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노예제의 유산: 새로운 여성성의 기준

흑인 여성 경험에 대한 오해, 왜곡
평등한 억압, 역설적 평등
해리엇 터브먼, 지하철도 활동
해리엇 비처 스토, <톰 아저씨의 오두막>의 한계

하지만 여성들은 성폭력과 그 외 여성에게만 가해질 수있는 야만적인 학대로 인해 다른 방식으로도 고통받았다. 노예 소유주는 손익계산에 따라 여성 노예에 대한 태도를 바꿨다. 남자처럼 착취하는 게 이익일 때는 사실상 이들을 무성적인 존재로 간주했지만, 오직 여성에게만 합당한 방식으로 착취하고 체벌하고 억압할 수 있을 때는 배타적으로 여성만이수행하는 역할에 이들을 가뒀다. - P34

국제 노예무역이 폐지되면서 이제 막 청년기에 접어든목화 재배 산업의 확대가 위태로워지자 노예 소유 계급은 국내 노예 인구를 보충하고 증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어쩔 수 없이 자연적인 재생산에 의지해야 했다. 그러므로 노예여성의 출산 능력에 가산점이 붙었다. 남북전쟁 이전 몇십 년간 흑인 여성들은 점점 출산 능력(또는 그 능력의 부재)에 따라 평가받게 되었다. 잠재적으로 열, 열둘, 열넷 또는 그 이상의 어머니가 될 수 있는 여성은 실제로 탐나는 보물이 되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여성으로서의 흑인 여성들이 노동자로서 누렸던 것보다 더 나은 지위를 누린 것은 아니었다. 모성에대한 이데올로기적 칭송은 19세기에 한참 인기를 누렸음에도 노예에게까지 확장되지는 않았다. 사실 노예 소유주의 눈에 비친 노예 여성은 전혀 어머니가 아니었다. 이들은 그저 노 - P34

예 노동력의 증대를 보장하는 도구일 뿐이었다. 이들은 그 수를 불리는 능력에 따라 정확하게 화폐가치로 환산되는 ‘번식용 동물‘이었다. - P35

이 보고서의 논지에 따르면 억압의 근원은 실업과 부실한 주택, 부족한 교육과 수준 미달의 의료서비스를 양산한 인종차별보다 더 근본적이었다. 억압의 뿌리는 흑인들 사이에남성 권위자가 부재해서 빚어진 ‘뒤얽힌 병리 상태‘로 묘사되었다! 모이니핸 보고서의 논란 많은 대미는 흑인 가정, 그리고 흑인 사회 일반에 남성 권위자를 세워야 한다는 요구로 장식되었다. (물론 이는 남성우월주의를 의미한다!)

어이 없다❎❎❎ - P43

어머니의 역할은 노예 아이에게 아버지의 역할보다 훨씬 크게 다가왔다. 어머니는 노예 가정에 남겨진 몇 안 되는 활동-살림 돌보기, 음식 준비, 자녀 양육-을 통제했다.

이게 통제인가? ❎❎❎ - P46

실제로 가정생활은 노예의 사회생활에서 지나칠 정도로큰 의미를 가졌다. 노예들에게 스스로를 인간으로 경험할 수있는 유일한 공간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그리고 흑인 여성들은 남성과 진배없는 노동자였기 때문에ㅡ흑인 여성들은 백인 여성들처럼 가정 내에서의 역할 때문에 폄하되지 않았다. 백인 여성들과는 달리 이들은 절대 단순한 ‘주부’로 치부될 수 없었다. 하지만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 결과흑인 여성들이 흑인 남성들을 지배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노예생활의 실상을 근본적으로 왜곡하는 것이다. - P47

노예 거주 구역의 가정생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주제는 성평등이다. 노예들이 주인의 권력 강화가 아니라 스스로를위해 수행했던 노동은 평등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흑인들은 자신의 가정과 공동체생활의 울타리 안에서 찬란한 위업을 힘들게 달성할 수 있었다. 이들은 노예로서 겪는 동등한억압에서 파생된 소극적인 평등을 능동적인 특징으로 바꿔냈다. 그것은 바로 이들의 사회관계를 특징짓는 평등주의이다. - P49

저항은 봉기나 도망, 사보타주보다 더 미세한 형태를 띨 때도 많았다. 예를 들어 저항 중에는 읽고 쓰는 능력을 은밀하게 습득하기, 그 지식을 다른 이들에게 전달하기 같은 것도 있었다. - P55

‘지하철도’를 통해 300여 명의 탈출을 도운 안내자 해리엇 터브먼에게 헌사를 바치지 않고서는, 노예제 저항 운동에서 여성들이 했던 역할에 대한 그 어떤 논의도 완벽해지지할 것이다. 터브먼의 어린 시절은 대부분의 여자 노예들과 다르지 않은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메릴랜드에서 농장 일꾼으로 일했던 터브먼은 노동을 통해 자신의 여성으로서의 잠재력이 여느 남자들과 똑같다는 점을 깨치게 되었다. - P55

흑인 여성들은 흑인 남성들과 동등한 억압을 받았고, 노예 공동체 안에서 남성들과 사회적으로 동등한 존재였다. 그리고 이들은 남성과 동등한 열정을 품고 노예제에 저항했다. 이는 노예 시스템의 가장 큰 아이러니 중 하나였다.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야만적인 착취에,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 착취에 여자들을 굴복시키는 과정에서, 흑인 여성들은 사회적 관계를 통해 평등을 부르짖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저항 행위를 통해 표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 P56

노예제 시기에 진행된 제도화된 강간의 패턴을 백인 남성의 성적 충동의 표현으로 봐서는 곤란하다. 마치 순결한 백인의 여성성이라는 허상이 그것을 잠재울 수 있었으리라는 식으로 말이다. 이런 식의 설명은 지나치게 단순하다. 강간은 지배의 무기, 억압의 무기였고, 그 내밀한 목표는 노예 여성의 저항 의지를 억누르고, 그 과정에서 노예 남성들의 사기를 꺾는 것이었다. 베트남전 기간에 관찰된 이런 유의 강간의 역할은 노예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 P57

노예제 폐지 운동 계열의 문학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은 해리엇 비처 스토(Harriet Beecher Stowe)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이었다. - P61

하지만 스토의 책이 막대한 영향력을 구가하긴 했어도 그걸로 노예의 삶을 완전히 왜곡한 실책을 덮을 수는 없다. 작품에 등장하는 핵심적인 여성 인물은 백인 사회에서부터 노예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문화적 프로파간다가 예찬하는 어머니상을 순진하게 옮겨놓은 어설픈 흑인 여성이다. 엘리자는 검은 얼굴을 한 백인 모성의 화신이다. 아니 그보다 흑인의 피가 4분의 1 섞인 흑백혼혈이기 때문에 아주 조금 덜 하얀 얼굴이라고 하는 게 낫겠다. - P62

그보다 핵심은 스토가 19세기의 대대적인 모성 숭배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노예제에 저항한 흑인 여성들의 실상과 진실을 포착하는 데 처절하게 실패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예 어머니들이 수행한 셀 수 없이 많은 영웅적인 행동들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 여성들은 엘리자와는 달리 노예제에 대한 극도의 혐오감을 원동력 삼아 자기 자식들을 지켰다. 이 어머니들의 강인함의 원천은 모성에 부착된 어떤 신비로운 힘이 아니라, 노예로서의 구체적인 경험이었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