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람둥이 독서광 : 책을 좋아하는 당신은 어떤 면에서 바람둥이 남성과 같을 것이다. 한 여성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동시에 여러 여성들을 만나는 바람둥이처럼 당신은 한 권의 책에 만족하지 못하고 동시에 여러 책들을 만날 것이다. 그래서 어떤 날은 이 여성을 만나고 어떤 날은 저 여성을 만나는 바람둥이처럼, 당신은 어떤 날은 이 책을 만나고 어떤 날은 저 책을 만나는 병렬 독서법으로 책을 읽을 것이다. 나도 그렇다. 4~5권의 책을 그런 방법으로 읽고 있다.
그렇게 4~5권의 책을 함께 읽는 이유는 이러하다. 한 가지의 책에만 빠져 있을 수 없을 만큼 매혹적인 다른 책의 유혹이 있기 때문이다. 어제 이 책을 읽었다면 오늘은 매혹적인 저 책이 유혹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 유혹에 기꺼이 빠진다.
이번에 나를 유혹한 것은 프리드리히 니체 (지은이), 시라토리 하루히코 (엮은이), <초역 니체의 말 2>이란 책이다.
니체가 이미 썼다 : 니체의 글을 읽으며 감탄했다. 내가 이제껏 여러 책들에서 배웠던 많은 것들이 1844년생인 니체가 이미 그 옛날에 써 놓은 글이었기 때문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고 그저 옛것의 변주곡이 있을 뿐이라는 것을 니체가 새삼 느끼게 해 주었다. 니체를 우러러보게 되는 이유다.
니체의 힘 : 니체의 글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많은 글감이 떠올랐다. 좋은 글은 독자로 하여금 글을 쓰고 싶게 하는 힘이 있는 것일까.
2.
이 책은 두 시간이면 족히 읽을 책이지만 스무 시간을 들여 글의 뜻을 헤아리며 찬찬히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좋은 글이 많이 있다. 특히 이런 글에 내 마음이 꽂혔다.
재밌다는 것은?
한 사람이 “이 일이 최고로 재미있어.”라고 말한다. 다른 사람은 “뭐니 뭐니 해도 카약을 타고 급류를 즐기는 게 최고지.”라고 말한다. 누군가는 ”차(茶)의 깊은 맛을 보고 나면 누구든 헤어 나오지 못할걸.“이라고 말하고, 또 다른 이는 ”달리고 있으면 몸이 얼마나 좋아하는데.“라고 말한다. (…) 모두가, 자신이 하는 일이 재미있고 즐겁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은 일 자체가 흥미롭기보다는 그 일에 열중하고 있는 자기 자신이 기쁜 것이다.
...........................................................................................................................<초역 니체의 말 2>, 107쪽.
책을 쓴다는 것은?
책을 쓴다는 것은 무엇을 가르치기 위함이 아니다. 독자보다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함도 아니다. 책을 쓴다는 것은 무언가를 통해 자기를 극복했다는 일종의 증거다. 낡은 자기를 뛰어넘어 새로운 인간으로 탈피했다는 증거다. 나아가 같은 인간으로서 자기 극복을 이룬 본보기를 제시함으로써 누군가를 격려하고자 함이요, 겸허히 독자의 인생에 보탬이 되려는 봉사이기도 하다.
...........................................................................................................................<초역 니체의 말 2>, 116쪽.
학습의 효과는?
우리는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그 지식이란 것은 정작 사회에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당연한 말이다. 고작 몇 년 공부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란 보잘 것 없기 때문이다. 실상 학습의 효과는 다른 데 있다. 바로 능력의 단련이다. 열심히 조사하는 힘, 추리 혹은 추론하는 힘, 지구력이나 인내력, 다면적으로 바라보는 힘, 가설을 세워보는 힘…… 학습을 통해 이 같은 다양한 능력을 갈고 닦을 수 있다. 이렇게 경험으로 체득한 능력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귀중한 도움을 준다.
...........................................................................................................................<초역 니체의 말 2>, 152쪽.
슬픔을 잊게 하는 것은?
‘시간이 슬픔을 잊게 한다.’고들 흔히 말한다. 그러나 모두가 알고 있듯이 실제로 시간이 우리를 위해 무언가를 하지는 않는다. 그럼 무엇이 슬픔을 잊게 하는 것일까. 그것은 생활 속에 녹아 있는 개개인의 작은 즐거움, 기쁨, 소소한 만족이다. 그것들이 켜켜이 쌓이면 슬픔과 고통은 어느새 옅어지고, 이윽고 멀리 자취를 감춘다. ...........................................................................................................................<초역 니체의 말 2>, 175쪽.
니체의 글을 보면 정리가 잘 된 집을 보는 것 같다. 그 집은 아름답다.
어떤 문장은 한 편의 시를 읽는 듯하다. 다음과 같이.
175쪽.
“그것들이 켜켜이 쌓이면”
“슬픔과 고통은 어느새 옅어지고,”
“이윽고 멀리 자취를 감춘다.”
외우고 싶을 정도로 참 좋구나.
3.
1) 곡식이 누렇게 익은 들판 위에 푸른 하늘이 있고 거기에 새 한 마리가 날아가는 그림이 있다. 이 그림에서 어떤 이는 들판이 누렇게 익어 평화로워 보인다고 하고 어떤 이는 새 한 마리가 짝이 없어 고독해 보인다고 한다. 같은 그림에 대해서 ‘평화’를 보는 이가 있고 ‘고독’을 보는 이가 있다. 그가 바라보는 세계란 이미 그의 일부이다.
2)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인해 집을 팔고 작은 전셋집에서 살게 되고 게다가 남편은 중국에 가서 일하게 되어 부부가 따로 떨어져 살게 된 지인이 있다. 부부는 가난하지만 사이가 좋아서 아내는 남편을 그리워한다. 이 얘기를 듣고 어떤 이는 사이좋은 부부가 경제 사정으로 떨어져 살게 되었으니 불행한 부부라고 하고, 어떤 이는 그런 상황에서도 사이좋으니 행복한 부부라고 한다. 그가 바라보는 세계란 이미 그의 일부이다.
3) 의자에 앉아 창밖을 본다. 당신 손에는 따뜻한 커피 한 잔 들려 있다. 당신은 커피 향이 나는 그것을 마시며 맛을 느낀다. 어떤 날은 달콤하고 어떤 날은 달콤하지 않다. 어떤 날은 한 잔을 더 마시고 싶고 어떤 날은 더 이상 마시고 싶지 않다. 당신이 느끼는 커피의 맛은 이미 당신의 일부이다.
4) 의자에 앉아 창밖을 본다. 내 마음은 창밖 풍경 속으로 들어간다. 자연 그대로의 날씨가 만들어 내는 각각의 얼굴이 있다. 여러 얼굴을 갖고 있는 풍경을 감상하길 좋아한다. 눈 오는 날, 비 오는 날, 햇살 밝은 날, 바람 부는 날, 흐린 날 등의 풍경들. 하지만 내가 만들어 내는 모습의 풍경도 있다. 햇살 밝은 날, 어떤 때엔 즐거운 풍경을 보고 어떤 때엔 우울한 풍경을 본다. 비 오는 날, 어떤 때엔 즐거운 풍경을 보고 어떤 때엔 우울한 풍경을 본다. 같은 풍경이라도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은 내 마음 때문이리라. 내가 바라보는 세계란 이미 나의 일부이다.
같은 형식으로 1)에서 4)까지 네 문단의 글을 써 봤다. 내가 니체의 다음의 글을 네 가지로 설명해 본 것이다.
사람의 눈은 카메라의 렌즈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렌즈처럼 앵글에 비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투과시키지 않는다. 가령 석양에 물든 산자락을 넋을 잃고 바라볼 때도 자연의 풍광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다. 본인 스스로는 마음을 비우고 본다 생각할지라도, 실상은 바라보는 대상 위에 영혼의 얇은 막을 무의식적으로 덮어씌운다. 그 얇은 막이란 어느 사이엔가 성격이 되어버린 습관적인 감각, 찰나의 기분, 다양한 기억의 편린들이다. 풍경 위에 이러한 막을 얹고, 막 너머를 희미하게 바라보는 것이다. 즉 인간이 바라보는 세계란 이미 그 사람의 일부이다. - <초역 니체의 말 2>, 21쪽. |
이 글을 기억해 두고 싶다. 그 이유는 어떤 일을 전해 들을 땐 누구의 말도 백 퍼센트 믿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생각해 냈기 때문이다. 전해 주는 사람이 재해석하여 전해 줌으로써 사실이 왜곡될 수 있어서다.
예를 들면 우리는 두 사람이 싸웠을 때 한 쪽의 말만 믿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경솔할 수 있다는 것. 제삼자의 말을 믿고 판단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인간은 그 무엇도 있는 그대로 보지 않으므로.
<초역 니체의 말> <초역 니체의 말 2>
<초역 니체의 말>에는 어떤 글이 들어 있을지 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