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 조수석 앞 수납공간에는 비닐장갑이 한 상자 들어있다.

차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정비를 하려고 둔 건 아니고,

(그럴 목적이라면 면장갑을 두는 게 맞다)

이곳 화천에서 살기 시작한 지 일 년 쯤 지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챙겨 가지고 다니게 된 아이템이다.

 

우리나라 지도를 두고 보면 이곳 화천은 동서의 중간지점,

거기에서 북쪽으로 불쑥 올라간 곳에 위치해있다.

(위도 상으로는 개성보다 위쪽이다;;)

그 중에서도 내가 있는 곳은 최전방 휴전선에서 그리 멀지 않은 지역.

살고 있는 사람들의 90%는 군인이고,

면회객들을 제외하고는 유동인구랄 게 거의 없는 동네다.

 

온통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군부대들이 많다보니 따로 개발이 된 곳도 없고,

그렇다고 사람들이 엄청 다니는 것도 아니고..

다 합쳐보면 동물들이 살기에 딱 좋다 싶은 곳.

 

그래서 그런지 이곳에서 생활 한 지 2년 동안

평소에는 보지도 못한 야생동물들을 잔뜩 보고 말았다.

이곳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은 고라니.

차를 몰고 가다 보면 갑자기 튀어나와 놀래키기 일쑤고

눈이 많이 온 밤엔 다음 날 아침 일어나보면

주차 해 둔 내 차 주변을 한 바퀴 삥 돌고 간 발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기도 하다.

멧돼지도 심심찮게 발견되는데,

길가다 한두 번 마주친 적도 있지만,

주로 GOP 지역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데

큰 놈은 2m 가까이 되는 것도 있다.

그 외에도 도시에 살 때는 볼 수 없었던

산토끼, 너구리, 가재, 매, 독수리, 이름을 알 수 없는 예쁜 새들이

사시사철 사방을 뛰어 다닌다.

(꿩들은 아예 차가 지나가도 피하지 않고 고개만 돌릴 정도다;;)

 

 

 

문제는 그 녀석들이 살고 있는 곳에 사람들도 살기를 원했다는 것.

사람들이 오고가야 하니 길이 나기 시작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길은 점점 더 넓어진다.

거기에 석유에서 뽑아낸 시커먼 덩어리로 땅을 다져놓으니,

이 녀석들이 움직일 때마다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물론, 여기서 태어나고 자란 녀석들이니 꽤 익숙해졌을 테지만

그래도 그 시커먼 길 위를 빠르게 지나다니는 쇠붙이들은

여전히 큰 위협이다.

 

내가 비닐장갑을 차에 가지고 다니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 녀석들 때문이었다.

일이 있어서 읍내를 오고가던 중 미처 달려오던 자동차를 피하지 못해

길에 쓰러져 죽어 있는 동물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걸 봐 버렸다.

굳이 동물들의 사체를 밟고 다니는 운전자들은 없겠지만,

빠르게 다니다 보면 필히 이리저리 치이는 사체들이 나오게 된다.

그 후 급한 일이 아니면 최소한 길 한 쪽으로라도 치워주어야겠다고 결심한 것.

 

 

첫 번째로 수습하게 된 것은 고라니였다.

내가 도착했을 때에는 아직 죽지 않은 채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었고,

새끼를 밴 상태였는지 사고의 충격으로 핏덩이가 밖으로 빠져나와 있었다.

녀석이 의식을 가지고 나를 바라보지는 않았었겠지만,

그 녀석의 흔들리는 눈동자가 쉽게 잊히지 않는다.

 

물론 동물들 다니는 곳에 길을 냈다고

사람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

도로라는 게 한두 푼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

어지간해서는 쓸 데 없는 곳에 나지는 않는 법이다.

(물론, 이 나라에선 상상치 못하는 일이 일어나는 게 일상이지만)

더구나 여기에 있는 많은 군부대들을 생각하면

왕복 2차로라는 길은 좁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다만 아쉬운 점은 사람의 편의를 위해 길을 냈다면

동물들의 편의도 조금쯤 생각해 줄 수 있지 않았을까 싶은 부분.

또.. 그렇지 못해서, 함께 살아갈 준비가 되지 않아서

그들에게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혔다면

함께 이 땅을 살아가는 존재로서 조금쯤은 예의를 표해 달라는 건

지나친 부탁인 걸까.

(뒤에 들은 말인데 그렇게 사고로 죽은 고라니가 발견되면

식당에 팔기 위해 금방 누군가가 와서 수거해 간다고 한다.)

 

오늘도 여전히 내 차엔 비닐장갑이 실려 있다.

그 자리에 장갑이 있다는 걸 잊어버렸으면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BS가 준비중인 '이병철 회장 탄생 100주년 기념 열린음악회'.

 이쯤 되면 개념이 없는 거지..

서해에서는 병사들이 수장된 채 시신도 못찾고 있는데

부산에서는 삼성 전 회장 '탄생'을 기념은 음악회?

그것도 국민에게 수신료를 받아서 운영하는 공영방송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부해야 할 것이 정해져 있었던 학생 때가 좋았다.
 
졸업을 하고 나니 공부해야 할 것의 한계가 사라져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젠 막 출판사에서 책 그냥 보내준다. ^^

 
간밤에 처음으로 당직을 해 보고 돌아오닌 책 세 권이 도착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은 친절한 사람이 되고 싶은가?
뭐 이런 쓸 데 없는 질문을 하느냐고,
친절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느냐고,
화내고 싸우는 게 좋은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고
물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화를 내지 않는 것과 친절한 것은 다르다.
전자가 매우 수동적이며 소극적인 개념이라면
후자는 반대로 적극적이면서 능동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나에게 피해를 준 사람에게
화를 내지 않는 것과 친절을 베푸는 것 중에
어떤 것이 더 수월할 지를 생각해 보면
이 두 가지의 차이가 명확히 드러난다.

(논의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이런 이유로 친절에는 대가가 따른다.
대개 친절에는 ‘양보’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종 ‘희생’이라는 덕목까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사람들은 나에게 큰 손해를 입히지 않는 선까지는 친절하더라도
그것이 양보를 넘어 희생까지 요구하게 되면
쉽게 친절해지려고 하지 않는다.

당신은 어디까지 친절해 봤는가?
이래도 당신은 친절한 사람이 되고 싶은가?
 


 

친절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하나 더 남아 있다.
친절이란,
단지 무조건 잘 해주는 것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친절한 사람은 상대의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고 잘 돌려서 거절할 줄 아는 사람이기도 하다.

친절해야 한다고 해서
마음에 안드는 남자의 대쉬를 무조건 받아들여야 한다는 건 아니다.
그건 친절보다는 우유부단이라고 부르는 게 맞다.
자신이 정말로 사랑하는 일을 하기 위해 어렵게 마련한 시간을
딱히 중요하지도, 유익하지도 않은 수다로 보내자는 요구는
거절하는 것이 옳다.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도 진심으로 사랑할 수 없는 법이니까.

요점은 거절의 기술에 있다.
상대를 덜 아프게 하면서 거절을 하는 방식.
(전혀 아프지 않을 수는 없다. 거절이란 주사바늘처럼 늘 아픈 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상대에게 직접적인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무시’라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이 방법은 생각보다 깊은 상처를 남긴다.
(아멜리 노통브는 무시를 인격적인 살인이라고까지 말한다.)
거절은 조금 더 분명하게 의사표시를 하는 것이 좋다.
좀 더 부드럽고, 덜 직접적이어서
상대가 거절을 당했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할 정도라면,
혹은 후에 알게 되었더라도
씁쓸한 미소를 짓고 넘어갈 수 있다면 이상적이다.

당신은 얼마나 친절한 사람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