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북으로 듣고 있는 <불안한 사람들>
한 멍청한 은행강도가 현금 없는 은행을 털러 들어갔다가 경찰이 출동하자 도망, 우연히 오픈하우스 진행 중인 아파트에 들어가 집 구경 중이던 사람들을 인질로 잡게 되는 한바탕 소동극을 메인 줄거리로 하고, 이 사건을 수사하는 경찰관 두 명의 이야기와 그들이 인질로 잡혔던 사람들 하나하나를 조사한 참고인진술 내용이 교차로 진행된다.
프레드릭 배크만은 그의 대표작인 <오베라는 남자>에서 보여주었듯, 비호감 캐릭터를 그려내는 데 일가견이 있다. <불안한 사람들>에서는 비호감 캐릭터가 대거 출동한다. 참고인조사 과정에서의 비협조적인 이들의 태도에 속이 터진다. 그러나 계속 가보자. 배크만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절반쯤 들었을 때 나는 여기 나오는 모든 사람들이 좋아졌다.
'로게르'는 <오베라는 남자>의 '오베'와 비슷한 캐릭터다. 그는 일견 무뚝뚝하고 부루퉁하고 사랑이라고는 1도 모를 인간 같지만, 그의 부인 안나레나가 계속 강조하듯("당신은 로게르를 몰라서 그래요."), 그 안에 깊은 사랑이 있다.
"로게르는 그런 방식으로 안나레나를 사랑했다."
예전에 썼던 <오베라는 남자> 리뷰(☞https://blog.aladin.co.kr/703039174/9263843)를 찾아봤다. 거기 옮겨 둔 이 부분을 읽으니, 로게르의 사랑 방식을 설명하기에 딱이라는 생각이 든다.
40년 가까이 함께 살면서, 소냐는 읽기와 쓰기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수백 명의 학생들을 가르쳤고, 그들에게 셰익스피어 전집을 읽혔다. 같은 기간 동안 그녀는 오베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한 편이라도 읽도록 하는 데 결코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들이 주택단지로 이사하자마자 그는 몇 주 동안 내내 저녁마다 헛간에서 시간을 보냈다. 마침내 그가 작업을 마쳤을 때, 그녀가 본 것 중 가장 아름다운 책장들이 거실에 놓였다.
"책들을 어디에 보관은 해야 하잖아." 그는 그렇게 중얼거리고는 드라이버 끝으로 엄지손가락에 난 작은 상처를 콕콕 찔렀다.
그녀는 그의 품에 파고들며 사랑한다고 말했다.
그는 고개를 끄덕였다. - <오베라는 남자> 210쪽
그리고 안나레나 또한, 그녀만의 방식으로 로게르를 사랑한다.
오픈하우스마다 찾아가서 싼값에 그 집을 사고, 함께 집을 멋지게 인테리어하여 값을 올려 파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반복하며 철새처럼 사는 그들의 생활- 남들은 이해할 수 없거나 돈 욕심에 그러겠거니 할 테다. 하지만 그것은 그들만의 사랑의 결과였다.
얼마 전, 자려고 들어가는 나를 붙잡고 남편이 인터넷 검색한 코트들을 보여줬다. 세 개의 후보를 보여주며 골라보라는 남편의 말에 열심히 보는 척 하면서, 고맙기도 하지만(내가 입을 코트였다), 약간 짠한 기분이 되었는데, 그건 그러니까...
옛날부터 나는 내 가방을 스스로 산 적이 거의 없다. 명품백 같은 건 관심도 없고, 들기 편한 것 하나 마음에 들면 주구장창 하나만 들고 다니는데다 물건을 험하게 쓰는 편이라 몇 년 못 가 금세 어딘가 뜯어지거나 닳아버렸다. 그래도 별로 신경 안 쓰는 성격이라 계속 들고 다니면, 엄마나 언니가 보다 못해 하나 사다 안겨주는 식이었다. 그리고 새 가방을 들고 다니기 시작하고, 시간이 지나면 또 같은 일이.....
이제 남편이 그 역할을 물려받은 것이다.(긁적)
<불안한 사람들>의 로게르를 생각하다가, 남편의 이런 행동도 나를 사랑하는 그의 방식이구나 싶었다.
자기 감정을 표현할 줄 모르게 교육받아 자란 많은 남자들이(사실 여자들도 표현법을 잘 배우지 못한 건 마찬가지다) 그걸 진중함으로 포장하면서, 파트너가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라는 초코파이적 정신으로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기고, 그건 부부상담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오랜 세월 함께하며 서로의 다름을 잘 알고 겉으로 드러난 것에 숨겨진 진정한 속내까지 알아보는 노부부의 모습에는 마음이 찡해지고 만다.
얼마전 끝내서 그런가, 의외로 로맨틱한 사랑 이야기가 들어 있는 게 놀라워서 그런가, <댈러웨이 부인>도 자꾸 함께 떠올랐다.
<댈러웨이 부인>에 등장하는 피터 월시. 클라리사 댈러웨이의 첫사랑이었던 이 남자는 신념이 확고하고 직설적인 남자인데, 클라리사에게 "안주인"이 될 거라며 비아냥거리는 말을 던져 상처를 주었더랬다. "속물"이라는 말과 거의 동일하게 느껴지는 저 말을 계속 의식하면서도, 클라리사는 파티의 안주인이 되기 위해 준비한다. 오랫동안 떠나 있다가 런던으로 돌아온 피터 월시는, 그런 클라리사의 파티에 나타난다. 비아냥거리거나 비난하지 않고, 그녀가 준비하는 꽃꽂이 속의 꽃이 되어 얌전히 파티의 일원이 되는 피터는, 그런 방식으로 클라리사를 여전히 사랑한다.
아, <댈러웨이 부인>의 마지막은 너무 로맨틱해.
그렇게 나름의 방식으로 사랑하고, 불안을 이겨내려는 몸부림. <불안한 사람들>을 통해 프레드릭 배크만이 그려내려는 것은 그것일까. 아직 70% 정도 들은 상태이지만 이미 이 책을 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