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물, 한쪽 눈을 뜨다 ㅣ 문학동네 청소년 7
은이정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중학생이라는 시절은, 특히 남학생들에게 있어 중학생은 가장 많은 변화가 있는 시기이다. 신체적인 성징이 그럴 것이고 자신도 모르게 커버린 생각들과 반항심들이 그 변화를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것도 아주 급작스럽게.
그래서 교사들도 중학교 교사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미디어에서 보도되는 어처구니 없어 보이는 행태들도 대부분 중학생인 경우가 많다. 그런 중학생들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은 그 시기를 거쳐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괴물로 보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그들 스스로도 괴물로 인식하고 있을 터이다. 하지만 괴물도 언젠가는 어른이 되는 법, 괴물은 하나의 성장 과정일 뿐임에는 틀림없다. 그 괴물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괴물1. 영섭 (괴물목/ 왕따과)
이 괴물은 괴물목이기는 하지만 왕따과로 사람들에게는 마치 괴물에 잡혀먹는 동물로 보이기도 한다. 이 괴물은 처음엔 황라사마귀가 되고 싶어하더니 결국엔 가시두더지로 정착했다. 순수한 상태로 자유롭고 평안하고 싶었겠지만 괴물의 시간을 거치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고, 때때로 누군가를 위협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괴물이라고 부를만한 점이 영섭에게는 없었지만 그에게도 남을 위협하고자 하는 괴물의 요소가 없지 않음을 이야기를 읽어가며 느낄 수 있었다. 비록 같은 초식동물을 건드리지 않는다는 원칙이 있었지만 아이에게 엠피쓰리와 이어폰을 뺏는 시늉을 했을 때와 각서를 가지고 하이에나를 협박할 때의 그의 모습은 명백한 괴물의 모습이었음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협도 하고 상황을 이용할 줄도 알다니, 가시두더지는 진정 영섭판 황라사마귀의 진화라 할 수 있다. 이제 그는 무엇이든 원하는 것은 맛나게 먹을 수 있게 되지 않았을까. 먹고 나서 흐뭇하게 말할테지.
"잘 먹었습니다."
괴물2. 태준 (괴물목/ 모범생과)
이 괴물은 사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괴물로 분류하는 과는 아니다. 학교에서 공부 잘하고, 집에 오면 엄마 말 잘듣고, 친구들 사이에 문제 없는 부류. 일명 모범생이라고 불리는 과이다. 하지만 누가 알았으랴, 남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야동의 유혹에 끊임없이 끌려다니고 남들 보기에 괴물처럼 보이지 않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야만 괴물이 되지 않는 잠재적 괴물이라는 사실을. 그의 말처럼 논다는 것과 사고를 친다는 것의 차이가 종이 한 장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는 것을 그는 이미 알고 있었다. 그는 그 선을 넘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고 실천해 왔으나 결국 그렇지 않는 때도 있는 어쩔 수 없는 괴물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했다. 결국 육식동물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괴물일테지만 괴물의 실재를 확인한 후에 그는 능청스레 이런 말을 듣게 된다.
"어-- 듬직한데, 우리 착하고 성실한 아들."
괴물3. 정진과 패거리들 (괴물목/괴물과)
이들은 누가 봐도 괴물들이다. 하이에나처럼 으르렁대고 악어처럼 사나우며 초식동물들을 끊임없이 위협하고 상황을 봐가며 비굴하게 행동하는 괴물들이다. 하지만 호랑이나 사자 앞에서는 도둑고양이가 되기도 하고 엄마에게 등짝을 쩍쩍 맞기도 하고 아빠한테 얻어맞아 얼굴에 멍이 시퍼렇게 들기도하는 괴물과이지만 때때로 왕따과와 모범생과의 모습을 보이는 때도 있다. 유독 이들만 괴물로 보이는 것은 그들의 행동거지를 제지할만한 애정의 모습을 찾을 수 없었다는 데에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책을 읽으며 작가가 영섭과 태준과 선생님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기술한 것에 의문을 품었었고 아쉬움이 남았지만 그들에게는 분명 입장을 대변할만한 사랑이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미치게 되었다. 영섭에게는 아들을 애틋하게 바라보며 적극적으로 지켜주는 엄마가 있었고, 태준에게는 믿어주는 엄마가 있었지만 정진과 패거리가 괴물목 괴물과가 되는 데에는 그러한 대상이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그들에게 사랑이 미쳤다면 그렇게 행동하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면 가장 가슴아픈 아이들의 모습이 아닐까 라고 한다면 지나친 감상주의가 될까.
문지기1. 담임
시인이자 국어 선생님이자 아이들의 담임이자 괴물의 세계의 문지기인 담임. 작가는 이 담임을 무지막지하고 인정사정없는 교사로 묘사하지 않았다. 나름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도닥여주고 사랑해주려는 인물로 그렸다. 괴물의 세계의 다양한 유형의 괴물들을 상대하려면 그의 삶도 무척 피곤하게 느껴진다. 열흘의 평화가 유지되기 어려운 것을 보아 괴물들의 괴물스런 행동은 아마 예상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은가보다. 그리하여 잠시라도 경계를 늦춰서는 안되는 것은 비단 왕따과나 초식동물들의 이야기만은 아니게 된다. 괴물의 세계를 지키는 담임 그리고 괴물들을 낳은 사람들, 더 나아가 괴물의 시간을 지나온 우리 모두의 몫이 되는 것 같다. 이 아이들이 그나마 더 사나운 괴물이 되지 않은 것은 담임이라는 존재가 그리고 그들의 부모들이 문을 단단히 지키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단단히 지킨다는 말은 엄하고 무섭게 지킨다는 말이 아니라 그래도 이 아이들과 이 시기들을 사랑하고 믿는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은이정이라는 작가를 처음 만났고, 읽으면서 작가의 넓은 시야에 감탄을 했다. 이쪽도 보고 저쪽도 보고, 이쪽의 움직임도 헤아리고 저쪽의 마음도 챙겨주는 치밀함에 읽는 내내 이름을 몇번이나 확인했는지 모른다. 누구나 지나오고 누군가가 지나가고 있는, 그리고 누군가가 지나가야 할 이 시기의 아이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강렬하지만 애정어린 시선으로 담고 있는 작가의 마음이 고스란히 읽는 내내 전해졌다. 사실, 늘 그렇듯 가장 중요한 것은 애정어린 시선이 아니겠는가. 이 괴물들도 언젠가는 누군가의 문을 지키고 서게 될 어른이 될 것이고, 누군가에게 사랑을 주어야 할 사람들이 될 존재들이니 비록 지금은 괴물스럽더라도 밀쳐내지 말고 품어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괴물, 한쪽 눈을 뜨다', 중학생도 그들의 부모도 선생님도 공감할 수 밖에 없고, 모범생도 불량학생도 왕따도 공감하게 되는 이 책을 통해 괴물의 세계로 오실 것을 적극 추천하는 바이다. 태준의 말처럼
괴물이든 천사든 나의 일부인데 너무 관심을 주지 않았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