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킨스가 쓴 책으로는 두 번째 읽는 책인데그래도 자신의 전공을 중심으로 쓴 이 책이 그나마 읽을 만했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과 다른 신념체계를 가진 사람에 대한 혐오와 조롱으로만 가득 찼던 다른 책을 보고는적어도 이 사람의 인격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었다.) 적어도 이 책은 최소한 논리성을 띠려고 애쓰는 것 같긴 하다.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려고 하는 핵심은,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이 유전자가 만들어 낸 기계’(40)이며이 책의 제목에도 드러나듯그 유전자는 생존 기계와 신경계를 조립하는 방식을 지시함으로써(123) 자신의 유전정보를 최대한으로 남기기 위한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것이다흔히 종의 보존번성과 같은 이유를 대며 동물의 행동을 설명하려는 다른 다윈주의자들과의 가장 큰 차이는저자는 그 행동의 핵심은 과 같은 단위가 아니라 유전자로 좀 더 좁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사실 이 부분만 이해한다면책의 나머지 부분은 같은 주장의 반복임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오직 유전자일 뿐이다동물의 행동을 설명하는 다른 이론들은 다 틀렸다모든 것은 유전자의 자기복제혹은 자기와 가까운 유전자(심지어 그게 50%정도의 유사성이라도)를 더 많이 남기기 위한 행동일 뿐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생각은저자의 주장이 귀납적이라기보다는 연역적으로 보인다는 점이었다저자는 동물의 행동에 관한 만물 유전자 기원설을 주장하는데저자 자신도 인정하듯이 여기에는 심지어 다윈주의자들 안에서도 다양한 이설이 있다이 책에서 저자가 했던 작업은 다른 설명들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자신의 주장에 대한 반복일 뿐이다반박으로 볼 수 있는 몇 부분은일부 동물들의 행동에서 이설로 설명되지 않는 예외적 패턴이 발견된다는 점 정도인데과연 그 정도로 충분한 걸까?(물론 이 책이 대중교양서로 나왔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저자의 주장은정확히 말하면, “동물들의 행동을 이기적 유전자 기원설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는 유전자들이 정확히 어떤 기제로 특정한 행동하는 개체를 선택하고 만들어 내는지 그 과정을 정확히 관찰할 수도실험할 수도 없다(여기엔 인간의 수명을 훨씬 뛰어넘는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고 가정된다).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건 그의 가정들에 근거한 설명이지과학적 증거가 아니다저자의 주장은 그럼직 할’ 뿐이다.


     저자가 자신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 낸 다양한 게임 이론은 말 그대로 인위적인 것에 불과하다특히 각 게임에 임하는 개체들의 선택과 그 결과로 부여된 점수들이 그렇다예컨대 승자는 50패자는 0중상자는 -100점과 같은 점수체계는(140) 자연에서 볼 수 없는 가정일 뿐이다이런 건 말하기에는 좋지만정말로 사정이 그런지는 알 수 없는 법이다.

 


     저자는 반복해서 자신이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을 뿐이며실제로 유전자가 어떤 의식을 가지고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모든 것은 충분히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연못(수프)’과 평균이라는 수학적 모델이 만들어 낸다이 부분에서는 저자의 의견에 정확히 동의한다유전자는 의식을 갖고 있지 않으며우리를 특정한 행동으로 몰아간다는 말이 아니다.


     문제는 그 다음 부분이다저자는 분명 자신이 진화에 근거하여 도덕성을 옹호하려는 것이 아니다’(41)라고 말한다보주에서 저자는 유전자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까지 덧붙인다(429). 하지만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다들 느꼈겠지만저자는 유전자가 마치 인간의 어떤 행동을 결정하는 것처럼(그리고 그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말하는 데다가인간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시하려고 한다.(가끔 이 과정은 조롱과 빈정거림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합리적 출산라는 부분(209)에서 저자는 (절반 정도 유사한유전자를 더 많이 남기는 쪽으로 진화하는 원리에 따르면, ‘복지국가는 극히 부자연적인’ 것이라고 하면서아이들이 굶어 죽어가는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은 아니라면서도, ‘아이에 대한 생활보장의 특권을 남용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짓는다이게 유전자 단위의 특성을 가지고 윤리에 대해 한 수 조언을 하려는 게 아니라면 무엇인가.(하긴 저자는 앞서 언급한 다른 책에서 유산을 가리켜 자연의 품질관리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걱정했던 것보다 내용이 어렵지는 않았다(일단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글을 잘 쓰긴 했다). 그리고 책에서 설명하려는 주장 자체도 그리 난해하지 않다문제작이고관련된 이야기들이 종종 사용되니 교양삼아 한 번 읽어 볼만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idesun1225 2023-07-24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래도 이기적 유전자는 교양서이기 때문에 깊은 내용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반박의 재반박, 풍부한 과학적 자료를 원하시면 <확장된 표현형>을 추천합니다

노란가방 2023-07-24 13:53   좋아요 0 | URL
네 그렇게도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책 추천 감사합니다. 시간이 나는 대로 읽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