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 - 수필가 배혜경이 영화와 함께한 금쪽같은 시간
배혜경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2021-11-20)에 출간된 책이 있다. 좋은 책은 빨리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리뷰를 급하게 올리기로 했다.







남들은 하나의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차근차근 하나씩 해 나가며 애써서 완성하는데, 어떤 이는 슬렁슬렁하는 것 같은데 남들보다 여러 면에서 앞서 있다. 내가 온라인에서 오랫동안 지켜 본 프레이야 님은 그런 사람이다.

 


프레이야 님의 본명은 배혜경. 강사, 낭독자, 편집장, 수필가, 그리고 책 네 권의 저자다. 다방면에 재능이 있어서 배혜경 님의 재능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부문이 무엇인지 나로선 알 수가 없다. 



이번에 낸 책의 제목은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이다.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글 한 편 한 편이 마치 일간지에 실린 전문가의 에세이를 보는 것 같아 감탄하다가, 특별히 내 시선을 멎게 하는 좋은 글이 있어 여기에 옮기는 걸로 리뷰를 대신한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탐독하길 바라면서.




(112쪽)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인생은 연극이라는 클리셰를 빌리지 않아도 ‘나’를 제대로 연기하면서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다. ‘나’는 수많은 이미지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존재로 시시각각 상이한 이미지들이 고개를 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미지들은 절대적이라기보다 상대적인 경우가 많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우리의 이미지란 타인에 의해 규정되는 측면이 있고 타인에 의해 그 가치 또한 매겨지곤 한다. 더구나 온전히 ‘나’가 그 이미지들을 통제하기란 쉽지 않다. 수행하도록 강요되고 암묵의 요구를 받으며 그 이미지들의 건사와 건재를 위해 ‘나’를 끊임없이 재건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그러다 이미지들이 어느 날 ‘나’를 통째로 집어삼킬지도 모를 일이다. 




(112쪽) 중요한 건 이미지들은 온전히 믿을 건 못 된다는 사실이다. 이미지에 가려져 있는 실체를 간과하기 쉽다. 자기가 바라는 허상에, 스스로 속는 것이다. 이미지로 똘똘 뭉쳐 우리를 세뇌한 여배우들에게 알고도 모르고도 속는 것처럼. 그들의 아름다운 이미지 앞에 굴복하고 숭배의 감탄사를 내뱉고 질투의 입김을 뿜는 것처럼. 그래도 하는 수 없다. 그게 이미지란 것이고 가려진 혹은 투사된 ‘나’이기도 하니까. 이미지들에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오히려 그 어두운 굴로 들어가야 할지 모른다. 그 굴의 끄트머리에는 구름이 쉼 없이 변주하듯 다른 이미지로 나아갈 수 있는 샛문이 아가리를 벌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112쪽)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인생은 연극이라는 클리셰를 빌리지 않아도 ‘나’를 제대로 연기하면서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다. ‘나’는 수많은 이미지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존재로 시시각각 상이한 이미지들이 고개를 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미지들은 절대적이라기보다 상대적인 경우가 많다.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우리의 이미지란 타인에 의해 규정되는 측면이 있고 타인에 의해 그 가치 또한 매겨지곤 한다. 더구나 온전히 ‘나’가 그 이미지들을 통제하기란 쉽지 않다. 수행하도록 강요되고 암묵의 요구를 받으며 그 이미지들의 건사와 건재를 위해 ‘나’를 끊임없이 재건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그러다 이미지들이 어느 날 ‘나’를 통째로 집어삼킬지도 모를 일이다.

(112쪽) 중요한 건 이미지들은 온전히 믿을 건 못 된다는 사실이다. 이미지에 가려져 있는 실체를 간과하기 쉽다. 자기가 바라는 허상에, 스스로 속는 것이다. 이미지로 똘똘 뭉쳐 우리를 세뇌한 여배우들에게 알고도 모르고도 속는 것처럼. 그들의 아름다운 이미지 앞에 굴복하고 숭배의 감탄사를 내뱉고 질투의 입김을 뿜는 것처럼. 그래도 하는 수 없다. 그게 이미지란 것이고 가려진 혹은 투사된 ‘나’이기도 하니까. 이미지들에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오히려 그 어두운 굴로 들어가야 할지 모른다. 그 굴의 끄트머리에는 구름이 쉼 없이 변주하듯 다른 이미지로 나아갈 수 있는 샛문이 아가리를 벌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감 2021-11-27 19:0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역시 알라디너 중에는 대단한 분이 많군요. 이제 프레이야님을 편집장님이라고 불러야겠어요~ ^^

페크pek0501 2021-11-27 21:59   좋아요 2 | URL
그렇죠? 한마디로 알라딘 서재에는 ‘능력자‘가 많아요.
글 잘 쓰시는 분들도 많고요. 물감 님을 비롯해 제 서재에 댓글을 남기는 분들 모두
글을 잘 쓰세요. 그래서 이달의 당선작의 단골들이잖아요.ㅋㅋ ^^

stella.K 2021-11-27 20: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프레이야님이 편집장님이기도 하군요.
왜 난 그걸 몰랐을까요?ㅠ
참 열심히 사시는 분이세요.^^

근데 왜 책이 열으로 누웠을까요?ㅋ

페크pek0501 2021-11-27 22:04   좋아요 2 | URL
예. 다방면으로 열심히 사시는 분이에요.

스텔라 님, 사진 말씀 잘 해 주셨어요. 멋으로 눕혀 봤던 건데... 제가 옆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 사진을 좋아하는지라... 그런데 님의 댓글 보고 사진을 보니 어색하네요.
그래서 세로로 된 사진으로 바꿔 놓았어요. 푸훗... 감사합니다.^^


서니데이 2021-11-28 00: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페크님 빠르십니다. 저는 어제 저녁에 도착해서 확인만 하고 아직 읽지 못했어요.
그러고보니 하루 사이면 읽을 수 있을 시간이긴 합니다만.^^;
잘 읽었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페크pek0501 2021-11-28 16:00   좋아요 1 | URL
제가 빨랐나요? 저도 완독하진 못했어요. 25일 아침에 책을 받아 3일째 되는 날에 이 글을 올렸으니 책을 훓어보기엔 충분한 시간이 있었죠.
이 책은 속도를 내서 읽기보다 천천히 음미하며 읽어야 할 책 같아요.
좋은 휴일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

희선 2021-11-30 01: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나 하기도 힘들 텐데 여러 가지를 하시다니 멋지네요 다 좋아해서 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페크 님도 책읽기뿐 아니라 글쓰기도 좋아하시는군요

십일월 마지막 날이에요 벌써 그렇게 되다니 2021년 얼마 남지 않았네요 페크 님 오늘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페크pek0501 2021-11-30 13:41   좋아요 1 | URL
다재다능하신 분이 있지요.
여기서 활동하는 알라디너 분들 대부분이 독서와 글쓰기를 좋아할 거라고 봐요.
위 7번의 명대사에도 있듯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 잘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생기와 활력이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그렇네요. 이제 달력 한 장 남았네요.
좋은 시간을 많이 가지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