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은 뒤 느낌 기록하는 습관 ‘필수’ [05/12/27]
출판 편집자 되려면

전공=인문학 전공자들이 비교적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학을 전공했다면 과학책을, 음악을 전공했다면 음악책을 편집하면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두각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전공은 크게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글을 좋아하고, 잘 읽고, 잘 쓸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출판 편집자는 좋은 글과 문장을 보는 ‘눈’이 있어야 한다. 작가가 왜 이런 책을 썼을까, 하고자 하는 말은 무엇인가 생각하면서 ‘원고 읽기’를 해야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토대로 글에 담긴 작가의 생각을 되짚어보는 ‘겹쳐 읽기’도 할 줄 알아야 한다. 평소 책을 많이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 권을 보더라도 자기만의 ‘기록’을 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다. 책을 본 뒤에는 좋은 문장, 읽은 느낌 등을 적어본다. 메모는 비판적 책읽기의 기초이고, 편집자가 반드시 ‘전공’해야할 분야다.

적성=① 호기심: 세상과 인간에 대해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면 단 한 권의 책도 만들 수 없다. 어떤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말 그런가?’ ‘왜 그런가?’하는 호기심이 샘솟고, ‘다른 사람들은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는가’를 궁금해 하는 사람이 편집일을 잘 할 수 있다.

② 관찰력: 작가, 또는 취재 상대가 말 하는 것을 잘 듣고, 어떤 사람인지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글 쓰는 능력은 얼마나 되는지, 주요 관심사가 어디에 있는지, 특별한 버릇은 없는지…. 세심하게 관찰한 뒤라야 ‘이 사람과 어떤 책을 만들 수 있겠다’는 답이 나오기 때문이다.

③ 열정: ‘이런 얘기가 무슨 책이 되겠어요’라고 말하는 사람에게 ‘이런 책을 만들 수 있고, 세상에 꼭 필요한 책’이라고 설득할 수 있는 열정이 필요하다. 남을 설득하려면 자신의 생각만 고집해서는 안된다. 편집자의 열정은 안으로부터 나오되 독자를 향해 무한히 열려 있다.

④ 집중력: 창 밖에 눈이 내리더라도, 지금 편집하고 있는 책이 꽃피는 춘삼월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면 편집자는 ‘봄’을 살아야 한다. 책을 기획하고 작가와 밀고 당기기를 할 때는 철저히 현실적이어야 하지만, 원고를 앞에 놓고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현실을 깡그리 잊고 오직 글에만 집중해야 한다.


(한겨레신문)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5-12-28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가요 ^^

소나무집 2005-12-29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공감합니다.지금은 출판 편집인이 아니더라도 이런 정신은 필요한 것 같아요. 댓글 달아주시는 분이 누군가 궁금해서 찾아왔더니 책을 만드는 아름다운 일을 하고 계셨군요.

하늘바람 2005-12-29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잘해야 아름답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