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지하철 - 닫힌 문 앞에서 외친 말들
박경석.정창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에겐 일상이, 다른 누군가에게 투쟁임을. 누군가에겐 출근길 10분의 지체가, 다른 누군가에겐 20년의 외면된 기다림임을. 겨우(!) 이동권이 아니라 존재로서의 노동권 거주권 평범하게 살 권리를 말하는, 보이는 존재가 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존재들의 처절한 몸부림이다.
헌법 제10조를 다시 읽어보자.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국가는, 우리는 그들의 헌법적 권리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괭 2025-01-07 19: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유아차 밀고 다니면서 이동권의 소중함을 깨달았어요ㅜㅜ 정말 얼마나 불편한지! 적극 개선해주면 좋겠습니다. 최근 대법원에서 국가배상 인정한 것이 고무적이네요!

햇살과함께 2025-01-07 22:19   좋아요 1 | URL
맞아요 저도 아이들 어릴 때 유아차로 지하철 탈 때마다 엘베 찾느라 헤매고 못찾으면 그냥 계단으로 들고 올라가고요.. 이런 시설이 장애인들의 권리투쟁으로 만들어졌다는 건 꿈에도 몰랐네요 ㅠㅠ

숲노래 2025-01-08 01:2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시골에는 낮은버스(저상버스)가 하나도 없고, 90살 할머니도 버스삯을 내고서 탑니다. 어느덧 우리나라 모든 시골은 공휴일에 시골버스를 거의 멈추었고, 바뀌는 버스시간표를 군청에서 알리지도 않는데, 군청 공무원과 군의원 가운데 시골버스를 타고서 출퇴근을 하는 이는 1/100은커녕 1/1000조차 안 되기 때문입니다.

˝출근길 지하철˝은 틀림없이 뜻깊기는 하지만, 저처럼 면허증조차 일부러 따지 않고서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지내는 여느 사람들은 ‘이동권‘은커녕 ‘기본생활권‘조차 없다고 할 만합니다.

도시는 그나마 아기수레를 밀 만한 길이 조금 있지만, 시골에는 어디에서도 아기수레를 밀 수 없는데, 저는 포대기로 두 아이를 업고서 다녔지만, 시골에서 아기를 낳으려는 이웃님은 다들 죽을 노릇이더군요. 그래서 울며겨자먹기로 뒤늦게 면허를 따서 자가용을 장만하시는데, 이제는 ˝출근길 지하철 이동권˝을 넘어서 ˝대중교통 기본생활권˝이라는 틀로 이야기를 넓혀가야 할 때를 한참 지나도 너무 많이 지났다고 느낍니다.

새해에는 시골에서 면허증부터 없이, 아기를 포대기로 안고서, 군수한테 한 마디를 할 수 있는 이웃이 늘기를 빌 뿐입니다.

그래도 <너무도 정치적인 시골살이>라는 책이 지난해 가을에 나와서 깜짝 놀라서 반갑게 읽기도 했습니다.

햇살과함께 2025-01-08 09:29   좋아요 0 | URL
맞아요. 지방 도시나 시골은 특히 자가용이 없으면 기본적인 생활을 위한 이동의 제약이 많죠. 정부나 지자체에서 경제성 논리만을 들이밀면서요. 저도 한 때 은퇴 후 시골살이의 낭만을 꿈꿨던 때가 있지만 현실을 깨달았습니다. 장롱면허를 꺼내지 않으면 불편하게 살아야 할 곳이라는 것을요. 이 책과 전장연이 ˝출근길 지하철˝로 상징되지만 ˝출근길 지하철˝을 넘어선 다양한 주제와 보편적인 권리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알려주신 책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