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페르메이르Jan Vermeer의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는 그윽하게 관람객을 바라봅니다. 잠깐이라도 소녀와 눈빛을 맞추고 나면 이 그림이 왜 ‘북유럽의 모나리자’인지 설명하지 않아도 알게 됩니다.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이탈리아의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라고 부르고 싶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제 취향입니다.) 페르메이르가 그린 소녀의 눈길은 모나리자의 미소만큼 눈길을 끕니다.

이 작품이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는 데는 화가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사실도 한몫합니다. 마흔 초반까지 살았던 페르메이르에 대해 알려진 것이라고는 이름과 고향 정도뿐입니다. 일부러 안 썼는지 아니면 사라져 버린 건지 몰라도 별다른 기록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작품도 50여 점에 불과합니다. 반면 빈센트 반 고흐는 서른일곱 살까지 사는 동안 줄곧 기록을 남겼습니다. 동생 테오와 친구들한테 보낸 편지만 해도 무려 820통이 넘습니다. 그래서인지 페르메이르는 알려고 할수록 자꾸 그림 뒤로 조용히 숨어 버립니다. 반면 고흐는 쉼 없이 수다를 떨지만 아무도 들어 주지 않는 것 같아 쓸쓸해집니다. (p.292)

특별해서 기록하는 게 아니라 기록하면 특별해집니다. 날씨처럼 사소한 일을 하루이틀 적고 그치면 낙서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하루도 빠짐없이 적으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승정원일기>에는 날씨가 상세히 적혀 있는데 인조 1년부터 순종 4년까지 무려 288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해 놓았습니다. 덕분에 훌륭한 천체관측 자료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날씨뿐만 아니라 무엇이든 상관없습니다. 그저 꾸준히 끝까지 적으면 됩니다.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책이 좋다. 이 말은 다의적이다. 나는 단어와 문장들이 쏟아내는 이야기를 좋아하는 동시에 책 그 자체에 대한 소유욕도 크다. 언젠가는 서재를 만들려는 욕망도 있다. 나아가 책은 자연스럽게 내 안의 창작 본능도 깨웠다. 책을 읽으면 직접 내 생각과 이야기를 쓰고 싶은 마음이 튀어 나오곤 했다. 영상이 더 지배적인 시대라지만 하얀 종이 위에 펼쳐진 먹색의 글자에 더 끌린다. 나는 이러저러한 의미로 책이 좋다. - P135

사회가 연대하듯 책들도 연대한다. 나는 여러 저자들의 독자가 되었고 나를 중심으로 저자들이 모이면, 그것이 나만을 위한 연대가 되었다. 그들은 나의 앞에 발자국을 내어 길을 만들어주는 사람들이다. 내 안에 있을 수는 있으나 바깥으로 끄집어내기엔 추동하는 힘이 약한 것들이 있다. 살아가는 데 있어 지혜나 용기라든지, 생전에 다 겪을 수 없는 경험들이 그러하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 그것들을 끌어내는, 어떤 감정의 형태나 지혜의 말들을 문장으로 만날 수 있다. 독서를 하면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이유다. - P141

우울은 항상 내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어떤 이유 때문에 우울해지는 게 아니라 우울이 찾아와서 어떤 이유들이 생겨나는 거다. 이런 감정 상태는 내 의견과는 상관없이 막무가내로 진행된다. 거기에 상응하는 이유들도 참 가지가지다.

서른이라는 나이에 대한 부담이 우울하다. 건조한 원룸에 혼자 있다는 사실이 우울하다. 월세에 시달리는 이 팍팍한 현실이 우울하다. 억지로 끄집어낼 수밖에 없는 부족한 지성이 우울하다. 타인과 신체 이미지를 비교하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우울하다. 친구나 가족, 지인과의 관계에 대한 회의감이나 두려움이 우울하다. 간혹 턱에 난 여드름이, 군것질에 대한 식탐이, 월경통이, 혼자 걷는 산책길이 우울하다. 하나하나 죄다 열거하자면 3박 4일은 거뜬히 샐 수 있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해보니 나는 굳이 수고를 들이는 일들을 좋아한다. 칼로 연필을 깎고, 매일 시계의 태엽을 감고, 일력을 뜯고, 전기포트를 놔두고 가스레인지에 물을 끓인다. 이런 비효율성을 감내하는 건 그만큼 마음에 여유가 있다는 걸 뜻한다(바쁠 땐 일력도 밀리고 시간도 멈춘다). 그래서 나는 내 일상 속에 항상 쓸데없는 일들이 조금씩 자리하고 있기를 바란다. 빠르게 움직이는 일상 속에 수고로운 것들이 비집고 들어올 틈이 있다는 건 잘 살고있다는 반증이기도 하기에.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수 고 신해철 씨가 생전에 쓴 ‘아마추어들에게 드리는 일곱 가지 충고‘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첫째,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져라.
둘째, 음악 자체를 목적으로 하라.
셋째와 넷째, 부지런히 하되, 서둘지 말라.
다섯째, 옆길이나 뒷문은 생각도 말라.
여섯째,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
일곱째,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구별하라.

이 글은 순수 아마추어들이 아니라 가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해준 충고에 가깝다. 그렇지만 나 같은 아마추어가 참고할 대목이 많다. 특히 ‘부지런히 하면서도,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별하라‘는 말은 모든 아마추어가 가슴 깊이 새겨야할 말인 것 같다.

"나는 완벽을 기하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 살고 있다. 비록 그 완벽이란 것이 언제나 나를 피해 갔고, 지금도 나를 피해 가고 있지만 말이다."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의 말인데 기타 연습에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한다.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말이 하나 있는데, 이 말은 책에서 나온 말이 아니다. 돌아가신 내 아버지의 입에서 나왔다. 대학 시절 어느 날, 아버지는 술에 취해 내게 말씀하셨다. "멋지게 사는 건 너무나 쉽다. 하지만 뭔가를 이루는 것, 그게 정말 어렵고 중요하다. 많은 사람이 나를 멋진 사람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말이다. 나는 인생에서 이룬 것이 하나도 없다. 아들아, 나는 실패자다. 명심해라 멋지게 살려 하지 말고 무언가를 이루려 해라." 나는 이 말을 듣고 꽤 충격을 받았다. 어떤 말로도 아버지를 위로할 자신이 없었다. 아버지는 술에 취해 있었지만 자신의 삶에 대해 냉정히 평가를 하고 분명한 결론을 내린 것 같았다. 자신의 삶 전체에 대해 평결을 내릴 수 있는 대심문관은 오로지 자기 자신일 수밖에 없다. 누군가가 당신의 삶 전체에 대해 성공이니 실패니 운운했다고 치자. 당신은 좌절하거나 기뻐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신은 그 말을 신뢰할 수 없다. 그 누가 당신의 삶 전체를 속속들이 알 수 있는가? 당신 자신을 제외하고 말이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