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누구도 배제하지 않으려는 의미 있는 노력이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는 이들은

자신들이 일을 처리하는 방식이 옳고 당연하다고 여기며,

다른 사람에게도 그 방식을 따를 수 있으며

그래야만 한다고 말하기 십상입니다.


로완 윌리엄스, 『심판대에 선 그리스도』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디어 내란 수괴의 대통령직 박탈 선고. 

당연한 일이었고, 다행인 일이지만, ​ 

여전히 윤신론자들의 발악이 걱정이다. 

처음부터 이들은 논리적인 대화가 안 됐으니까. ​


또 이번 사건을 통해 드러난 한국 교회의 무지성과 개념없음은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 감도 안 잡힌다. 


잠시 기쁨을 누리겠지만, 

언제나 그렇듯 우리 삶을 짓누르는 문제들은 사라지지 않을 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2025-04-04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헌법재판관이 말하기도 했습니다만,
서로 ‘존중‘하는 말을 쓸 일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12272?rc=N&ntype=RANKING

‘윤신론자들의 발악‘이라는 말이란
‘혐오표현‘입니다.

아무리 윤씨와 여러 무리가 얼뜬 짓을 했더라도
‘발악‘이라는 낱말은 안 써야 하지 않을까요?
바로 이런 혐오발언인 ‘발악‘을 자꾸 쓰기에
다시금 나라가 쪼개지고 맙니다.

그리고 ‘전광훈과 추종자‘라고 해야지,
˝한국 교회의 무지성과 개념없음˝은
알맞지 않은 말입니다.

저는 무교입니다만,
제가 아는 목사나 신자나 교회는
모두 탄핵을 찬성했습니다.

어떤 얼뜬 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집단을 통째로 ‘무지성‘과 ‘개념없음‘이라 말하는 일이야말로
또다시 ‘차별-분열‘을 부추기는 혐오발언일 뿐입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와 뜻이 다른 사람˝을
그저 그대로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하며
문제를 풀어가려는 마음이 아닌,
이런 혐오발언을 멈추지 않을 적에는
계엄 우두머리를 탄핵했더라도
미움불씨는 오히려 더 번질 수 있습니다.

윤씨한테 붙이는 ‘수괴‘라는 말은
지난날 박정희와 전두환이 민주화운동을 깎아내리며 쓴 말이기도 한데
‘수괴‘ 같은 말도 삼갈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노란가방 2025-04-05 00:28   좋아요 1 | URL
언제나 점잖게 논평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면 참 좋은 일이겠지요.

수괴는 법률 용어입니다. 2020년 형법에서는 ‘우두머리‘로 개정되긴 했으나, 여전히 군형법에서는 같은 단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박정희가 썼든, 이토 히로부미가 썼든, 수괴라는 단어가 애초에 비문이 아닌 법률 용어였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사용하지 못할 법은 없지요.

요새는 그저 ‘내가 듣기에 기분 나쁜 용어‘에다가 ‘혐오‘라는 딱지를 붙이는 사상경찰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일본에선 그렇게 부른다네요) 그런 식으로 말을 옥좨는 것 또한 사람들의 자유로운 의사표시와 사상의 표현을 임의로 제한하려는 굉장히 전제주의적 태도일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참고로 저는 기독교인입니다. 그리고 제 블로그에 와서 지난 몇 달 간 온갖 욕설과 저주를 퍼부었던 사람들도 대부분 기독교인들이었죠. 저는 모든 기독교인들에 대해 비난하는 게 아니었고, ˝윤신론자˝라고 부른 윤석렬의 광적인 추종자들을, 그리고 이즈음 온갖 언론에 도배되는 두 명의 사기꾼 목사들과 그 추종자들의 지성없음과 무논리에 대해 비판했을 뿐입니다.

무지성과 개넘없음이라는 단어가 불편하신 이유가, 전부가 그렇지 않고, 정말로 그런지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라면, 굉장히 형식논리를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 같습니다만, 우리의 일상언어에서 그런 식의 과도한 형식논리 찾기로 의사소통이 되기는 할 지 살짝 의문입니다. 제가 무슨 법정 선고 요지서를 쓰는 것도 아니고(그런 경우 당연히 모든 사람에게 오해가 없도록 써야겠지요),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을 끄적이는 곳에, 제 경험과 느낌을 썼을 뿐이거든요. (이 경우 문맥을 정확히 설명하면 좋기야 하겠지만, 반드시 그래야 한다고 요구하는 건 과도하다고 느껴지네요)
 





오랫만에 기독신문에 이름이 나왔네요..ㅋ


자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 링크로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50052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5-02-22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나름 유명인사셨군요. 축하합니다.^^

노란가방 2025-02-23 16:10   좋아요 0 | URL
ㅋㅋ ˝나름˝
 



동네 도서관에 반납하러 갔는데....

보고 싶은 새 책들이 뭐 이렇게 잔뜩 들어왔는지.

한참 눈으로만 구경하다가

집에 더 많이 쌓여있는 안 읽은 책을 떠올리고는

결국 빈손으로 복귀.

(집에 와서 세어보니 대충 70권은 되는 듯..;;;)


한참 좀 읽어내서 공간이 좀 생겼다 싶으면

어느 새 사고, 받고 해서 다시 책이 늘어난다.

이거야 말로 오병이어의 재현 아닌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4-12-20 20: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병이어! 설교 때 인용할 거죠? ㅋㅋㅋ
전 책을 워낙에 오래 읽어서 책 빌리는 일은 거의 못하고 있죠.
역으로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책이 뭐 꼭 읽으려고만 해서 사나요? 만지고 보는 것만으로도 좋은...!

노란가방 2024-12-20 20:56   좋아요 1 | URL
크... 만지고 보는 것으로도 좋은..

비니미니마미 2024-12-21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꽂이에 꽂혀있는 것만 봐도 흐믓하죠^^

노란가방 2024-12-21 11:35   좋아요 0 | URL
동네 작은 도서관인데도, 꽤 훌륭합니다. ㅎㅎ
 


국민의암의 뿌리는 전두환의 민정당이다.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은 체육관 선거로 대통령이 되고,

자신의 수하들로 민주정의당이라는 당을 만든다.

이후 민정당은 노태우가 이어받았고

김영삼은 김종필과 함께 노태우와 손을 잡고 이른바 3당합당을 통해 민주자유당을 만든다.

이 민자당이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그리고 국민의암으로 당명을 변경하며 이어진다.

민자당 시절 김영삼이 대통령이 되었고,

한나라당 시절 이명박, 박근혜라는 두 부패한 대통령을 만들었다.

다시 국민의암에서 대통령이 된 반란수괴 윤석렬까지.

오늘 밤 그들은 뿌리깊은 친쿠데타 성향을 발휘해

윤석렬 탄핵을 막아냈다. 좋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