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는 내내 하나같이 장애인의 스토리를 다룬 짧은 에피소드에 화가나고 슬프고 기쁘고 그랬다. 그런데 왜 우리는 그런 것들을 어느날 문득 집어든 이 책을 통해서만 알게 되는 것일까? 우리 사회에 장애인이 몇이나 될까? 그나마 말이나 제대로 할 줄 알고 남의 말을 알아듣기라도 하면 좋으련만 한마디 한마디 내 뱉으려면 온 얼굴과 몸을 일그려드려야하고 그 흉한 모습에 모두 말 걸기를 꺼려하는 장애인들은 몇이나 될까? 나는 그런 장애인들을 본 적은 있지만 가까이에서 함게 생활해본 기억은 거의없었던 것같다. 따라서 그들은 낯설 수 밖에 없고 낯설다는 것은 신기함과 호기심을 동반한다. 장애인들은 모두 어디있는가? 기뻐할 줄알고 그 기쁨에 웃을 줄 아는 그 아이들 그 사람들은 모두 어디에 있는건가? 왜 그들은 격리되어 우리 와 다른 곳에서 다른 숨을 쉬는 건가?얼마전 TV에 다리가 하나없는개 켈리의 이야기가 나왔다. 켈리를 키우는 주인은 아주 어린 아이였다. 다리하나없는 개 켈리 그래서 세 다리로 쩔뚝이며 뛰는 걸어다니는 켈리에 대한 아이의 사랑은 무척 간절하고 아름다웠다. 켈리가 잠시 없어지자 온통 울면서 찾아다니던 아이의 모습은 눈물을 자아냈다. 그런데 인상적인것은 그 아이도 그 다리 셋인 개도 아니라 그 아이의 부모였다. 아이가 다리 셋인 개 켈리를 키우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없이 자라줬음 좋겠다고 그 아이의 아버지는 말하였다. 키가 작은 사람이 있듯 코가 납작한 사람이 있듯 노래를 못부르고 그림을 잘 못그리는 사람이 있듯 장애 그것은 그냥 그 사람의 모습이지 놀림이나 괴롭힘을 받을 일은 아니다. 우리의 어른들중에 그런 마음을 가진 이 몇이나 될까?장애인을 베려하지 않은 도로 구성 등등 그 외 여러가지 것들. 그것들에 우리의 편견은 그 높이를 더해간다. 이 책은 그런 우리에게 경종을 울린다. 어른들의 부조리를 알리며 장애아이들의 섬세함을 알리며 막상 놀리거나 괴롭힌 아이들의 불편한 마음을 보여준다. 자연스럽게 아주 자연스럽게 무엇이 옳은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함께 어울리고 매일 보면 낯선 것은 익숙하고 친근하게 된다.주위를 둘러보아도 보이지 않는모습 . 이제 그 장애아이들을 불러 한자리에 함께 어울리고 발음도 잘 되지 않은 그 아이들의 마음을 들어줘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장애아이들을 격리시키던 우리의 마음은 스스르 무너져 내릴 것이다. 아무것도 아닌 종이한장차이 편견. 그 편견때문에 그 누구도 상처입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