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덕산중학교 교사 변경옥 님, 인천 수봉도서관 관장 송영숙 님, 안산 원곡초등학교 교사 손소연 님, 밀란 바티로브(Mirlan Batyrov)님께서 추천하신 11월의 좋은 어린이 책, <다문화 백과사>의 추천글입니다.
미국에서 온 찬수는 우리말을 잘 못하지만 친구들과 곧잘 어울린다. 국어에 관심도 많아서 적극적으로 질문도 한다. 점심시간이면 친구들과 축구하기 바쁘다. 학교생활이 활기차고 즐거워 보인다. 그런데 한국인 아빠와 몽골 인 엄마 사이에서 태어난 미선이는 말도 또박또박 잘하지만 왕따를 당하고 학교에 잘 나오지 않는다. 무엇 때문일까? 아이들은 왜 찬수하고는 잘 지내면서 미선이는 멀리할까? 아이들이 다문화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 아닐까?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우리 주변의 다문화 가정 친구들을 가슴으로 안아 줬으면 좋겠다. 이 책은 분명 그러한 힘이 있다. - 변경옥(경기 덕산중학교 교사)
인류의 역사를 보면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의 이동이 있었고, 그 이동을 거쳐 다양한 문화들이 정착되었다. 이 책은 다문화가 옳고 그른 것 또는 귀하고 천한 것을 가리는 대상이 아니라는 점, 다른 것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함을 인류의 역사를 한 바퀴 돌아서 설명하고 있다. 이 세상은 나 혼자서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서로 다른 문화의 가치를 가슴으로 끌어안고 함께 나눌 수 있을 때, 정으로 어우러지고 더불어 사는 세상이 만들어질 것이다. - 송영숙(인천 수봉도서관 관장)
나는 2006년부터 7년간 안산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외국인 근로자 자녀 특별 학급 담임을 맡았다.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말 못하는 장애우와 한국어를 처음 배워서 어눌한 다문화 가정 아이를 동일시했다. 우린 서로를 참 모른다. 이 책은 다문화를 설명하기 위해 굳이 우회하지 않는다. 왜 차별이 나쁜지, 우리가 무엇을 오해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요지부동한 고정 관념 안에 우리의 비겁함이 숨겨져 있음을 직설적으로 꼬집는다.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 우리 아이들에게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배우게 할 도서로서, 귀한 아이들에게 ‘상생(相生)’을 가르칠 지침서로서, ‘세계 시민’을 제안하는 이 책이 아이들과 선생님들의 책상에 펼쳐지기를 바란다. - 손소연(안산 원곡초등학교 교사)
나는 키르기스탄에서 온 밀란입니다. 이주 노동자들의 나라들은 지난 30~40여 년 전 한국이 지나온 길을 걷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이주 노동자들을 열린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조상 또한 이주 노동자의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는 더욱 작아지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인내와 연대, 그리고 우호적인 관계를 통해 마음을 열려는 사람들에게 기쁜 선물입니다. 이러한 고마운 책에 대해 이주 노동자들의 이름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또한 이곳에서 일을 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감사를 드립니다. - 밀란 바티로브(Mirlan Batyr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