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유명 작가의 작품을 필사하고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많이 읽는다고 문체가 생기지 않는다. 무조건 자기 글을 많이 써야 한다. 많이 쓰려면 매일 써야한다. 매일 쓰다 보면 자기만의 방식이 생기고 그게 스타다. 그리고 매일 쓰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루틴‘이다. - P37
독서는 다른 인생을 사는 것
무엇보다 소설 읽기는 다른 인물의 삶을 간접 체험하는 것이다. 소설가가 쓴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것은 타인의삶에 대한 이해를 가지게 해준다. 지금 내 현실이 힘들고 내가쓰는 이야기가 안풀려도 이미 완성된 이야기 하나를 즐길 수도있다. 나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소설을 읽는다. 다른 세계에잠시 머무르며 현실을 잊는 것이다. - P47
쓰려는 분야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소재 소재에 대해 파고들어야 한다. 외계인에 대한 소설을 쓰려면 외계인에 대해 알아야 한다. 관련된 책들과 영상을 파고 또파야 한다. 외계인을 만나 취재를 하면 좋겠지만 그리 쉽지 않은일이기에, 세상 사람들이 외계인을 상상하고 만든 창작물을 섭렵해야 한다. - P56
서점에서 사람들이 당신의 소설을 집어 들게 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무조건 아이템과 제목이라는 원투 펀치를 잘 날려야 한다. 소설 기획의 핵심인 이 두 가지 도구로 독자들을 사로잡지않고서는, 당신의 소설을 사람들에게 읽히기 쉽지 않을 것이다. - P63
이야기는 결국 스스로에게서 시작된다. 누군가를 관찰하거나, 무언가를 감상하거나, 세상을 돌아보거나, 인생을 반추하면서우리는 이야기를 떠올린다. 그리고 그것을 여러 가지 형식에 담아 판매하는 것이 스토리 산업이다. - P65
플롯은 무엇인가? 쉽게 말하면 이야기의 줄거리다. 좀 더 말하면 원인과 결과가 있는 줄거리다. 모든 소설은 플롯이 있다. 다만 그 플롯을 미리 짜고 쓰느냐, 짜 놓지 않고 창작의 과정에서Yes완성하느냐가 다를 뿐이다. - P77
그러니까 그해 아모스 오즈가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면 바로발표되었을 인터뷰였고, 그렇다면 내가 7년은 더 빨리 소설 쓰기에 대한 대작가의 통찰을 배울 수 있었던 것이다. ‘남의 신발을 신어본다는 것. 그것은 남의 사정을 헤아린다는것이고, 남의 사정에 맞춰 행동한다는 것이다. 남의 신발을 신기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캐릭터는 행동해야 하기에, 작가는상상 속에서 남의 신발을 신고 걷는다. 때론 달린다. - P87
공감가는 캐릭터를 쓰기가 힘이 드는가? 그렇다면 주변 사람들에 대해 당신이 얼마나 공감하며 사는지 생각해보기 바란다.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기 바란다. 상대방의 마음을 쉼없이 헤아려보기 바란다. - P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