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스톤은 마르크스주의자이기도 한데, 《성의 변증법》을 이해하는 데 이 점이 굉장히 중요해요. 마르크스Karl Marx는 경제 변천과 발전의 역사를 인류의 역사로 이해하죠. - P240

특히 마르크스는 노동자와 자본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의 근본적인 모순이 끝나면 이후에 다른 문제들은 점차 해결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파이어스톤은 마르크스주의자였지만 마르크스주의의 이런 분석이 틀렸다는 거예요. - P241

‘여성이여, 당신은 계급이다! 그러니까 계급의식을 각성해서 혁명을 일으키자!’ 이게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의 책 《성의 변증법》의기본적인 내용이에요. - P243

베티 프리단의 《여성성의 신화》와는 다르죠. 《여성성의 신화》가 개인의 삶들을 살피는 이야기라면, 파이어스톤은 ‘여자로 태어났으면 계급의식으로 각성하라‘라고 하는 거죠. 《성의 변증법》은 각성을 촉구하는 책이에요. - P244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을 차용해서 여성의 존재론적 지위를 분석하는 거예요. 베티 프리단이 개인으로 보는 것에 그쳤다면, 파이어스톤은 계급으로 접근하는 거죠. 그러니까 어떤 방식으로 착취와 피착취가 일어나는가를 분석하는 거예요. - P246

그리고 자본가 입장에서 노동자 인건비는 그냥 비용이에요. 비용처리해야 되는 항목. 형광등 값이랑 똑같은거예요. 어떤 공장에서 기계 하나 감가상각해서 낡은 기계 바꾸려는 것처럼 계산으로 처리되는 거예요. 노동자를 사람으로 대우를 안 하니까 소외가 일어난다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이게 자본가 개인이 못돼 처먹어서 소외가 일어나는 게 아니라, 그 구조가 착취를 발생시킨다는 게 핵심이에요. - P247

우리가 어떤 문제를 구조로 본다는 건, 한 개인의 인격을 문제 삼는 게 아니라는 거예요. 노동자-자본가 간의 계급 모순과 투쟁관계 역시 그 개인들의 사이가 좋고 나쁜 문제가 아니라는 거죠. - P247

여성을 착취해야만 사실상 이 계급관계가 유지되는 거예요. 그래서 엥겔스Friedrich Engels가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에서 약간 분석을 했죠. 이 재생산 문제가사회 안에 있고, 여성이 착취당하고 있다는 게 나와요. 이러한 언급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불충분한 시도였다는 것이 파이어스톤의 평가고요. - P249

"페미니스트들은 모든 서구 문화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문화 구조 그4 자체,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 구조 자체까지도 질문해야 한다." 그리고 진화를 통해서 성차별이 이렇게까지 발전해온 거라는 거죠. 그래서 자기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변증법적이고 유물론적분석 방법을 따라가겠다고 선언해요. - P252

대파이어스톤의 성 계급은 이후에 비판도 많이 받죠. 성 계급을 생물학적으로만 묶을 수 있느냐는 식의 비판들도 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생각해볼 수밖에 없는 것들이 있는 거죠. 지금도 가족을 아주 중요한 단위로 삼고, 한국 사회도 가족 중심 사회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더 문제인 것 같아요. 이 세계는 우리에게 투쟁의 공간이고, 우리가 위안을 얻을 곳은 가족밖에 없다고들 하잖아요. 그런데 가족이 위안의 공간이라는 발화를 누가하는 거죠? 가족은 위안의 공간이고, 가족은 나를 돌봐준다는 이야기를 여자가 할까요, 남자가 할까요. - P261

성추행하고 나서 ‘딸 같아서 만졌다‘라고 하는 것도 생각해보세요. 그럼 딸은 지 멋대로 만질수 있다는 건데, 그 자체가 딸의 몸이 가부장의 것이라는 생각인거잖아요. - P262

낙태는 왜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걸까요. 여성들이 낙태할 권리를 갖게 된다는 건 재생산의 권리가 여성의 권리로 넘어온다는 거고, 그러면 가부장제가 흔들리는 거죠. - P264

파이어스톤은 프로이트가 인간을 이해하는 데 섹슈얼리티를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보는 점에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페니스 선망은 성기가 없다고 질투를 하는 문제가 아니라 실은 권력에 대한 질투, 가부장제 권력과 승계에대한 묘사라는 점에서 상당히 들을 만한 이야기라고 봐요. 왜냐하면 파이어스톤은 어떻게 여성이 매우 불평등한 구조 안에서 착취당하고 억압당하는 계급이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해줘야 하잖아요. - P269

사실상 근대적 의미의 가족은 자본주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요. 부권제 역시도 부계 상속을 통해 유지된다는 점에서 사적 소유의 재산권과 떼려야 뗄 수 없어요. 확실히 노동자 계급의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재생산을 담지하는 사회경제적 최소 단위를 가구와 일치하는 가족으로 설정할 수밖에 없겠네요. - P275

그런데 모성과 모성애는 또 구별되어야 하잖아요. 모성은 이런 거죠. 여자의 생식 능력으로 아이를 낳고, 아이를 낳으면 여러 몸의 현상이 벌어져요. 젖이 나올 수 있고 자기가 낳은 존재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기도 하죠. 그런데 여기에 애착관계만 있는건 아니잖아요. 복합적이죠. 그러니까 모성은 생리 능력에 수반되는 어떤 현상들이에요.
그런데 애의 문제, 애정을 갖는 문제, 친밀성의 문제는 다른 문제인 것 같아요. 부성과 부성애가 다른 것처럼 모성과 모성애도 다른 거죠. 특히 모성애라는 말 자체는, 또 한번 강조하지만 핵가족의 산물이에요. - P281

이 아동기의 숭배를 지탱하는 것은 다름 아닌 여성들의 양육과 모성애라는 신화인 것이죠. - P289

그리고 아동의 순수함과 모성애의 지극함은 결합되어 가부장제를 지탱합니다. - P290

제 생각에는 여성을 성계급으로 모이게 하는 것보다 여성을 하나의 성 계급으로 모이게끔 하는 장치들이 무엇인가를 하나하나 노출시키는 게 파이어스톤의 정말 중요한 업적이라고 봅니다. 이 장치들을 하나씩 해체하자는 게 상당히 혁명적인 결론인 것 같아요. - P294

가족, 생식, 섹스, 친밀감, 섹슈얼리티 같은 것들이 일치하지 않는 사회에 살고 있는 걸 우리가 인정해야 되는 것 같아요. - P295

이걸 "성, 연령, 인종 구분과 권력심리의 문화적 소멸"이라고 해요. 계급으로서 성sex이 없어진다는 건, 간단히 말하자면 성 구분이 없어진다는 거죠. 성 구분이라는 게 계급이고, 그게 불평등 구조를 만든다는 거잖아요. 그러니까 파이어스톤을 따르면 성 계급이 사라진다는 건 성 구분이 없어진다는 거고, 즉 섹스‘들‘ 혹은 n개의 성이 된다는 거겠죠.
연령이나 인종의 구분도 사라지는 거고요. - P297

그리고 삽입 중심의 섹스만 섹스로 이해하는 것, 즉 모든 섹슈얼리티 활동들을 재생산, 생식에만 몰두하게 하거나 그렇게만 이해하는 것들로부터 벗어나서 다른 생각들을 가져야 된다는 거예요. - P3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