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 7. 8 일자 신문기사)

 

만약 길에서 얼마전 발행된 5만원 권을 주웠다면?

그리고 그 5만원권이 위조된 지폐라면?

위조된 지폐인 걸 모르고 5만원권을 유용했다면 죄가 될까요 안 될까요?

그럼 위 신문기사의 김 모 군은 위조지폐 여부를 떠나 처벌을 받게 될까요?

 

김 모 군이 주운 돈은 모두 5만 2천 원인데 그럼 그에 해당하는 벌금이나 처벌은 어떻게 될까요?

주운 물건을 취득해 신고하지 않으면 형법상 점유이탈물횡령죄가 성립하여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니, 김 모 군도 엄하게 법의 적용을 받으면 벌금을 내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금액이 미미해서 좀 그렇기는 하지만요.

 




결론은, 길거리에서 주운 돈이라고 하더라도 함부로 가져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무조건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안 쓰고 그냥 갖고 있기만 해도 벌을 받는다고 합니다. 길게는 1년 동안 감옥에 가거나 벌금을 내야 한답니다. 그러나 1년 동안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주운 사람이 가져도 된다고 합니다.
만약 주인이 나타나면 주운 사람한데 5~20%의 보상금을 주게 법으로 정해져 있답니다.

 
땅을 파다가 보물을 발견했거나 바다에서 고기를 잡다가 보물을 발견했다고 하더라도 자기가 가져서는 안 된답니다. 땅을 파다가 발견했을 때는 그 땅이 누구의 땅인지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남의 땅이라면 땅주인과 똑같이 나눠 가지고, 자기 땅일 경우에도 일 년은 기다려야 한답니다. 혹시 누군가 땅에 묻어 놓은 것일 수도 있으니까요. 일 년 동안 주인이 안 나타나면 그때는 가져도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바다에서 발견한 보물은?
무조건 나라의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무조건 나라에 알려야 하지요. 안 그러면 벌을 받는답니다. 다만 보물을 발견한 사람에게 보물 값의 80%을 주게 법으로 정해져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늘에서 떨어진 다이아몬드 별똥별은 어떻게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하늘에서 떨어진 다이아몬드 별똥별은 발견한 사람이 주인이랍니다.
그러니까 먼저 주운 사람이 임자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오늘부터 전국에 다시 장마가 시작되어 주말까지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 

 

한동안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제대로 맞지않아 국민들의 질타와 조롱을 받기도 하다가 급기야는 일기예보를 하지 않겠다는 다소 놀라운 발표까지 했던 것으로 기억이 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아침마다 '오늘의 일기예보'에 귀를 쫑끗~ 세우기도 합니다.

일기예보는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여러 장소의 날씨, 기압,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등의 정보를 모아, 대기와 지면 등의 상태를 예측하고 전하는 과학 기술'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일기예보의 역사는 구름의 움직임을 보고 날씨를 예측하던 기원전 650년의 바빌로니아인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의 일기 예보는 기후의 패턴을 찾는 경험에 의존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전보의 발명 이후로 먼 거리의 바람이 부는 쪽의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일기를 예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학적인 일기 예보는 프랜시스 뷰포트프로티지 로버트 피츠로두 사람의 공적으로 영국 함대에 받아들여진 뒤 오늘의 일기 예보 지식의 모든 기초를 형성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급변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이상기온이나 온난화 현상 등과 같이 여태까지의 경험과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이 맞지 않은 탓인지 슈퍼 컴퓨터와 같은 첨단 장비를 갖추고도 빈번하게 빗나가는 기상청의 일기예보.  


과연 일기예보가 사라질 수 있을까요?
 

날씨를 미리 알려주는 일기예보가 사라지려면 무엇보다 날씨의 변화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날씨의 변화가 없으려면?
물이 없어야 구름도 사라지고 비도 안 오고....... 마침내는 일기예보도 필요하지 않게 되겠지요.

하지만, 지구 상에 물이 부족하다고는 해도 물이 존재하는 한 물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가 생기고, 수증기가 뭉쳐서 구름이 되고, 구름 속의 수증기들이 큰 물방울이 되어 다시 비나 눈, 우박으로 떨어지는 물의 순환이 계속되는 한 날씨의 변화 또한 계속되고, 일기예보도 계속되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술 왕 대회가 내일로 다가왔어요.
마술 왕이 꿈인 레오는 밤이 깊은 줄도 모르고  단짝 친구 실버와 마술 연습을 하다가 늦잠이 들고 말았어요.

허둥지둥 신발을 신는 레오에게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
과연 레오는 마술 왕이 될 수 있을까요?

마술 왕을 꿈꾸는 레오와 단짝 친구 실버가 벌이는 화학으로의 모험을 기대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오래 전에 지구라는 별이 생겼어요.
한참 뒤에 지구에 생물체가 생겨났어요.
또 한참 뒤에 지구에 사람이 생겼어요.
사람은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체를 다스렸어요.
개를 키우고, 호랑이를 잡고, 새처럼 나는 비행기를 만들고, 바다 속 물고기들을 잡아먹었어요.  

사람이 어떻게 다른 동물을 다스릴 수 있었을까요?
사람은 호랑이처럼 힘이 센 것도, 새처럼 날개가 있는 것도, 물고기처럼 헤엄을 잘 치는 것도 아닌데 말이에요. 

사람을 생각을 할 수 있어요.
바로 그 생각 덕분에 사람은 아주 약하면서도
다른 동물을 다스릴 수 있었어요. 


사람은 생각을 해서 창을 만들어 호랑이를 잡았고,
사람은 생각을 해서 총을 만들어 새를 잡았어요.
사람을 생각을 해서 그물을 만들어 물고기를 잡았어요.

사람이 생각하는 힘을 이성이라고 해요.
물론 다른 동물들도 생각을 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그것은 먹고살려고 자기도 모르게 하는 활동일 뿐입니다.
사람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생각을 할 수는 없지요.

생각!
사람이 동물과 다른 특징이자 가장 큰 힘입니다.
 

수많은 생각 가운데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것이 논리입니다


 



 

나는 '이 의자 빛깔이 검다.'고 말하는데,
어떤 사람은 '이 의자 빛깔이 파랗다.'고 할 때,  

누구 말이 옳은지 따지는 것이 논리입니다.

아무런 까닭 없이 무조건  
"너는 틀렸어. 이 의자는 까만 빛깔이니까. 내 눈에는 그렇게 보이니까!" 하고 말하는 것은 논리에 맞게 생각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런 사람은 힘이 세지만 사람한테 꼼짝 못하는 동물처럼, 
 논리로 똘똘 뭉친 사람한테 꼼짝 못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태계란 한마디로 돌고 도는 자연 세계를 말하는 거예요



토끼풀은 햇빛과 물을 먹고,  

토끼는 토끼풀을 먹고,  

호랑이는 토끼를 잡아먹고,

호랑이가 죽으면 박테리아가 호랑이 몸을 분해해서  

흙을 만듭니다. 



이렇게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들은  

돌고 돌면서 알맞은 수를 유지하며 살아요.
 



 

  

일정한 공간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분해자가  

끊임없이 자연 세계를 돌면서 이동하는  

생태계의 많은 생물들은  

먹고 먹히는 관계에 따라 돌고 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