갑자기 이래저래 생각이 많아진다. 휴~.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7-04-09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힘내세요. 조금 있다 어머니께 전화하세요.

무스탕 2007-04-09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니도 속상하셔서 한 소리 하신거니까 크게 맘상해 하지 마세요.
같이 목욕탕에서 만나셔서 서로 등밀어 드리면 언제 그랬냐 하실거에요 ^^

프레이야 2007-04-09 1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수맘님, 엄마랑은 한번씩 부딪히게 되는 일이 잦죠. 그게 다 마음이 살가워서
그런거에요.^^ 속상하시더라도 기운내시고 어머님은 벌써 잊으셨을거에요.
근데 님, 제주방언이 재미나요. "일 갑쪄"..

비로그인 2007-04-09 1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사투리는 제주도인가요?
내용은 일상적인데 문장체가 아주 독특하네요.

어머니와 딸의 대화가 다 그렇죠.
어머니는 화내시는것 같아도 결국 자식 걱정때문에 나오는 이야기니까요.
어머니께 전화드려 보세요,언제 그런 얘기했냐는 듯 다시 얘기시작될걸요.
그래도 행복해보이십니다.

소나무집 2007-04-09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 우리 시어머니랑 형님이 얘기하는 것 같네요.
전화해서 오늘 주문 많이 들어왔다고 말씀 드리면 기분 금방 좋아지실 거예요.

울보 2007-04-09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조금 있다 전화하세요,
하루종일 얼마나 속상하시겠어요
마음이 아프실거예요,,홍수맘님도 하루종일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거잖아요

홍수맘 2007-04-09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울보님>네. 점심시간 지나서 "밥 먹어수광" 라고 시작해서 전화해 봐야겠어요.
무스탕님>네, 조만간 비 오는날 또 목욕탕팅을 해야겠죠?
배혜경님>승연님> 사실, 엄마랑 저랑 좀 더 심하게 사용하긴 하는데요 그걸 표현할 재주가 없어 살짝 완화시킨 거랍니다. ㅋㅋㅋ
소나무집님>님에게 정말 그렇겠네요. 네 얼렁 주문전화가 와 나중에 엄마랑 통화할 때는 좀 더 밝게 얘기가 오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2007-04-09 11: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홍수맘 2007-04-09 1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님>그런 얘기까지 해 주시다니.... 넘 감사드려요. 네 많은 위로가 됬어요. 알라딘 서재의 매력 중 하나, 이런 위로받음도 있지않나 싶어요.

미설 2007-04-09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딸이, 엄마가 그런거 아닌가요?라고 생각하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입이 방정은 맞죠^^

홍수맘 2007-04-09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설님> 그쵸? 일단 제 입이 방정입니다. ㅋㅋㅋ

향기로운 2007-04-09 1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구.. 기운내세요. 엄마마음, 부모마음은 다 같을거에요. 홍수맘님이 이해하시고.. 속상한것도 푸세요^^ 보아하니, 다 풀으신모양입니다^^;; 아, 난 맨날 늦는구나..^^;;

마노아 2007-04-09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로의 마음을 너무 잘 아니까 그렇게 되는 것 같아요. 저녁 때엔 또 호호홋 전화할 거죠? ^^

홍수맘 2007-04-09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님>안 늦었어요. ^ ^.
마노아님> 벌써 통화했어요. 일단 아침사건 관련이야기 빼구요, 백수 여동생 시집이나 보내볼까 역적모의를 좀 했다는 ㅋㅋㅋ

향기로운 2007-04-09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그새 풀어지신 홍수맘님.. 그 마음이 바다같이 넓군요^^;;

홍수맘 2007-04-09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님> 과찬이십니다.

2007-04-10 07: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리집 컴의 홈페이지는 네이버이다. 그래서 급할때 댓글이 왔나 안왔나를 확인할 때는 네이버 메일을 우선 확인을 한다. 근데 오늘아침부터 댓글이 E-Mail로 전송이 안 된다. 계속 네이버 메일을 확인하는데 메일이 안와 이상하다 싶어 알라딘에 와 봤더니 2~3개의 새로운 댓글이 있었다. 뭐가 문제지? 서재에서 한참 이것저것 살펴봤지만 도통 모르겠다. 대체 뭐가 문제야?

님들 혹시 이 문제 해결방법을 아시나요? 아시는 분들 가르침 좀 주세요.

여전히 컴에서 헤매고 있는 홍/수맘입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7-04-08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그러니 그러려니하세요. 댓글을 확인하시려면 페이퍼 아래 댓글 부분에 누군가가 남긴 댓글에서 확인해보세요.

홍수맘 2007-04-08 1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역시 님의 댓글도 메일로 안 들어왔답니다. ㅠ.ㅠ
네. 당분간은 불편해도 어쩔 수 없겠어요.

마노아 2007-04-09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다가 밀린 것 한꺼번에 들어오고 그래요. 가끔 그런 일이 있더라구요. ^^

홍수맘 2007-04-09 0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그렇군요. 그럼 맘 편히 기다려 보는 게 낫겠죠? 워낙 소심증에 기계치라서 ^ ^;;;

홍수맘 2007-04-09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궁, 매일 테스도 해봤는데 여전히 안 들어오네요.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치유 2007-04-09 1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알라딘 가끔 그러던데요..그러다가 한꺼번에 들어오는날도 있구요..

홍수맘 2007-04-09 1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꽃님>네, 오늘 오후에 무지하게 멜 들어보고 있답니다. 댓글 달린 속도보다는 느리긴 하지만 말예요. ㅋㅋㅋ
 

작년 연말, 아님 올 연초에 알라딘에서 책을 주문했더니 요상한 것이 들어 있었다. 써있기로는 비누라고 써 있긴한데 도대체 어떻게 쓰는 건지 몰라 한쪽 구석에 쳐박혀 있었는데 어제는 수가 찾아내서는 한참 가지고 놀았다.  갑자기, 알라디너들은 알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러분,  이거 정말 비누 맞아요? 써 있기로는 "스댕비누"라고 써 있긴 한데....

혹시 써 보시분 계신가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7-04-07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 이게 뭐래요? 스탠이면 스테인리스스틸을 말하는 거 같은데 그게 비누 역할을
하나요? 신기해요. 님, 오늘아침 은갈치 다 구어먹었어요. 옆지기는 넘 맛있다고
난리네요. 호호 감사해요^^ 청견도 무지 달고 맛있어요.

홍수맘 2007-04-07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혜경님>그쵸? 선뜻 써 보지도 못하고 궁금해 하고 있답니다.
생선 맛있게 드셨다니 기뻐요. 누군가 저희집 생선 맛있다는 얘기를 해주면 참 행복해 진답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 ^*.

진/우맘 2007-04-07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궁금해서 검색해봤슈. ㅋㅋ

Kompaktseife aus Edelstahl
특수강철로 된 고체비누(아주 딱딱한 비누라는 뜻)

Knoblauch,Zwieble oder Fisch hinterlassen an den Handen einen lang anhaltenden,
unangenehmen Geruch.
마늘, 양파 또는 생선은 손에 아주 오래가고도 기분나쁜 악취를 남기게 됩니다.

Die Kompaktseife aus Edelstahl von Kuchenprofi nimmt die Duftstoffe auf und entfernt sie von der haut.
"Kuchenprofi" 회사의 특수강철로 된 이 고체비누는 향료를 첨가하였고, (기분나쁜)그 냄새들을 피부로부터 제거해줍니다.




*이 비누는  보통 거품이 나는 그런 비누가 아니라, 특이하게 금속으로 되어있고, 물과 닿아서 특수한 작용을 일으켜 냄새를 제거하게 해주는 "Kuchenprofi" 회사의 특허제품인것 같습니다.


진/우맘 2007-04-07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니까, 보통 비누랑 똑같이 쓰면, 냄새 제거 효과가 있다네요. ㅋㅋ 생선가게 홍수네에 아주 적합한 제품인듯.^^ 영구적으로 사용한다고...

홍수맘 2007-04-07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우맘님>우와~. 이런 수고까지....
그렇군요. 모르면 뭐 된다구, 하마터면 수 장난감으로 쓰다가 그냥 쓰레기통으로 직행할 뻔 했답니다. 이젠 믿고 열심히 사용해 봐야겠어요. 감사해요. ^ ^.

2007-04-08 08: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리 옆지기가 한참 신문을 보다가 "읽어봐, 좋아" 하면서 보여준다. 너무 좋아서 다른 이들도 함께 봤으면 해서 올려본다.

 

[판] 글쓰기는 ‘논술’이 아니다

입력: 2007년 04월 05일 17:50:20

 

 <안도현/ 시인·우석대 문창과 교수〉

 

 

아들아, 고등학생이 되고부터 너의 등에는 논술이라는 짐이 하나 더 얹혔지? 비단을 잔뜩 지고 사막을 건너가는 낙타의 등에 또 한 필의 비단을 얹은 꼴 같아 안쓰럽구나. 하지만 너무 두려워하지는 말아라. 이 나라에는 지금 논술을 무슨 신이나 괴물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것을 경배나 지탄의 대상으로 삼을 일만은 아니다. 돈벌이를 목적으로 논술을 요술단지인 양 선전하며 혹세무민하는 자들, 그리고 그 신전에 복채를 갖다 바치지 못해 안달복달하는 가련하고 어리석은 백성들이 문제일 뿐이다 .

 

너는 어느 날부터 아비가 읽어야 할 아침신문을 슬쩍 가방에 넣고 학교로 가더구나. 처음에는 참 매정한 놈이다 싶었는데 나는 용서하기로 했다. 네가 늦은 밤에 돌아와 꺼내 놓는 신문의 귀퉁이가 꽤 너덜너덜하게 해진 것을 보았기 때문이지. 교실에서 동무들하고도 돌려 읽는다니 잘한 일이다. 쓰기의 출발이 읽기라는 것을 이제 조금 알아차린 듯하구나.


아들아,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공부, 가장 확실한 공부가 글쓰기라는 것을 너는 잊지 말기 바란다. 글을 쓰는 순간 머리 속의 지식과 지혜는 뼈와 살이 있는 육체가 된다. 피가 도는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생명체가 된다. 그러니 논술을 대비해서 책과 신문을 읽는다는 생각 따위는 일찌감치 버리도록 하여라. 글쓰기를 진학과 취업의 수단으로만 여기는 한 ‘논술광풍’의 기세는 꺾이지 않을 것이다.


아들아, 너는 부디 글을 잘 쓰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


미래에 작가나 전문적인 집필가가 되라는 말이 아니다. 논술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글쓰기보다 인생을 즐기고 혁신하는 방법의 하나로 글쓰기를 염두에 두라는 말이다.


글을 쓰는 일은 물론 괴로운 일이다. 예를 들면 이 짧은 칼럼 하나를 쓰는데도 아비는 서너 차례 국어사전을 뒤적인단다. 20년 넘게 글에 매달려 살아온 나도 한 편의 글을 쓸 때마다 여간 조심스러운 게 아니다.


그리고 ‘우리 시대 한글 지킴이’로 부르는 이수열 선생님 같은 분의 눈치를 봐야 하지. 이 ‘빨간 펜 선생님’은 신문에 실린 내 글을 보시고 잘못된 문장과 표현을 빨간 펜으로 바로잡아 늘 우편으로 보내주시거든. 글을 쓴다는 것은 이렇듯 배워가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지난달에 독일을 가서 라이프치히 국제도서전을 참관하고 작품 낭독회를 가진 적 있단다. 네 또래 청소년들하고도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그 아이들의 진지한 눈빛을 잊을 수가 없다. 몇 차례 질의응답을 통해서 단순히 외국인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는 것을 나는 알았단다. 그것은 삶을 깊고 넓게 사유하는 자들만이 지닐 수 있는 태도라는 생각이 들었지.


또 하나 감동적인 것은 그 도시의 대학 문예창작학과에 계시는 소설가 강유일 선생의 강의 방법이었단다. 

그이는 지난 학기에 ‘사랑의 해부’라는 주제로 글쓰기 강의를 진행했다고 한다. 그 과정은 그야말로 혹독한 글쓰기 훈련이라는 표현이 적합할 것 같구나. 도서관을 이용한 꼼꼼한 자료수집, 생생한 글을 쓰기 위한 현장답사와 장기간의 여행, 사회 여러 분야의 전문가 초청 특강, 여러 차례의 토론과 합평회가 학기 내내 이루어진다는 거였지. 글을 쓰면서 또 가르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나로서는 부러울 수밖에 없었지.


아들아, 종이와 펜과 알량한 재주만으로 글을 쓰는 시대는 지났다. 글을 잘 쓰려면 너에게 다가오는 괴로움들과 한판 정면승부를 벌여야 한다. 그러니 책을 읽되 부지런히 세상도 읽고, 떠들고 웃되 절망 앞에서 펑펑 소리 내어 울 줄도 알아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나무집 2007-04-08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도현은 제가 좋아하는 시인이랍니다. 퍼갈게요.
저도 우리 아이들이 글을 잘 썼으면 좋겠어요.
공부의 한 수단이 아니라 인생을 즐기기 위해서라는 말이 공감이 가네요.

홍수맘 2007-04-08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나무집> 네, 저도 제일 공감이 되는 부분이었답니다.
 

수요일(4월4일) 저녁 7시에 제주와 대구의 축구경기가 서귀포 월트컵경기장에서 있었다. 난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축구경기 일정을 쫙~ 꿰고 있는 홍이가 학교에서 돌아와서는 계속 성화였다. 특별한 스케줄이 있는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아직은 저녁에는 쌀쌀한 날씨라 계속 안된다고 했더니 이 녀석 "약속은 지키라고 있는 거잖아" 하면서 한마디 톡 쏜다. 에구구, 어쩌랴. 잠들어 버린 지수를 담요에 싸서 업고는 월트컵경기장으로 갈 수 밖에.....



  월드컵 경기장 입구에서 한 컷!

 얼굴이 빨갛게 상기된 홍이의 모습이다. 차에서 내린후로 줄곧 경기장까지 내달리는 홍이를 붙잡고, 협박해서 찍었다.

 

 

 

 



  축구경기를 보면서 빼 놓을 수 없는게 요놈의 먹거리다.

오늘도 금방 잠에서 깬 수는 핫도그, 홍이는 팝콘!

 

 

 

 

 


  후반전, 0-2로 지고 있는 제주팀이 마지막 박차를 가해 점점 흥미를 더해하고 있는 중에....

 

 

 

 

 

 

 

 

 

 



  역시, 수는 축구관람보다는 혼자 즐기는 걸 택했다.

그래도 경기가 끝날때까지 버텨준 게 고맙다.

 

 

 

 

 

 

 

작년까지만 해도 축구경기 관람료가 조금 비싸 한번씩 가려도 해도 좀 부담이 됬었다. 그런데, 올해 들어서 개막전에서도 온 식구가 4,000원을 내고 갔었고, 4월 4일날도 혹시나 했었는데 다행이 4,000원을 내고 경기를 볼 수 있어서 가벼운 맘으로 경기를 관람할 수 있었다.

결과는 1-2로 졌지만 , 그래도 이 한골이 막판 5분전에 터져 준 골이라 그 흥분이 가시지 않아 즐겁게 돌아올 수 있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07-04-06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축구경기 실제 보는 것도 즐거울듯^*^
지난 월드컵때 체육관에 모여 대형스크린으로 볼때의 감동보다도 백배는 즐겁겠죠?

홍수맘 2007-04-06 1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실님>네. 확실히 다르더라구. 저도 축구는 월드컵이 경기 지켜보는게 전부였는데 홍이랑 옆지기 따라다니면서 요즘은 저도 즐기게 됬답니다. ㅎㅎㅎ

물만두 2007-04-06 1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과 함께 운동경기 보는 것도 즐거운 나들이죠^^ 지홍이, 지수 표졍이 좋네요^^

향기로운 2007-04-06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이 정말 즐거워하는 모습이 너무 이뻐요^^ 축구경기장도 다녀오시고.. 부럽습니다^^

홍수맘 2007-04-06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님>네, 잠깐 동안이나마 즐길 수 있어 좋아요.
향기로운님>님도 한번 가보세요. 느낌이 달라요.

마태우스 2007-04-06 2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님처럼 축구장을 찾는 분 덕분에 울나라 축구가 이만큼이라도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무스탕 2007-04-06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축구장에 가서 축구보고 싶어요.. 한번도 못 가봤어요.. 부럽..

홍수맘 2007-04-07 07: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님>감사합니다. 괜히 제가 큰일을 한 것처럼 ㅋㅋㅋ
아참, 마태님 MT 다녀오셨군요. 벤트 당첨자 보러 가야지. 후다닥~
무스탕님>가끔 주말에 한 번씩 갔다오는 것도 좋아요. 소리치다보며 스트레스가 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