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사촌 언니의 남편, 그러니까 내게 형부가 되는 분이 돌아가셔서 장례식장에 다녀왔다. 고인은 63세밖에 안 됐으니 죽기엔 아까운 나이다. ‘간경화’라는 병이 있음에도 술을 마셔대는 환자였고, 자신의 병이 고칠 수 없는 병임을 알고 비관하는 환자였고, 우울증까지 있는 환자였기에 사촌 언니도 조카도 마음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가출하여 연락이 끊긴 채 사흘이 지나 귀가한 적도 있다니 가족으로서 그런 환자를 보며 사는 게 얼마나 힘들었을지 짐작이 간다.

 

 

장례식장에서 사촌 언니와 조카를 보자 안쓰러운 마음부터 들었다. 그리고 불행한 삶을 잘 견디어 낸 그들에게 축하라도 해 주고 싶은 심정이 되었다. 죽음은 본인에게도 가족에게도 분명 슬픈 일이지만 고통을 받으며 살았던 환자도, 환자의 고통을 지켜보며 살았던 그들도 불행한 삶으로부터 해방된 것이 다행스럽게 생각되었다. 

 

 

불치병 앞에서 우리는 삶을 변화시킬 힘 같은 건 없다. 이럴 때 삶이란 그저 견디며 사는 것. 견디다 보면 끝은 있는 것. 병이 낫든지 병으로 죽든지 그 끝이 올 때까지 우리는 죄를 짓지 않으며 최선을 다해야 할 뿐이다. 묵묵히 시간을 흘려보내야 할 뿐이다. 그것밖에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
우리의 일상은 얼다가 녹다가 하는 일의 반복이에요. 이 지루한 아름다움! 우리가 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얼마 되지 않아요. 오직 견디는 것뿐. 위로 안 받기 위해, 좀더 강해지기 위해 우리는 시를 쓰는 거예요.

 

이성복, <무한화서>, 109쪽.
....................

 

 

 

....................
- 아침부터 저녁까지 무엇을 하십니까?
- 내 자신을 견딥니다.

 

에밀 시오랑, <지금 이 순간, 나는 아프다>, 53쪽. 
....................

 

 

 

 

 

 

 

 

 

 

 

 

 

 

 

 

 

 

 

 

 


 

나도 아무것도 할 수 없고 그저 견디기만 해야 하던 때가 있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의 시간들과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의 시간들. 2013년 8월의 시간들이었다. 잠에서 깨어난 아침부터 잠이 드는 밤까지 그저 견디기만 했다. 그것밖에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다. 돌아가고 싶은 평범한 일상은 아름다웠고 너무 멀리 있었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8-06 1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6 11: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16-08-06 1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ek님, 더위에 어떻게 지내세요.
견디며 사는 걸 ˝시기˝라고 생각되던 때, 이제 그것도 과거형이 되려고 해요. 지금은요, 그건 어느 한 시기가 아니라, 사는게 다 견디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에밀 시오랑의 말처럼 견디는건 다름아닌, 이런 생각들을 하는 내 자신이고요.
하지만 에밀 시오랑의 말보다 사실 pek님의 마지막 네줄이 제 가슴에 와서 팍 하고 꽂히네요. 이렇게 공감이 될 수가 있나요.

페크pek0501 2016-08-08 21:16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가슴에 와서 팍... ㅋ
귀한 댓글이십니다.

우리가 같은 경험을... 그래서 공유하는 뭔가가 있다는 걸 잘 알지요.
반갑습니다.

stella.K 2016-08-06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일이 있으셨군요.
어쩐지 요즘 뜸하시다 했어요.

근데 전 왠지 견디는 것 보단 곁에서 살아주는 것이 인생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해요.
비록 우리가 정해진 시간을 사는 거지만 살아 있는 동안은 같이 살아주는 거죠.
그게 얼마가 됐던지간에.
견디는 거라면 얼마나 처절하겠어요.
형부께서도 그걸 아셨다면 살아 있는 동안 가족들과 의미 있는 삶을 살다
돌아가셨으면 좋았을 텐데...

저도 이번 달이 오빠가 떠난지 3년째 되네요.
전 비록 오빠를 좋아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마지막은 참 고맙더라구요.
그렇게 끝까지 잘 견디다 돌아가 줘서.
미리 포기했으면 살아있는 가족들이 더 많이 힘들어 했을텐데 말입니다.
끝까지 함께 잘 있어주는 게 우리의 임무인 것 같아요.

페크pek0501 2016-08-08 21:18   좋아요 0 | URL
오잉?
스텔라 님께서 이런 말씀을 해 주시다니...
- ˝곁에서 살아주는 것이 인생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해요.˝
꼭 기억해 놓고 싶은 문구올시다. 고맙습니다.

cyrus 2016-08-06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외로움 그리고 지루함을 견디기 위해서 책을 읽어요. 그 시간들이 단순하고, 더 지루하지만 아무 것도 안하면서 회의감에 빠지면서 지내는 것보다 낫다는 생각이 들어요.

페크pek0501 2016-08-08 21:19   좋아요 0 | URL
백 배 낫습니다. 저도 그렇게 살고 싶은 걸요.
책 읽는 것밖엔 할 일이 없는 노년의 삶을 은근 기대합니다.

세실 2016-08-07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 자신을 견딘다는 말이 마음 아프지만,
올해 제 나이가 유난히 힘듭니다.
그저 하루 하루 견딘다는 기분 알듯 말듯 합니다.
더위도 사람을 지치게 하네요.

페크pek0501 2016-08-08 21:21   좋아요 0 | URL
세실 님이 이제 제 마음 상태를 아시려나요? ㅋ
하루하루 늙어가고 있습죠. 저는 그래요.

더위가 지치게 하지만 책으로 버티고 있는 중이랍니다.
반갑고 고맙습니다. ^^

2016-08-07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8 2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성에 2016-08-08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읽으며 너무 뻐근해서 숨이 막힙니다.
< 사는 것은 오직 견디는 것뿐, 돌아가고 싶은 평범한 일상은 아름다웠고
너무 멀리 있었다.>
팩님은 감성을 걷어올려 언어로 낚아채는 연금술사처럼 경이로와요.
배우고 싶어요.

저는 미국서 한국에 잠시 다니러 와 한국의 삼복더위를 심층 체험하고 있어요 ㅎㅎ



페크pek0501 2016-08-08 21:25   좋아요 0 | URL
경이로웠으면 좋겠습니다. 정말로... ㅋ

요즘은 날씨가 경이롭습니다. 입추가 지났고 밤엔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는데
여름의 열기는 식을 줄 모르네요.

고맙습니다. 자주 들러 주신다면 영광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