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해가 시작되고 일주일이 지나 1월 8일이 되었다. 시간은 쉬는 법이 없으니 내가 어떤 일에 몰두하고 있는 사이에 냉큼 가 버린다. 그럴 때면 ‘이자는 휴일도 쉬지 않는다.’라는 말을 떠올리곤 한다.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라는 책에 나오는 ‘1만 시간의 법칙’은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최소한 1만 시간 정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이다. 어떤 분야에 1만 시간만 투자하면 누구나 전문가(프로)가 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1만 시간은 매일 3시간씩 훈련할 경우 약 10년이 걸린다고 한다.
내가 글쓰기에 보낸 시간이 1만 시간이 되는지 안 되는지 모르겠지만 독서를 한 시간까지 보태면 아마 1만 시간이 넘을 것 같다. 오랜 동안 독서와 글쓰기로 시간을 보내고 나서 내가 깨달은 게 있다. 어떤 분야든 1만 시간을 투자해 노력하는 시간을 보내고 나면 자기 능력의 한계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이것을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하나는 자기 한계를 아는 지점까지 왔으니 훌륭한 일이고 이제 그 한계를 뛰어넘을 차례라고 보는 것이고, 또 하나는 자기 한계를 알고 실망하며 그 안에 머물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는 후자에 속한다. 이제 나의 글쓰기 능력은 여기까지라고 인정했다는 말이다.
예전에는 지금보다 나은 글을 미래에 쓸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살았고 이 희망이 있어서 행복할 수 있었다. 지금의 이 지점이 내 자리임을 자각하는 순간이 오자 김이 샌 느낌을 받았다. 앞으로 글을 쓰면 못 쓴 글이 되거나 최고로 잘 써도 지금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것밖에 안 될 것이니 그 동안이 행복했구나, 하는 생각마저 든다.
2.
그래도 글쓰기는 여전히 즐겁다. 바둑을 두는 취미를 가진 사람이 바둑알을 가지고 노는 것처럼 내게 있어 글쓰기란 문장을 가지고 노는 시간이다.
글을 쓰면서 조금씩 알아 가고 있다. 나, 라는 사람에 대해서. 처음엔 글쓰기가 세상에 대해 그리고 인간에 대해 알게 되는 것이라 여겼는데 언제부터인가 글쓰기는 나 자신에 대해 알아 가는 작업이 되고 있다.
언제나 어려운 건 글쓰기. 어려워서 할 만한 작업이라 여긴다. 어려워서 애초에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나 보다.
3.
...............
어느 집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보고도 신고하지 않고 귀찮다며 그냥 지나친 적은 없는가?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집 잃고 울고 있는 어린애를 보고도 바쁘다며 그냥 지나친 적은 없는가? 이웃에서 불길하고 수상한 울음소리를 듣고도 남의 일이라며 그냥 지나친 적은 없는가? 나는 나에게 물어 보았다.
우리가 인정이 없는 메마른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면, 나는 가해자만 되는 게 아니라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 나의 칼럼 ‘그냥 지나친 적은 없는가’에서 발췌한 것.
...............
예전에 쓴 ‘그냥 지나친 적은 없는가’를 최근 다시 읽고 나서 생각했다. 남의 불행을 보고 그냥 지나치는 것은 최선을 다한 삶이 아니기에 우리가 매일 최선을 다하며 산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하고.
4.
2020년이다. 새해에 좋은 일만 있기를 바랄 수는 없다. 누구에게나 있는 나쁜 일을 나만 피하게 해 달라고 기도할 수 없는 노릇이다. 이건 ‘양심 불량’이기도 하고, 가능한 일도 아니기 때문.
이렇게 기도할 수는 있다. 나쁜 일이 생긴다면 그래서 내가 불행에 빠진다면 어떻게든 위로 받을 일을 꼭 찾아내게 해 달라고 말이다. 그동안 그렇게 살았던 것처럼.
5.
갱년기가 아직 안 끝난, 지금의 나이가 되고 나니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나서 내 인생이 엎어지지만 않았으면 좋겠다는 작은 바람을 갖게 된다. 이런저런 일들을 겪으면서 큰 행복을 바라는 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를 알게 되었으니.
범사에 감사하며 내 글쓰기가, 내 인생이 엎어지지 않는 2020년이 되기를 소망하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