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덕초등학교 교사 심지영님께서 알라딘으로 보내주신 12월의 좋은 어린이 책, <수학뇌를 키워 주는 입체왕 1>의 추천글입니다.


"OO야, TV 끄고 공부해야지?", "얼른 숙제해.", "공부는 다 했니?" 

아마도 부모와 자녀 간에 흔히 볼 수 있는 대화일 것입니다. 그런데

"OO야, 엄마랑 같이 공부할까? 함께 만들어 볼까?"

이렇게 대화를 시작한다면 아이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실제로 자녀와 부모가 함께하는 교육은 여러 객관적인 사례에서 그 중요성이 입증된 바 있습니다. 함께 만들고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자녀와 부모의 애착 관계가 증진되며, 사회성과 자신감도 향상되어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서 세 번째 단계인 '구체적 조작기'는 6~7세부터 11~12세까지 계속되는데, 이 단계의 특징은 아이가 구체적인 물건을 직접 만지고 느껴 보고 조작하면서 생각이 생겨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그 다음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11세 이후)'에서는 구체적인 조작물이 없어도 추상적으로 판단하고 인지하는 능력이 아이에게 생겨난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 부모와 함께 구체적인 조작물을 활용해 수학과 친해지는 활동을 한다면, 자녀의 인지 발달은 왕성하게 이루어 질 것입니다.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해 보면 모든 수학 수업을 직접 만지고 조작해 보는 활동으로 진행하기에는 여러 한계에 부딪힙니다. 실제로 입체도형을 여러 방향으로 잘랐을 때 생기는 단면을 알아보려고 수수깡을 이용하고, 찰흙으로 입체도형을 만든 후에 칼로 잘라서 단면을 말해 보게도 하였지요. 전개도 수업에서는 교과서 붙임딱지를 이용하고, 쌓기나무를 나누어 준 다음 여러 방향에서 보이는 모양을 찾아보게도 하였습니다. 물론 그냥 수업을 하는 것보다 아이들이 즐거워하고 열심히 참여해서 뿌듯했지만, 모든 학생이 성공적인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부족하고, 모든 도형 수업의 차시를 이렇게 지도한다면 재료나 시간뿐만 아니라 진도에서도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연산 영역 수업은 남아서 따로 지도하고 반복해서 계산하게 하면 어느 정도는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형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지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더군다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입체적으로 추리하고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많은데, 그래서 수학을 싫어하게 되는 학생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지도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수학뇌를 키워 주는 입체왕> 시리즈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부모와 함께 전개도를 자르고 입체도형으로 만들면서 공부할 수 있고, 자녀의 인지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습니다. 아이 스스로 만든 친숙한 입체도형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는 입체도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고, 반복적인 조작 학습을 통해 평면에 그려진 입체도형을 추리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게 됩니다.


"엄마, 같이 공부해요." 비록 처음에는 엄마와 '같이' 하는 공부가 되겠지만, 자녀가 공부하겠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면 그것이 자발적인 학습의 출발점이 되지 않을까요? 억지로 끄집어내고 상상해야 하는 입체 수업이 아니라 만들어 보지 않아도 자유자재로 구상하고 사고할 수 있다면 자녀가 느끼는 만족감은 어른이 생각하는 기쁨 이상이 될 것입니다. - 심지영(서울청덕초등학교 교사)

 

 

전문가가 선택한 12월의 좋은 어린이 책 이벤트 보러 가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