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안 읽는 이유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백세희, 흔, 2018-06-20.
제목이 주는 놀라운 힘, 이 책 또한 그 하나가 아닌가 싶다.
개인의 치료기록, 나는 기분부전장애(심한 우울 증상을 보이는 주요우울장애와는 달리, 가벼운 우울 증상이 지속되는 상태)라는 병명을 보고는 세상에 우울증이 아닌 사람은 없을 거라 생각했다. 그런 증상으로 전문가를 찾는 사람이 있구나 싶었고 그들의 그 적극성, 의지에 놀랐다. 심한 우울증에도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 축적된 이야기였기에 통계는 언제쯤부터 바뀌었을까, 상황을 기민하게 보는 기사는 없던가, 그런 생각을 했다.
이 책 제목이 여기저기서 보이고 들렸을 때 나 역시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었던 적이 있는 사람으로서 이 제목에 공감했지만 굳세게 나를 끌어당기진 않았기에 만날 일은 없었다. 그리고 어느덧 이 책이 회자되는 것만큼이나 팔리는 만큼이나 반향은 생각과는 달라서 책을 읽진 않았다. 그럼에도 강하게 남는 이 제목. 역시 판매의 힘은 제목이 반이다라는 생각을 거듭 했다. 다시 한번 이 책을 떠올린 건 얼마 전 기사 때문이다.
벽도, 책장도 있는데 왜 책은 안 읽는가. 솔직히 우린 답을 이미 안다. 다른 이유는 핑계일 뿐, 간단하게 말해 필요 없어서다. 책 읽기를 그토록 권하는 건 공감의 힘을 높이고 시야를 넓히고 논리를 밝혀 줘서다. 우리 사회에서 공감, 시야, 논리란 쓸데 없는 짓이다. 바깥 세상을 이렇게 접어 버리고 나면 남는 건 자기에 대한 몰입이다. 아무리 ‘책에도 귀천은 없다’지만 그저 ‘불쌍한 나’를 쓰다듬는 나르시시즘 에세이들이 베스트셀러 목록을 채우는 것 또한 그 때문이다.
- [한국일보, 책 안 읽는 이유, 2018.10.19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0191513342440?did=da]
책을 안 읽는 이유가 어디 하나뿐이겠는가. 독서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퇴폐시켜 버린 그 누군가의 그토록 순수한 교육적 열의가 먼저 떠오른다만 그것을 제쳐둔다면, 베스트셀러 목록을 채우는 것이 있다는 것은 다시 말해 책을 읽는 이유가 된다. 지금 책을 읽는 이유가, 이 책을 읽는 이유가 기자가 지적한 대로의 이유라 할지라도 말이다.
기자의 글에서 제일 먼저 떠오른 책이 이 책이라서 책을 들춰보고 우울해졌다. 아, 시월의 마지막 날이라 바쁜 일들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시간을 소비하고 난 뒤의 허탈감에 그리고 몇 장 남지 않은 달력에 온 신경이 쏠리며 오로지 나라는 존재가 소멸된 느낌이 들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추워진 날씨가 달갑게 느껴진다. 지금 기분부전장애상태인 건가.
세상에 자기 이야기가 없는 사람이 어디 있는가. 그저 누군가는 그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 거기에 마케팅에 어울리는 글이 있고 아닌가가 있을 뿐. 어쨌든, 작가는 이 우울을 좋은 결과물로 만든 사람이고 나는 아니다. 그렇기에 작가에게 박수를 보낸다. 최근처럼 넘쳐나는 조현병 환자, 우울증 환자들의 끔찍한 범죄 기사들을 접하다보니 거듭 저자의 우울에 경의를! 그리고 이 책은 사람들에게 많이 읽혔고 팔렸다. 그렇게 만들어 준 힘에도 경의를! 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어쨌든 누군가를 탓하고 누군가를 해하는 대신에 자신의 내밀한 기록들을 출간한 저자의 우울증을 다시금 보게 된다. 책을 쓴 건 저자일지라도 세상은 상업자본의 힘이라, 출간한 이들의 승인없인 이루어지지 못할 터이니 저자가 출판사 마케팅 일을 하고 있다는 그 놀라운 우연에 놀라움이 사그라든다. 뭔가, 잘 짜여진 판에서 내가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느낌이다. 글에 대한 응원이 아니라 우울을 앓고 있는 저자 개인에 대해 응원하고 싶어진다 할지라도 나는 그 마무리를 할 수가 없다. 저자가 다시 2권을 들고 돌아오기까지는.
그것을 더 부추기는데 내 어릴 적 친구들이 동원되는데 떡볶이쯤이야. 미키도 미니도 도날드 덕도 구피도 플루토도 앨리스도 곰돌이 푸도 어릴 적 기억하는 그 모습 그대로 나와 다시금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같은 느낌을 전한다. 나에게만 알려주는 비밀이라는 듯 시크릿, 시크릿을 외친다. 죽고 싶은 일이 있을지언정 그런 생각이 들지언정 떡볶이를 먹다 보면 멋진 인생이 다시 시작될 거라는 이야기는 분명 친구들 모여 한탄하듯 위로하듯 나누는 이야기이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온갖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 조금만 무엇을 찾아보면 자신을 위로할 이야기들을 만나고 보다 전문가의 견해들을 찾을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이 뻔하디 뻔하게 흘러 온 말들에 지금, 이 시점에 열광하게 되는 건 정말로 “책 안 읽는 이유” 때문인가. 아니면 그런 책들이 무수히 진열되어 있기 때문인 걸까.
어떤 책들에선 감정의 격랑으로 피곤해질 때도 있다. 하지만 그 감정의 카타르시스가 주는 맛을 잊지 못하기에 다시금 슬금슬금 책을 찾게 된다. 믿고 찾는 출판사도 있겄건만. 하지만 이쯤되면 나는 내 취향으로 인해서, 내 성질로 인해서, 정말로 점점 책을 읽지 않게 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 가을, 독서의 계절이 이르게 온 추위만큼 완전히 사라지는 이 막연한 기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