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토요일
나는 토요일이 좋다. 우리 식구 모두 늦잠을 잘 수 있어서 우선 좋고, 신간을 소개하는 신문 지면을 볼 수 있어서 좋고, 재밌는 TV 프로그램이 많아 좋다. TV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드라마 ‘왓쳐’가 있고 잠이 안 오면 밤11시에 방송하는 ‘속풀이쇼 동치미’가 있다. ‘속풀이쇼 동치미’를 시시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테지만 난 그걸 보며 남들의 생각을 읽는 게 흥미롭다. 설령 그 프로가 짜고 치는 고스톱인 부분이 있다고 할지라도 그걸 생각해 낸 것은 인간이니까 남들의 머릿속이 궁금한 나에겐 마찬가지로 흥미롭다. 인간 공부가 된다고 할까.
2. 계획
이런 계획을 세운 적이 있다. 매일 독서를 하되 칼럼집을 펼쳐 칼럼 한 편 이상 읽고 다른 책을 읽기. 밤에 잠자기 전엔 시집을 펼쳐 시 한 편 이상 읽기.
칼럼으로 시작해서 시로 끝나는 하루! 멋질 것 같았다. 그런데 잘 실천하다가 안과에서 치료를 받을 일이 생겨 버려서 이 계획을 미루고 또 미루다가 오늘이 되었다. 눈 치료는 끝났다. 더 이상 안과에 가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눈에 또 병이 날까 봐 마음놓고 책을 보지 못 하겠다. 그저 조금씩 책을 볼 뿐이다. 한 달에 열 권을 읽을 수 있었던 나의 삼십 대 초반의 시간들이 새삼 행복하게 느껴진다. 그땐 그게 행복이었는지 몰랐었는데.
나의 행복은 책에 대한 흥미를 변함없이 가지고 있다는 것.
나의 불행은 책을 실컷 볼 수 없다는 것.
역시 하늘은 두 가지 모두를 주지 않네.
3. 판단의 어려움
올바른 의견을 갖는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안다. 어떤 판단을 하려 할 때 보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다. 같은 일이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되기도 하고, 시간에 따라 생각이 변하기도 한다. 그래서 가장 현명한 최종 판단은 없다고 본다.
4. 어려운 일
지인이 큰 병을 얻거나 가족을 잃어 슬픔에 빠져 있다면 누구나 그를 위해 위로의 말을 건넬 수 있다. 함께 슬퍼하며 울어 줄 수도 있다. 이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어려운 일은 따로 있다. 지인이 회사에서 승진을 했거나 아파트 분양에 당첨되어 기쁨에 빠져 있을 때 진심을 다해 함께 기뻐해 주는 일이다. 이건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이 있듯이 배가 아프지 않으면 다행이다.
5. 후회
안톤 체호프의 ‘로실드의 바이올린’이라는 단편 소설을 한 번 더 읽었다. 아내 마르파가 죽어 가고 있을 때 야코프는 후회되는 일들을 떠올린다.
...............
할멈을 보며 야코프는 웬일인지 자기가 평생 단 한 번도 그녀를 소중히 대하거나 불쌍히 여기거나 손수건 한 장이라도 사주거나 결혼식장에서 뭔가 맛있는 것을 가져다줄 생각조차 한 적이 없으며, 항상 그녀에게 소리를 지르고 자기가 입은 손해 때문에 욕하고 주먹을 휘두르며 윽박지르기만 했다는 사실을 기억해 냈다. 물론 그녀를 때린 적은 없지만 그래도 위협은 했고, 그녀는 겁에 질려 꼼짝 못 하곤 했다. 그렇다. 그러잖아도 지출이 많았기에 그는 그녀가 차도 마시지 못하게 했다. 그래서 그녀는 뜨거운 물만 마셨다.(132쪽, 로실드의 바이올린)
- 안톤 체호프, <사랑에 관하여>에서.
...............
과거의 시간 속으로 들어가 보면 그때 왜 그랬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때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하며 후회되는 것들이 있다. 그래서였을 것이다. ‘로실드의 바이올린’을 인상적으로 읽었다.
나이가 들어도 인간은 미성숙하고 어리석고 경솔하다. 나를 보니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