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멸종을 전문적으로 논한 책이 아닌 산소(酸素) 관련 책에서 버키볼에 대한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버키볼은 탄소 원자 60개가 육각형 20개와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이다.(지난 7월 3일 풀러렌을 발견한 노벨상 수상자인 화학자 로버트 컬이 사망했다.) 멸종을 전문적으로 다룬 책이 아니어서인지 decisive하지 않다. 멸종 책을 읽어야겠다. 나는 형태에 약한지도 모른다. ‘이(理); 자연의 역동적 형태’ 같은 책을 읽어야겠다.

 

오늘 재인폭포 근무를 하며 현무암 절리를 그리는 화가를 보았다. 이(理)란 내가 오늘 그 화가에게 이야기한 리다. ‘뭉침/ 구불구불함/ 모남/ 잔가지/ 부서짐/ 동심원/ 윤곽선/ 잔금/ 고사리 잎/ 균열/ 미로/ 지의류/ 모호함/ 잎차례/ 다각형/ 망상/ 하천/ 물결과 모래언덕/ 세모꼴/ 얼룩덜룩함/ 잎맥/ 꾸불꾸불함/ 끈적끈적한 반점‘ 등의 목차로 구성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사는 연천 만큼은 아니지만 비교적 자세히 아는 곳이 서울, 파주, 철원, 고양, 남양주 등이다. 서울은 여러 차례 해설을 한 곳이어서 연천 외의 지역들 중 비교적 잘 아는 곳이고 파주, 고양 등은 가까운 곳인 한편 해설 경험이 있어 어느 정도 안다. 최근 폭포에서 고양, 남양주, 파주, 제주 분들을 만났다. 고양 분들에게는 연천, 강화, 고양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아시는지 물었다.(정답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이다.) 남양주 분들에게는 이석영도서관에 대해 언급했다.(모른다는 답이 돌아왔다.)

 

파주분들에게는 흥선대원군의 운현궁 내 사랑방인 아재당(我在堂)이 파주에 복원된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부럽다고 했다.(모른다, 그게 뭐냐? 거기가 어디냐? 등의 반응이 돌아왔다.) 제주분들에게는 한라산이 무지개를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산이라는 답(알고 물었다)을 듣고 한라산은 몽골어로 검다, 위대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 하라에서 유래했다는 말도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타 지역에 대한 지식은 연천 해설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아니고 잠시나마 방문자분들과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알아야 할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지'의 작가 박경리 선생은 길가에 구르는 돌 하나를 두고도 장편 소설을 지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선생의 한 지인은 선생께서는 글을 쓰다 막히면 개천에서 밤새 돌을 주워 마당에 까는데 어떤 정원사도 그렇게 아름답게 돌을 깔 수는 없을 것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선생은 돌에서 다이아몬드를 찾으려 하기에 글거리를 찾지 못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글을 쓰지 못하는 것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선생은 작가란 돌을 가지고 다이아몬드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선생은 글이 안 써지면 정원에 나가 땅을 파거나 축대를 쌓거나 녹을 제거하거나 하는 식으로 땀을 흘리고 나야 글을 쓸 수 있다고 했습니다. 선생은 그런 노동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돌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지리 전공 교사들에게 재인폭포, 백의리층, 베개용암 해설을 해야 해서 자료를 찾다가 페미니스트 지리학자 제인 다크의 말을 만났습니다. "우리의 도시는 돌, 벽돌, 유리, 콘크리트로 쓴 가부장제다." 도시의 돌과 자연의 돌의 차이가 궁금해집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08-03 0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벤투의스케치북 2022-08-03 06:47   좋아요 1 | URL
아네.. 침구 베개 맞습니다...베개 모양으로 굳은 용암(옛날 쓰던 베개의 옆 모습처럼 생긴)을 말하지요. 감사합니다..
 


수레국화와 개양귀비란 말이 나오는 염명순 시인의 ‘가을’을 읊고 집에 돌아와 파매라는 말을 들었다. 파매는 파주에서 온 매화를 뜻하는 파매(坡梅)다. 미수(眉) 선생의 스승 한강(寒岡) 정구(鄭逑)에 대해 검색하다가 알게 된 매화다. 파주에서 왔다는 말은 파주의 용주 조경(趙絅) 선생이 제자 동계 정온에게 선물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용주 조경은 미수가 아버지의 부임지인 거창에 내려가 알게 된, 미수보다 아홉 살 많은 벗이다. 연천의 매화를 염두에 두고 연매(漣梅)라는 단어를 만들어 검색해보니 나오지 않는다. 낮에 호로고루 해설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본 개성食문화연구원을 생각한다. 개성이 고향인 전문가가 개성에서 20km 거리인 연천군 장남면에 개설한 연구원이다. 꽃 대신 음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빠에게 배달된 지방세(地方稅) 고지서를 보고 뚱뚱해도 세금 내냐고 물었다는 한 아들의 아재 개그를 보며 작년 초의 일을 떠올린다. 전기한 모 아빠의 아들은 地方을 脂肪으로 바꾸어 말을 한 것인데 지난 해 나는 정녕 지질 해설사가 너무 많다는 소신있는 말을 했었다. 그때 옆의 한 신입 여 해설사가 어색한 미소를 지으며 "그래요. 저를 포함해 뚱뚱한 해설사들이 참 많아요"라고 답했다. 실력 없는 지질해설사들이 너무 많다는 소신에 찬 발언은 어이 없게도 외모를 두고 한 문제적 발언이 되고 만 것이었다.

 

地質이 脂質로 읽힌 이 사건은 다른 방향으로 번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종결되었다. 당시 나는 해명도 하지 못하고 긍정도 하지 못했다. 교훈은 무엇일까? 말을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나를 포함해 모든 해설사들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라는 편이 더 타당하다. 오늘 코문리가 고문리가 되었다는 설화를 언급한 한 해설사를 보고 '만날 그 타령이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필요한 것은 언제나 역량강화다. 아직 (실력 없는) 지질 해설사들이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