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장면부터 어휴 미친 XX… 그러나, 이게 이 책에서 가장 수위가 낮다는 사실.

반대로 남자는 여성인물에 자신을 동일시할 기회가 거의 없다. 그래서 그들은 여성인물에 감정을 이입하지 않는 것에 익숙하다. 이야기 속에서 여성은 항상 주인공이 아닌 보조 역할을 맡는다. 영웅의 엄마나 영웅의 애인, 영웅이 구해야 하는 공주로, 『제2의 성(Le Deuxième Sexe)』에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는 ‘나, 자신’이자 이야기의 핵심인 남성 옆에서 여성은 언제나 그저 ‘그냥 누구’의 자리에 놓인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런데 『악어 프로젝트」는 남성을 악어로 그림으로써 일반적인 이야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여성은 사람으로 그려지고 남성만 동물로 표현되었으므로(게다가 내레이션은 경험담을 들려주는 여성의 ‘주관적인‘ 시점이다), 독자는 여성에게 자신을 투영하게 된다. 사실 남성은 자신을 여성과 동일시하는것에 익숙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럴 기회가 거의 없기도 하거니와 공감 능력은 남자답지 않은 영역으로 간주하고, 소년들에게 그것을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이 만화가 중립적인 관점으로 이야기했다면, 남성 독자는 남성인물과 동일시하고 여성독자는 여성인물과 동일시하려고 하는 경향이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남성과 여성 간의 전쟁‘이 일어날 뿐이다. 왜냐하면, 남성 독자는 자신과 동일시한 인물의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애를 쓸 것이고, 여성 독자는 희생자에 자기를 투영할 것이기 때문이다(비록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 인물과 동일시하는데 더욱 익숙하지만). - P159

모든 남성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 범주에서 저 범주로 순식간에 옮겨갈 수 있다. 거리에서 마주친 남성, 남자 친구, 남편, 친오빠……. 얼마나 많은 여성이 주변인에게 강간당해왔는가? 『악어 프로젝트에서 한 여성의 끔찍한 경험담을 보자. 흔히 일어나는 애인의 강간은 악어의 다음과 같은 속삭임으로 끝난다. "고마워. 아까 정말 끝내줬어." 그러나 이 남자가 그저 비열한 놈, 강간범이기만 했다면 여성이 그와 사귀었을까? 모든 악어가 어느 순간에는 좋은 남자로 바뀔 수 있으므로 반대로 모든 좋은 남자는 악어가 될 수 있다. 모든 남성은 잠재적으로 독재자다. 실제로 우리가 어떤 범주의 남성을 상대하는지 모른다는 의미에서 남성은 모두 약탈자로 보일 수 있다. 또한, 특권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기 바라는 게 인간이기 때문이다. - P160

악어 프로젝트의 주제는 남성이 악어의 모습으로 태어났다가 아니라 악어가 되어간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남성을 악어로 그린 진정한 의미가 있다. 텀블러 『악어 프로젝트』 에서 나를 얼어붙게 한 그림이 하나 있다. 인간의 모습을 한 아기가 조금씩 악어로 변해가는 그림이다. 타인을 존중하고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었던 작은 아이가 성적 포식자가 되어가는 일은 충격적이다. 안드레아 드워킨(Andrea Dworkin)의 글이 떠오른다.
"어떻게 태양과 작은 돌에도 자비를 베풀던, 생생한 삶의 애정을 품었던 소년이 여성과 인류애를 공유하며 그것을 허용할 능력마저도 상실해버린 성인이 되어버렸을까?" - P161

게다가 이러한 폭력은 여성에게 특정한 행동과 태도를 강요하고자 한다. 흔히들 폭력의 원인은 항상 우리 여성에게 있다고 한다. 우리가 젊고 예쁠 때, 섹시한 옷을 입을 때, 미소를 띨 때, 늦은 시간 지하철을 탈 때, (혹은 이 모든 경우가 아니더라도) 남성은 우리의 매력에 저항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어떤 경우에도 제대로 처신할 수 없다. 만일 우리가 너무 예쁘다면,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다. 또한, 반대로 우리가 못생겼다면, 우리를 놀리거나 모욕하더라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것이 바로 이중 제약이다. 여성이 사회의 성차별적 기대에 자신을 맞춘대도 비난받을 것이며, 여성성의 규범에 순응하는 것을 거절한대도 비난받을 것이다. 잘못된 선입견에 따르면 남성이 우리를 빤히 쳐다보고, 자기 성기를 보여주고, 성적인 제안을 하는 등등의 행동은 여성의 존재 자체와 어떤 태도에 따른 결과다. 그리하여 여성은 성폭력을 ‘유도’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나 분명하게 말하지만, 성폭력의 책임은 여성이 아니라 전적으로 가해자에게 있다. - P163

상대방에게 환심을 사거나 유혹하기를 그만두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성폭력의 수준으로 가지 않게 자신을 제한하라는 것이다. 상대방의 환심을 사려고 애쓰는 것과 성희롱을 구분하는 방법은 상대의 의지를 받아들이느냐 무시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칼럼니스트 가엘르 마리 짐메르만(Gaelle-Marie Zimmermann)이 말한 것처럼 상대방의 환심을 사려고 애쓰는 것은 그저 뻗은 손이며, 성폭력은 덮치는 손이다.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