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읽는수요일

천년의 바람

천년 전에 하던 장난을

바람은 아직도 하고 있다

소나무 가지에 쉴새 없이 와서는

간지러움을 주고 있는 걸 보아라

아, 보아라 보아라

아직도 천 년 전의 되풀이다

그러므로 지치지 말일이다

사람아 사람아

이상한 것에까지 눈을 돌리고

탐을 내는 사람아

*박재삼 시인의 시 '천년의 바람'이다.

'시 읽는 하루'는 전남 곡성의 작은 마을 안에 있는 찻집 #또가원 에 놓인 칠판에 매주 수요일에 올려집니다.

#곡성 #곡성카페 #농가찻집 #곡성여행 #섬진강 #기차마을 #구례통밀천연발효빵 #들깨치아바타 #곡성천연발효빵

전남 곡성군 오산면 연화길 5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를테면 공갈빵 같은 거
속을 보여주고 싶은데
알맹이 없는 껍질뿐이네
헛다리짚고 헛물켜고
열차 속에서 잠깐 사귄 애인 같은 거
속마음 알 수 없으니
진짜 같은 가짜 마음만 흔들어주었네"

*이임숙의 '헛꽃'이라는 시의 일부다. 열매 맺지 못하는 꽃을 헛꽃이라 부르는 이유야 분명하지만 세상을 살다 보면 어디 참꽃만 있던가. 화려하게 유혹하는 이 헛꽃의 무상함을 알면서도 기대고, 짐짓 모른척하면서도 기대어 그렇게 묻어가는 것들이 삶에서 오히려 빈번하다.

헛꽃은 바라보는 대상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바라보는 내게도 있다. 이런 헛꽃들이 만나 헛세상을 만들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헛꽃이고 헛세상인줄 모른다. 그래서 헛마음으로 사는 헛세상은 늘 힘들고 외롭고 제 힘으로 건너기 버거운 세상이 된다.

헛꽃에 기대어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서툴고 여린 속내를 어쩌지 못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자신만이 참이라 여기는 그 마음에 피어나는 것이 헛꽃이리라. 헛꽃들이 허상을 보고 아우성친다고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헛물켜는 것들은 목소리만 높다.

반영이나 그림자 또한 헛꽃의 다른 이름이다. 실체가 있고 그것을 비춰줄 환경이 마련되었을 때 비로소 나타난다. 때론 실체보다 더 주목을 받기도 하지만 조건만 사라지면 덩달아 없어지는 허망한 것임을 모른다.

"헛꽃만 피고 지는 이 자리
헛되고 헛되니 헛될 수 없어서 헛되도다"

혹여, 내 일상의 몸짓이 이 헛꽃보다 못한 허망한 것은 아닐까. 시인이 경고한 헛꽃의 그 자리를 돌아보는 것은 연일 폭염보다 더한 사람의 허상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마침, 비 쏟아졌다 그친 하늘 아래 한결 가벼워진 공기다. 스치듯 지나가는 바람으로 얼굴은 이내 평화로운 미소를 담는다. 멀지 않은 곳에 가을이 머물러 있음을 알기 때문이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네발란
가까이 두고도 보지 못하는 꽃들이 있다. 이유야 많겠지만 때가 아닌 것으로 여기면 그나마 아쉬움이 덜하다. 이 식물 역시 그랬다. 피었다는 소식이 올라와도 딱히 가볼 생각이 나지 않았다. 이제는 동행하는 벗이 있기에 매해 볼 수 있었다.

연분홍 꽃이 햇살을 받아 반짝이는 것이 마치 하늘의 별들을 보는 것만 같다. 한참을 올려다보며 눈에 익히고서야 하나씩 눈맞춤 한다. 하나씩 피던 집단으로 모여 피던 환상적인 모습이다.

열악한 환경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사람의 시각이고 그 식물에겐 최적의 환경일 것이다. 바위에 붙어 생을 어어가는 그 절박함은 한치 앞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줄기에 잎이 붙은 모습이 기어가는 지네를 닮아서 지네발난이라고 한다. 멸종위기식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올해는 지난해와는 달리 풍성하게 피어 그나마 다행이었다.

다소 느긋하게 둘러볼 수 있었던 것이 함께한 벗이 있었기 때문이다. 혼자 누려도 좋지만 함께 나누면 더 좋은 일이 점점 더 많아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感通감통이다
느낌이나 생각이 통한다는 말이다. 이 말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독립된 대상이 있다는 것을 전재로 한다. 대상이 있어야 이것과 저것이 통한다는 것이 성립될 수 있다.

통하기 위해서는 과정이 필요하다. 과정은 수고로움을 동반한다. 이 수고로움은 이해받지 못함, 억울함, 미안함, 아픔, 고독, 외로움, 허탈과 같은 부정적 감정의 변화를 동반한다. 하여, 대개는 그 수고로움을 이겨내지 못해서 관계가 어긋나기도 한다.

또한, 통하기 위해서는 이것과 저것을 이어주는 매개가 있어야 한다. 이 매개는 말, 표정, 몸짓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무엇을 어떻게 사용하든 이 매개를 통해 하나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수고로움의 과정을 무색케하는 것이 있다. 대상과 본질이 같아 서로 같은 존재임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마음의 결과 온도가 같아 곧바로 통하는 심통心通이다.

꽃을 사이에 두고 감통感通에 심통心通이니 여기에 무엇이 더 필요하겠는가?


애기석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왕과
은근한 노랑색이 친근하게 다가온다. 길가에 무더기로 피어 있지만 주목하는 이가 드물다. 독특한 매력에 한번 보고 단번에 빠저들고 말았다.

왕과는 중부이남 지역의 빈터와 돌담장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북한에서는 '쥐참외'라고 한다는데 열매와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열매를 확인하지 못해 특정할 수 없다.

잡풀 취급 받아 뽑히거나 배어내기 일쑤여서 지금은 쉽사리 볼 수 없는 식물이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약재로도 사용되었다고 하니 수난 당하기는 매한가지였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