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을 전문적으로 논한 책이 아닌 산소(酸素) 관련 책에서 버키볼에 대한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버키볼은 탄소 원자 60개가 육각형 20개와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이다.(지난 7월 3일 풀러렌을 발견한 노벨상 수상자인 화학자 로버트 컬이 사망했다.) 멸종을 전문적으로 다룬 책이 아니어서인지 decisive하지 않다. 멸종 책을 읽어야겠다. 나는 형태에 약한지도 모른다. ‘이(理); 자연의 역동적 형태’ 같은 책을 읽어야겠다.
오늘 재인폭포 근무를 하며 현무암 절리를 그리는 화가를 보았다. 이(理)란 내가 오늘 그 화가에게 이야기한 리다. ‘뭉침/ 구불구불함/ 모남/ 잔가지/ 부서짐/ 동심원/ 윤곽선/ 잔금/ 고사리 잎/ 균열/ 미로/ 지의류/ 모호함/ 잎차례/ 다각형/ 망상/ 하천/ 물결과 모래언덕/ 세모꼴/ 얼룩덜룩함/ 잎맥/ 꾸불꾸불함/ 끈적끈적한 반점‘ 등의 목차로 구성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