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일이 일어나도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슬퍼해서는 안 된다. 어떤 사건이라 해도 갑작스럽게 모습이 바뀔 정도로 사물은 변하기 쉬우며, 또 우리에게 이롭거나 불리한 것이라는 판단은 그릇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에게 참으로 최선이라고 판명된 것에 대해 불평을 한다든지 최대의 괴로움이 되는 원천에 대해 환호성을 지르는 일이 나중에 한 번은 있다.(202쪽)
- A. 쇼펜하우어 저, <쇼펜하우어 인생론>에서.
....................
→ 언젠가는 형세가 바뀌기 마련이니 좋은 일이 생겼다고 기뻐하지 말고 나쁜 일이 생겼다고 슬퍼하지 말라는 것.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보겠다. 한 여성이 교제하던 남자로부터 이별 통보를 받았다. 남자는 그녀를 냉정하게 뿌리치고 떠났다. 그녀는 마음의 평안을 잃고 괴로웠으니 이별은 불행한 일이었다. 그런데 3개월 뒤에 튼튼한 직장을 가지고 있고 마음씨도 착한 남자를 알게 되어 서로 사랑하게 되었고 1년 연애 끝에 둘은 결혼하게 되었다. 그녀의 가족은 그녀가 예전에 사귀던 남자보다 더 믿음이 가는 남자와 결혼하게 되었다고 내심으로 기뻐했다. 결국 예전의 이별은 나쁜 일이 아니었고 좋은 일이었다. 이처럼 전화위복이 되는 일은 우리 인생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이런 사례가 있을 수 있다. 재벌가의 며느리가 될 모 연예인은 주위의 부러움을 사며 결혼식을 올렸으나 결혼한 지 4년 만에 이혼을 하게 되었고 자녀 양육권 문제로 소송을 준비해야 했다. 행복한 일이 될 줄 알았던 결혼은 불행을 초래하였다.
양지는 음지가 되고 음지는 양지가 되는 게 인생이라는 것을 우리는 살면서 이미 경험하지 않았던가. 자신을 기분 좋게 만들었던 일이 나중에 생각해 보면 실은 나쁜 일이었고, 자신을 기분 나쁘게 만들었던 일이 나중에 생각해 보면 실은 좋은 일이었던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행복할 때 불행한 일이 일어나기도 하고 불행할 때 행복한 일이 일어나기도 하는 건 흔한 일이다. 그러니 낙관도 비관도 불필요한 것이다.
그저 매 순간 작은 것에 감사하며 사는 게 ‘지혜’라고 생각한다. 건강함에 감사하고, 굶주리지 않음에 감사하고, 집에 화재가 나면 인명 피해가 없음에 감사하고, 두 다리로 걸을 수 있음에 감사하고, 걸을 수 없다면 두 팔이 건강함에 감사하고. 아무리 마음의 지옥에 빠진 사람이라도 최소한 감사할 것이 한 가지는 있는 법이니까.
(202쪽) 어떤 일이 일어나도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슬퍼해서는 안 된다. 어떤 사건이라 해도 갑작스럽게 모습이 바뀔 정도로 사물은 변하기 쉬우며, 또 우리에게 이롭거나 불리한 것이라는 판단은 그릇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에게 참으로 최선이라고 판명된 것에 대해 불평을 한다든지 최대의 괴로움이 되는 원천에 대해 환호성을 지르는 일이 나중에 한 번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