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 - 수필가 배혜경이 영화와 함께한 금쪽같은 시간
배혜경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11월
평점 :
며칠 전(2021-11-20)에 출간된 책이 있다. 좋은 책은 빨리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리뷰를 급하게 올리기로 했다.
남들은 하나의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차근차근 하나씩 해 나가며 애써서 완성하는데, 어떤 이는 슬렁슬렁하는 것 같은데 남들보다 여러 면에서 앞서 있다. 내가 온라인에서 오랫동안 지켜 본 프레이야 님은 그런 사람이다.
프레이야 님의 본명은 배혜경. 강사, 낭독자, 편집장, 수필가, 그리고 책 네 권의 저자다. 다방면에 재능이 있어서 배혜경 님의 재능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부문이 무엇인지 나로선 알 수가 없다.
이번에 낸 책의 제목은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이다.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글 한 편 한 편이 마치 일간지에 실린 전문가의 에세이를 보는 것 같아 감탄하다가, 특별히 내 시선을 멎게 하는 좋은 글이 있어 여기에 옮기는 걸로 리뷰를 대신한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탐독하길 바라면서.
(112쪽)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인생은 연극이라는 클리셰를 빌리지 않아도 ‘나’를 제대로 연기하면서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다. ‘나’는 수많은 이미지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존재로 시시각각 상이한 이미지들이 고개를 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미지들은 절대적이라기보다 상대적인 경우가 많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우리의 이미지란 타인에 의해 규정되는 측면이 있고 타인에 의해 그 가치 또한 매겨지곤 한다. 더구나 온전히 ‘나’가 그 이미지들을 통제하기란 쉽지 않다. 수행하도록 강요되고 암묵의 요구를 받으며 그 이미지들의 건사와 건재를 위해 ‘나’를 끊임없이 재건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그러다 이미지들이 어느 날 ‘나’를 통째로 집어삼킬지도 모를 일이다.
(112쪽) 중요한 건 이미지들은 온전히 믿을 건 못 된다는 사실이다. 이미지에 가려져 있는 실체를 간과하기 쉽다. 자기가 바라는 허상에, 스스로 속는 것이다. 이미지로 똘똘 뭉쳐 우리를 세뇌한 여배우들에게 알고도 모르고도 속는 것처럼. 그들의 아름다운 이미지 앞에 굴복하고 숭배의 감탄사를 내뱉고 질투의 입김을 뿜는 것처럼. 그래도 하는 수 없다. 그게 이미지란 것이고 가려진 혹은 투사된 ‘나’이기도 하니까. 이미지들에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오히려 그 어두운 굴로 들어가야 할지 모른다. 그 굴의 끄트머리에는 구름이 쉼 없이 변주하듯 다른 이미지로 나아갈 수 있는 샛문이 아가리를 벌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112쪽)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인생은 연극이라는 클리셰를 빌리지 않아도 ‘나’를 제대로 연기하면서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다. ‘나’는 수많은 이미지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존재로 시시각각 상이한 이미지들이 고개를 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미지들은 절대적이라기보다 상대적인 경우가 많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우리의 이미지란 타인에 의해 규정되는 측면이 있고 타인에 의해 그 가치 또한 매겨지곤 한다. 더구나 온전히 ‘나’가 그 이미지들을 통제하기란 쉽지 않다. 수행하도록 강요되고 암묵의 요구를 받으며 그 이미지들의 건사와 건재를 위해 ‘나’를 끊임없이 재건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그러다 이미지들이 어느 날 ‘나’를 통째로 집어삼킬지도 모를 일이다.
(112쪽) 중요한 건 이미지들은 온전히 믿을 건 못 된다는 사실이다. 이미지에 가려져 있는 실체를 간과하기 쉽다. 자기가 바라는 허상에, 스스로 속는 것이다. 이미지로 똘똘 뭉쳐 우리를 세뇌한 여배우들에게 알고도 모르고도 속는 것처럼. 그들의 아름다운 이미지 앞에 굴복하고 숭배의 감탄사를 내뱉고 질투의 입김을 뿜는 것처럼. 그래도 하는 수 없다. 그게 이미지란 것이고 가려진 혹은 투사된 ‘나’이기도 하니까. 이미지들에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오히려 그 어두운 굴로 들어가야 할지 모른다. 그 굴의 끄트머리에는 구름이 쉼 없이 변주하듯 다른 이미지로 나아갈 수 있는 샛문이 아가리를 벌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