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물고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4월의 물고기
권지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권지예. 꽤나 유명한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작품을 한 번도 읽은 적이 없다. 알게된 경위가 불명예스럽게도, 표절 시비였다. 사실이든 그렇지 않았든 역시 불명예스러운 소문은 작가에 대해 우호적인 감정이 생기게 하진 않는다. 나도 모르게 작가의 소설을 거부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4월의 물고기. 꽤 감성적인 제목이다. 그러나 제목이 내용과 꼭 맞지는 않는다. 추리 소설같은 면도 있으니 너무 직접적인 제목은 피하려는 의도였겠지?
유명한 작가치고 문체가 너무 소녀스럽다. 친절하다고 해야 하나? 뭐 나의 괜한 편견일 수도 있겠다. 문체는 표절 할 수가 없겠지만. 그래도 괜히 허세스럽지 않아서 괜찮았다.
줄거리를 당췌 어디까지 써야할 지 모르겠다. 끝까지 쓰자면 스포일러가 되겠고, 난 그런 거 얘기하는 사람을 아주 싫어하니까. 근데 모든 내용을 알아버리고 나면 그 부분을 얘기 안 하면 할 말이 없어진다.
아, 메멘토. 메멘토랑 비슷한 얘기라고 해도 괜찮겠다. 기억은 해석이고, 그 해석은 자의에 의해 왜곡된다.... 그리고 그 왜곡된 기억의 진실을 알 게 되면 너무나도 무서운 결과가 있다. 진실이 더 무서운 법이니까.
소설 중반부까지는 운명적인 사랑을 얘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소설가이자 요가 강사인 서인은 어느 잡지에서 인터뷰를 하다가 사진 기자이자 교수인 석우를 만난다. 이상하게 서로에게 끌림을 느낀 둘은 운명의 힘에 의해 만나서 사랑에 빠진다. 30대가 되어 진짜 사랑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석우를 만나기 시작하면서 서인은 '악의 꽃'이라는 이름으로 메일을 받게 된다. 사랑에 빠지면 위험해 진다고.
석우는 키가 크고 잘생긴 사진 작가이자 교수이다. 당연히 그에게는 추종자가 있다. 그의 자취방으로 연락없이 찾아오는 어린 제자 유정. 서인은 나중에 유정을 존재를 알고, 찾아낸 유정의 미니홈피에는 보를레르의 '악의 꽃'이란 시가 적혀있다.
그들의 만남은 우연이었다. 아니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었다. (어떤 필연인 줄 알게된다면 끔찍한 일이다.) 이런 진부한 문장처럼 나중 결말도 청승맞다.
줄거리는 여기까지 끝. 더 이상 얘기한다면 이 책을 읽을 재미가 반 이상은 없어지겠지?
운명적 사랑, 애써 억눌렀던 아픈 기억이 갑자기 분출하 듯 떠오를 때 마음의 동요, 무의식의 탐험 등 소설은 너무 많은 얘기를 한다. 그 고리가 맞물리기는 하는데 애써 연결해 놓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래서 흡입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이미지가 팍팍 떠오르는 것은 이 소설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다. 호수의 고요한 이미지, 주인공들이 무의식을 캐가면서 나는 색채의 이미지. 그래서 요즘 보기 드문 먹고 대학생인 나는 악몽을 자주 꾼다. 끔찍한 꿈을 길게, 오래도 꾼다. 원래 그런 꿈은 잘 안 꿨는데.. 얼마 전부터 난도질 당하는 꿈을 자주 꾼다. 흑흑.
통속적인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 이야기에 목 말랐던 독자라면 한 번 쯤 읽어보면 좋겠다. 그러나 그런 데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악몽을 꾸기 십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