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이맘때쯤 나는 무엇을 좋아했고 어떤 고민에 빠졌으며 어떤 걱정이 제일 컸는지 알 수가 없다. 아니 5년 전, 아니 1년 전 이맘때쯤은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시간을 보냈는지, 어떤 책을 읽고 있었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독서노트를 봐야 지난해 11월에 읽은 책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고, 일기장을 봐야 그때 어떤 일이 있었으며 어떤 생각을 했는지 알 수 있고, 블로그에 올린 글을 봐야 그때 어떤 글을 썼는지 알 수 있다. 나의 삶에 ‘기록’이란 게 없었다면 그것들을 알기 위해 기억을 더듬어 보다가 생각이 나지 않으면 기억을 포기하리라. 기억을 포기하는 것은 내 삶의 일부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여긴다. 그래서 최근 내 마음을 사로잡은 것들을 나열해 보기로 했다.
1.
요즘 내가 애독하기로 작정한 책이 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저, <소로의 일기>다. 나도 일기를 쓰는 사람으로서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일기를 어떻게 쓰는지 궁금했다. 물론 그의 일기에서 내가 배울 게 있을 것이고 배울 것을 발견하는 재미에 기대가 커서 구입했던 것. 1817년에 태어나 1862년에 생을 마감한, 그야말로 옛사람의 글을 보면서 무엇보다도 내가 신기하게 생각한 것이 있다.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것들을 그는 그 옛날에 생각해 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이런 것.
우리는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라는 걸 알고 있다. 소로는 이미 그 옛날에 일기에 이렇게 써 놨다.
..........
한평생 어느 한 대상을 마주보고 있을지라도 나와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전혀 보지 못할 수도 있다.(148쪽)
- <소로의 일기>에서.
..........
또 요즘 흔히 하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라.’라는 말을 소로는 이미 그 옛날에 일기에 이렇게 써 놨다.
..........
뛰어난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그 자체의 죄로 여기기보다는 그것을 미래를 향한 용기와 미덕에 열중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198쪽)
- <소로의 일기>에서.
..........
표현만 다를 뿐 같은 의미로 읽을 만한 구절을 보고 신기했으며 감탄했다.
빨리 읽지 않고 느리게 천천히 뜻을 음미하며 읽을 예정이다.
2.
2017년의 달력 종이가 두 장 남았다. 이 해 안으로 다 읽어야 할 책이 두 권이 있다. 알라디너의 책이다. 스텔라 님과 마태우스 님이 내신 책이다.
나, 읽으면서 깜짝 놀랐다. 두 분 다 알라딘 서재에 올리는 글보다 잘 썼기 때문이다. 혹시 책을 내면 집중력이 높아져서 글을 잘 쓰게 되는 것인가? 그렇다면 나도 책을 내서 집중력을 높여서 글을 잘 쓰는 경지에 가 봐야 되나? 뭐, 이런 생각을 하게 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알라딘 서재에는 책을 내고 글을 잘 쓰는 고수들이 많은데 마치 나도 고수인 양 그들과 동격으로 글벗처럼 지낸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행운이 아닌가.
김지안 저, <네 멋대로 읽어라> - stella.K 님의 책.
서민 저, <서민 독서> - 마태우스 님의 책.
애독하는 중이다. 여러분도 읽어 보시길...
3.
회사에 다니는 큰애가 이 가을에 내게 준 선물이 있다. 노트북이다. 내가 쓰던 노트북이 고장이 나서 아쉬운 대로 넷북을 침대에서 사용하곤 했는데 화면이 작아 자기가 답답하다며 나를 매장에 끌고 가서 사 줬다. 거실에 큰 화면의 데스크톱 컴퓨터가 있으니 살 필요가 없다고 해도 막무가내였다.
넷북은 작아 가벼운 데다가 배터리를 빼어 더 가벼워져서 휴대용으로 쓰기 좋았는데 딸이 사 준 노트북도 넷북 정도로 가벼워 놀랐다. 요즘 출시되는 노트북은 화면이 커도 가벼운 장점이 있나 보다.
넷북과 노트북과 책 크기 비교.
셋 다 잘생겼다. 보기만 해도 뿌듯하다.
4.
지난여름에 내가 애용했던 액세서리이다. 팔찌, 목걸이, 반지.
치마보다 바지를 선호하는 내가, 여성이기보다 중성 같다, 라고 느껴질 때가 있는 내가 ‘나, 여자이긴 여자구나.’라고 느껴질 때가 있는데, 바로 이런 것들을 좋아할 때이다.
5.
가을의 표정에 마음을 빼앗겨 사진으로 남겼다.
자연은 왜 이렇게 아름다운 것이냐, 라고 자연에게 물어보았다.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 그저 온몸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할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