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군가에게 홀린 사람은 자기를 홀린 것이 그 사람의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한다. 얼굴선, 몸매, 눈빛 같은 것에 실려 있는 어떤 것, 손에 잡히지 않는 어떤 기운이지, 얼굴선이나 몸매나 눈빛 자체는 아닌 것이다. 홀림당한 사람은 이성적 판단을 할 줄 모른다. 아니, 홀림은 이성적 판단에 잡히지 않는다. (···) 따라서 설명될 수 없는 것이 매력이다.
- 이승우 저, <사랑의 생애>, 72쪽.
..........
이번 달에 <사랑의 생애>를 완독했다. 위의 글을 읽다가 내가 대학 일년생이었던 과거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학교 앞 다방에서 친구들과 넷이 모여 앉아 한 가지 주제에 집중해 얘기를 나눴던 어느 시간 속이다. 우리는 그때 남학생과 미팅을 몇 번 했던 터라 남자에 대해 알고 싶은 게 많은 때였다. 우리가 가장 궁금했던 것 즉 미팅을 할 때 우리 눈에 어떤 남학생이 멋있게 보이는 건지 우린 어떤 사람에게 끌리는 건지 하는 것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였다. 그러니까 미팅 파트너의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하는 것에 대해 얘기를 나눈 것이다. 외모인가? 학벌인가? 성격인가? 목소리인가? 집안인가?
누군가의 입에서 처음 나온 말인지 기억나지 않지만, 이런저런 얘기 끝에 만장일치로 명쾌하게 내린 그때의 결론을 지금도 기억한다. 그것은 상대의 빼어난 외모도 아니고, 좋은 학벌도 아니고, 호감 가는 성격도 아니고, 성우와 같은 목소리도 아니고, 든든한 백이 있거나 부유한 집안도 아니고 그저 상대가 풍기는 ‘분위기’였다. 그 ‘분위기’에 따라 우리의 마음이 흔들리는 거라고 단정을 지었다. 다시 말해 남자가 풍기는 분위기가 좋으면 우리가 끌리는 것이라고 단정을 지었다. 우리 나이 고작 스물이었다. 이성에 대한 호기심으로 눈을 반짝이던 풋풋한 스물.
지금 생각하면 우리를 끌리게 하는 것이 상대의 ‘분위기’인 게 맞는지 잘 모르겠다. 같은 조건의 두 사람 중에서 잘생긴 사람보다 잘생기지 않은 사람에게 끌리는 경우가 있다면 그 이유를 ‘분위기’로 설명할 땐 제법 설득력을 갖는 것 같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설명하면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사람에 따라 상대의 외모, 학벌, 성격, 목소리, 집안, 눈빛, 어떤 태도, 어떤 재주, 말솜씨, 지성미, 야성미 등 여러 변수 중 그 어떤 것에 유독 끌리는 게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는 그것들의 총합이 남들보다 월등하여 끌리는 경우도 있겠다. 반대로 초라해 보이는 사람에게 연민을 느껴 끌리는 경우도 있겠다.
이런 경우는 어떤가? “그의 매력을 뭐라 설명할 수 없지만 어쩐지 그가 좋아.”라고 말할 경우다. 어쩌면 ‘어쩐지’라고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제일 큰 매력을 나타내는 것인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