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밤, 아이들과 함께 잠들었는데 악몽이 나를 깨웠다.
공중화장실에 가서 칸 안에 들어가 문을 잠그려고 하는데 갑자기 남자 두 명이 문을 밀고 들어오려 해서 필사적으로 막으며 "살려주세요" 외치는 꿈. "살려.."가 잠꼬대로 현실화되는 바람에 깼다. 가끔 꾸는 류의 개꿈이다. 보통 이런 꿈을 꾸면 심장이 쿵쿵거리고 식은땀이 나는데 이번에는 다행히 그런 증상은 없었다. 하지만 잠이 오지 않아서 몇시간을 뒤척였다..
왜 이런 꿈을 꾸며 무서워해야 하는가.
장소는 고정된 것이 아니다. 때로는 집 안이고, 때로는 거리이고, 때로는 엘리베이터다. 공통점은 매우 일상적인 장소라는 것, 그리고 대항하기 힘든 수준의 폭력이 목전에 있다는 것이다. 꿈에서는 늘 폭력이 현실화 되기 전에 깨니까 그게 문제가 아니다. 꿈에 나올 만큼 긴장과 불안이 내면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인적이 드문 거리에서, 공중화장실에서, 거주하는 아파트 주차장과 엘리베이터에서, 심지어 집 안에서도(특히 벨이 울릴 때) 늘 달고 다니는 긴장과 불안이, 여성들에게는 낯설지 않을 것이다.
이런 걸 모르고 살 수 있다면, 그것이 특권이 아니고 무엇인가.
안전에 대한 욕구.
나는 많은 여성들이 결혼을 택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안전욕구라고 생각한다. 부잣집에 시집가서 안락하게 살고 싶어하는 여자들에게는 사치, 허영, 된장녀 이런 딱지가 붙지만, 그 뿌리는 결국 안전욕구라고 생각한다. 유흥가 술집의 공중화장실보다 고급식당과 바의 내부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이, 낡은 모텔보다 일류호텔이, 대중교통보다 자가용이 안전하다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다. 혼자 사는 여자보다 남자와 함께 사는 여자가 안전하다는 것도. 물론 그 함께 사는 남자가 과연 안전할지는 함께 살아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남성(들)이 작정하고 범죄를 저지르려 달려든다면, 사실 저항할 도리가 없다.
그래서 그런 장면이 등장하는 영화를 보면 괴롭다.
<이웃사람>에서 중학생 소녀가 같은 아파트에 사는 연쇄살인마 집 앞을 지나가다가 갑자기 열린 문 속으로 속절없이 끌려 들어가는 장면, <함정>에서 남편의 불능을 고치러 섬에 와서 남편이 다른 여자와 행위하는 모습을 보다가 옆에 있던 집주인(마동석)에게 강간당하는 장면을 보면서 너무 괴로웠다. <함정>은 정말.. 찝찝해서 끝까지 보긴 했지만 이런 영화를 왜 가져 왔냐고 남편을 원망할 정도로, 좋아하던 마동석배우가 싫어질 정도로 싫은 영화였다.
<해무>에서도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하자 당연하다는 듯이 여성을 성폭행하려는 놈이 나온다. 그 여성과 서로 사랑하는 다른 남성의 존재가 없었다면 그 시도는 성공했을 것이다.
여성상위니 역차별이라는 말이 우습다. 아프간 여성들을 보라. 우리가 성취한 현재의 지위도 한순간 무너질 수 있다.
그래서 <시녀이야기>의 설정이 그저 판타지로 다가오지 않는다. 내 기억에, <시녀이야기> 속, 여성들이 임신을 위한 도구의 처지로 전락하게 된 첫번째 단계는 '계좌 동결'이었다. 어느 날 자신의 예금계좌에 대한 권리가 사라지고, 남편이나 다른 남성가족에게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야 하는 것.
정부와 군대와 금융이 남성의 지배 하에 있는데, 언제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법이 어디 있을까?
<언제나 양해를 구하는 양해중씨의 19가지 그림자>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긴장, 불안, 공포를 흥미로운 구성으로 엮어낸 소설이다. 화자로 등장하지 않는 양해중씨는 각각의 화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 속에 그림자처럼 등장한다. 그가 보여주는 어쩌면 모순되어 보이는 측면들은 오히려 현실성이 있다. 여성이라면 스릴러 읽을 때 못지 않은 긴장감으로 이 책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연애할 때, 나는 연애의 최고 장점은 '밤길을 함께 걸을 수 있거나, 집까지 데려다 줄 수 있거나, 적어도 밤늦게 집에 갈 때 언제고 전화를 걸 수 있는 상대가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결혼도 비슷하다. 원룸보다 아파트가 안전하다. 여성 1인 가구보다 4인 가족이 안전하다. 설령 결혼 후 그 상대가 안전하지 않은 자로 밝혀지더라도, 어차피 세상 밖도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주저앉는 선택을 하는 많은 여성들이 생긴다. 가출한 소녀들이 혼성으로 이루어진 가출팸에 의탁하여 보호라는 미명 하에 성매매에 뛰어들게 되는 것도 마찬가지다.
신데렐라가 왕자를 선택하지 않을 도리가 있었을까? 그대로 그 집에 있었다면 그녀는 더 나이들기 전에 지참금을 듬뿍 주는 영감에게 시집보내졌을 것이다. 가난한데 예쁘기까지 한 여성이라니, 그런 먹잇감이 또 있을까. 불특정 다수의 불한당들에게 이러저리 희롱당하고 아빠를 모르는 아이를 낫게 될 수도 있겠지. 그럴 바에는 설령 왕자가 찌그러진 호박같은 외면과 내면을 가진 사람이었더라도 그에게 속하는 편이 나았을 것이다.
우리의 펠리시아가 생각난다. 펠리시아는 가정에서 돌봄노동과 가사노동을 떠맡고 있었다. 집을 나왔지만 배속의 아이 아빠를 찾지 못한 채 거리를 떠돌던 그녀에게, 힐디치씨는 안전하고 안락한 탈출구였을 것이다. 그러나 펠리시아는 그가 내미는 유혹을 거절하고 다시 거리로 나선다. 이제 그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의외의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선의, 그리고 사회적 안전망이다.
사회적 안전망. 연대. 그것만이 내 악몽을 사라질 수 있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아직은 부족하다. 많이 부족하다. 공중화장실에서의 불법촬영 사건이 끊이지 않는 한, 술에 취한 여성의 준강간 피해에 대해 "여자가 그러고 다니니.."라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스토커에 의한 폭력 피해와 데이트 폭력 피해가 계속되는 한, 내 일상에 내재된 공포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오는 10/21,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드디어 시행된다. 과연 법률 제정의 취지에 맞게 공권력이 잘 대응해 줄 것인지. 위 법률의 제정을 위해 애쓴 이수정교수님의 노력이 헛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