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등교를 하다 말다 내 일상(이랄 것도 없는 매일)은 발이 묶인 느낌이다. 창밖의 단풍이 지난주엔 예뻤는데 오늘은 가지만 남았다. 나는 매일 게으르고 바쁘면서 한가하다. 책의 문장이 눈에 들어오질 않는다.  


스칼렛의 외모에 대한 묘사는 계속 바뀐다. 아름답고 매혹적이라는 묘사가 많은데 스칼렛이 작정하고 애슐리에게 고백하기로 마음먹고, 꿩대신 닭, 챨스의 청혼에 답을 해버린 날이라 더욱 그렇다. 


파티에서 만난 낯설고 무례한 레트 버틀러. 그에게 약점을 잡혀버린 스칼렛. 챨스와 애슐리에 대한 묘사가 우습지만 절묘하다. 하지만 곧 휘몰아친 전쟁 속에서 스칼렛은 순식간에 유부녀-미망인-애 딸린 미망인 으로 신분이 바뀐다. 예전보다 더 좁아진 활동 범위 안에서 우울은 그녀를 집어삼킨다. 


남편의 친척댁, 보기 싫은 멜라니의 초대로 애틀란타로 간다. 그곳은 전쟁이 몰고온 활기로 가득 찬 젊은 도시라 뭔가를 해볼 수 있을 것만 같다. 신분과 가문을 중시하는 딱딱한 조지아, 폐쇄적인 남부지만 새로운 생명을 뿜어내는 곳. 어쩌면 스칼렛도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 


이 소설의 조지아는 급변하는 세계 정세 따위는 무시하고 대지주 가문들 끼리의 무사태평만 노래하는 19세기 구한말 분위기와도 비슷하다. 백인 빈민층에 대한 멸시와 (인종차별은 깔고 있으면서) 북부 양키에 대한 적대감이 뚜렷하게 보인다. 마치 미대선의 민주당 공화당의 대결처럼. 링컨은 공화당이었다지만. 


영화 <스윗 홈 앨러배마>의 남부는 정겹고 투박하며 솔직한 흙과 함께 사는 고향의 모습이다. 대비되는 뉴욕 '양키'들은 겉치례와 계산 속의 거짓말, 무엇보다 얄미운 말투로 드러난다. 여전히 식민시대의 대저택엔 하녀복을 입은 흑인여인이 손님을 맞이하고 마을 축제는 남북전쟁을 재현하는 코스튬 플레이다. 들판에 화약 연기를 올리고 대포와 총포를 앞세워 달리고 쓰러져 시체를 연기하는 이들은 '남부 정신'을 외치며 결속을 다진다. 천방지축, 당돌한 남부의 아가씨는 7년만에 고향에 돌아와서 마음을 확인하며 자신의 가식을, 북부 억양과 양키 겉모습을 벗어버린다. 스칼렛과는 아주 다르지만 닮은 여인. 


그런 남부가, 조지아가 이번엔 바이든에게 표를 주었단 말이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0-11-15 0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지아 다시 봤다는!

유부만두 2020-11-15 07:32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놀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