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 개정판
데이비드 콰먼 지음, 강병철 옮김 / 꿈꿀자유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에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이 지속되면서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게 아니더라도 진화와 DNA등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다 보니 자연스레 흥미를 가지게 된 것도 있을 것이다.   책은 600페이지가 좀 넘어 분량이 제법 되기는 한다. 하지만 저자가 과학 저널리스트라 그런지 재미있게 읽었다.  몇 달전에 읽었던 <대멸종 연대기>와 다르게 흥미롭고 재미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한다.(공교롭게도 그 책의 저자가 이 책에 대해 남긴 한줄 평(?)이 뒷표지에 박혀있다!) 


 내용은 제목과 같이 인수공통전염병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을 읽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즐거웠지만, 몇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해준 것도 좋았다.  제일 신기한 것이 보유숙주라는 개념이었다.  어째서 이들은 바이러스를 아무런 몸의 이상 없이 보유하다가 다른 종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다하고 마는 것일까. 왜 굳이 바이러스는 이러한 경로로 확산되는 진화의 길을 택했을까. 


에볼라와 에이즈는 유인원에서 사람에게 전파되는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를 다루는 과정에서 침팬지를 먹는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나의 주변환경이 완전히 다르다 보니 '와, 침팬지를 먹기도 하는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이러한 대유행은 숙명이라는 생각까지 미치게 되었다. 


 방금 검색을 해서 보니 세계인구가 78억 가까이 된다. 그런 인구의 대부분이 도시에서 밀집하여 살아간다.  거기다 공장식 사육 시스템으로 길러지는 가축 또한 그 수가 어마어마하다. 그런 환경에서 바이러스는 충분히 자신의 생존을 도모하고 또는 진화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가 쉬운 것이다. 바이러스에 기회라면 우리에게는 위기다.  


천연두와 소아마비처럼 인간에게만 전파되는 것들이라면 정말 박멸할 기회는 있겠지만, 대유행의 주체가 되는 바이러스는 당연하게도 인수공통으로 전파되는 것들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저자는 드와이어스가 한말을 인용한다.


 '평균 전파율이 일정하다면 이질성이 조금만 추가되도 전체 감염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의 노력, 개인의 분별있는 행동, 개인의 선택이 집단을 멸절로 몰고갈 파국적인 상황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다. 이것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공조체계등 여러 문제가 있겠지만 우리가 개개인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은 이정도가 될 수 있겠고, 그러한 노력이 결코 작은부분이 아니라는 걸 강조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으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염병들이 결코 박멸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천연두나 소아마비등은 인수공통의 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퇴치운동의 결실을 맺을 수가 있었다.  그외 인수공통의 전염병의 경우 발명되지 않더라도 결코 박멸된 것은 아니다. 단지 어떤 생명체에 숨어 있을 뿐이다.  보유숙주, 증식숙주 등의 개념도 이 책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보유숙주는  몸 속에 병원체를 보유하면서도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동물종을 말한다.  보유숙주라 대비되는 개념으로 종말숙주라는 것이 있다. '종간전파라는 도박에 모든 것을 걸고 인간의 몸속으로 뛰어든 바이러스 혈통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무시무시한 에볼라에게는 호모 사피엔스가 종말숙주가 될 것이다.


 아, 그리고 에볼라가 무시무시하기는 하지만 사람들을 녹아내리고 피를 토하게 하고... 뭐 그런 자극적인 모습으로 죽이지는 않는다. 며칠 전 페이퍼를 쓸때도 그런 이미지였지만, 그 페이퍼를 적어 놓고 다시 읽자마자 그 점에 대해 지적하는 구절이 나와서 재빨리 그 이미지를 수정하였다.  


증식숙주란 몸속에서 바이러스나 기타 병원체가 대량증식한 후 엄청난 양으로 외부에 방출되는 동물종을 말한다.  예를 들어 구제역의 전파에서 돼지가 하는 역할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돼지가 숨을 내쉴 때는 구제역에 감염된 소나 양에 비해 30배나 많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나온다고 한다.  그런데 제일 흥미로웠던 것은 헨드라 바이러스의 전파경로이다. 헨드라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94년 9월 브리즈번 북쪽 변두리 지역의 말들이 쓰러지기 시작하면서 부터였다. 뒤이어 그 죽어가는 말들 옆에 있었던 이들도 비슷한 증상으로 죽어갔다. 나중에 전파를 시킨 보유숙주를 추적하니 박쥐였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야생동물을 돌보는 네트워크에서 128명의 박쥐 돌보미들이 항체검사에 들어 갔는데, 단 한명도 양성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그들은 장기간에 걸쳐 먹이를 주고, 마닞고, 드물지 않게 긁히거나 물리는 등의 밀접한 접촉을 했음에도.  쓰러지는 말들 옆에 있었던 이들이 전염되어 사망한 것을 생각하면 인간에게 전염이 안되는 것은 아닌데.  무언가 헨드라 바이러스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말들이 한 것인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를 읽고 있다. 집중하지 못하는 성격은 여전하다.  최근에 코로나-19 때문에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다. 예방의 차원에서야 권고되는 사항을 지키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 외에 것들도 궁금해진 것이다.  최근들어 관련 책들도 많이 나오는 것 같기도 하고.   이 책은 아마 2017년도에 초판이 나왔던 것 같다. 그러다가 올해 초에 2판이 나왔다. 


 우선 정말 재미있다.  저자는 과학연구에 최전선에 있는 연구자는 아니지만, 그렇기에 가독성 있고 재미있는 글을 써내려가는 것 같다.  물론 이런 기대는 날마다 충족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읽었던 대멸종 연대기는 너무 실망스러웠다. 


 내가 워낙에 늦게 읽는 편이기도 하지만, 피곤하고 바쁜 까닭에 이제야 2장의 중간을 읽고 있다.  2장의 주제는 그 무시무시한 에볼라 바이러스다.  원서가 2013년도에 나왔으니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에볼라 바이러스의 보유숙주를 아직도 모른다는 것이 놀라웠다. 에볼라 속에 다섯가지의 바이러스가 있는데 일단 치사율은 에볼라-자이르가 크다고 한다.  사실 생명의 가장 큰 목적은 생존과 번식인데, 이렇게 치사율이 높아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지만, 이 책을 읽으니 그 의문이 다소 해결된 듯 하다. 그것은 우리 인간이 보유숙주가 아니며, 그들이 진화적 도약을 못했다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입장에서는 실패한 셈이다.  


어쨌든 그 발병의 묘사를 보면 너무 소름돋는다.  묶인 끈처럼 보이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모습을 보면 더더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0-09-13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음 추가 해봅니다. 잘 지내시죠?

가넷 2020-09-13 12:53   좋아요 1 | URL
네, 초딩님도 건강하세요~^^

카스피 2020-09-14 1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에 잠복해 있다가 보다 많이 바이러스가 퍼지도록 일종의 장치가 되어있다고 하는데 에볼라의 경우는 그 치사율이 너무 높아 바이러스가 확산하기도 전에 숙주인 인간이 죽는다고 하더군요.하지만 인간한테는 높은 치사율이 오히려 바이러스 확산을 막으니 어찌보면 아이러니라고 할수 있어요^^;;;

가넷 2020-09-27 12:22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 오랜만에 뵙네요.

건강하세요.^^
 
바이러스 행성 - 바이러스는 어떻게 인간을 지배했는가
칼 짐머 지음, 이한음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초부터 코로나-19라고 하는 바이러스에 온 사회가 마비되어 있는 모습을 보니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도 많아진다. 물론 책은 작년에 사둔 것이기는 하지만.  145p정도인 책이라 쉽게 읽힌다.  이 책에서는 11개의 바이러스를 소개하는데, 대개 10개 안팍의 유전자만을 가지고 있다.  생명이라는 정의에서 많은 논쟁이 있는 부분이 바이러스에 대한 것이라 한다. 그런데 사실 보면 바이러스는 자체로는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생명에는 부합되지 않지만, 숙주에 들어가서 하는 것들을 생각하면 이게 생명이 아니라 할 수 있을까 싶다.  그리고 이전에 읽은 닉 레인의 저서처럼  이 책에서도 바이러스가 생명의 기원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바이러스는 우리에게 질병만 주는 것이 아니라, 광합성이나 우리가 태아때 우리가 되기 위해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들의 유전자를 숙주에 남겨 유전되기도 하는 모양이다.  내생 레트로바이러스가 그것이다.  


 흥미롭게도 세균을 죽이는 바이러스도 있다. 박테리오파지라고 하는데 생긴 것이 꼭 거미처럼 생겼다.  미미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크기도 크고, 유전자의 수도 더 많다. 거기다 다른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한다고 한다. 
여기서는 몇개의 바이러스만 소개 되었지만 제목처럼 우리 지구에는 바이러스 천지다. 

책에 앞에는 책에서 소개하는 바이러스의 모습이 나와 있는데, 개중에 역시 에볼라가 제일 징그럽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를 읽다보면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  그런데 에볼라 바이러스는 그 바이러스가 숙주에 일으키는 반응이 너무 극적이라 그 숙주가 다른 숙주에게 퍼뜨리는 기회가 없게 하는데 왜 이렇게 진화가 된 것일까.  이런 궁금은 뒤로 하고 역시 너무 끔찍하다.

책을 읽어보면 백신만 개발한다고 코로나의 종식이 가능한 것은 아닌것 같다. 그럼 우리들은 어떤 식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 건가.  독감예방주사를 맞는 것처럼 매년 유행할 것을 대비해서 맞는 수 밖에 없을까?  이건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땅 문지클래식 4
임철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이 알려진 사람이지만, 난 몰랐다.  <봄날>의 작가라는 사실은 알았지만 그렇게 관심이 있지는 않았던 탓이다. 솔직하게 말하면,  마음에 드는 판형으로 나왔기에 구입했다.  <관촌수필>,<마당 깊은 집>을 사는 김에.  그러다가 오래 묵혀두다가 오늘 읽었다.  여기서 다루는 내용들은 하나 같이 전쟁과 그 전쟁이 일으킨 일들을 다룬다.  항상 등장인물은 패배자인 듯 저항하지 못하는 이들이고...


앞에 세 편의 단편들을 제외하면 지루했다. 그래도 간만에 오래된 한국문학을 읽다 보니 밀도 높은 문장을 읽으니 좋았다.  말이 이상한가?  지루하면서도 느꼈던 기쁨은 더 이상은 표현하기가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