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하루종일 겨울비가 차갑게 내리더니
오늘은 다른 날입니다.

여울 님 여섯 번째 전시가 어느새 오늘 마감일이네요.
그날, 불쑥 갔는데 따스하게 맞이해 주셔서 고마웠어요.
여러가지 소재의 만남과 손으로 만져지는 재료의
물성과 물성, 여러 면에서 온기있는 시선이 돋보였어요.
특히 응시, 라는 부조는 익살스럽기까지 합니다.
포항 구도심 낡은 골목에 아닌 듯 앉아 있는 문화공간
2층으로 올라가는 좁다란 계단도 정겨웠어요.
그곳, 부산이 고향이라는 관장님의 문화 전도사로서의
책임감과 자부심도 느껴졌어요.

그날은 바람이 제법 부는 날이었어요.
장기면 유배문화체험촌을 먼저 둘러보았어요. 다산이 처음 유배 온 곳입니다. 마루에 내려앉은 겨울햇살이 목화솜을 담아 둔 광주리 위로 포근하게 느껴졌어요. 해설사가 권해준 대로 장기읍성까지 차로 올라갔습니다. 걸을까 하다 높은 곳을 보니 오금이 저려 읍성 걷기는 포기했어요. 봄날 따뜻할 때 다시 오자 생각하고 내려와 시내로 달렸어요.
구도심 골목을 뒤져야겠다 생각하고 담벼락에 주차했는데, 자동차 뒤쪽 타이어 바람이 꽤 빠져 있는 걸 발견했어요. 더 두면 완전히 빠져 어려워질까봐 타이어점부터 찾아갔고 날카로운 게 깊이 박혀 있는 걸 알았어요. 기사가 그걸 빼내느라 고생했어요. 시내 도로 공사하는 곳 옆을 지날 때나 어디선가 날아든 뾰족한 이물이겠지요. 박힌 지 좀 오래된 거 같다는데, 저는 감지하지 못하고 여태 무심히 달렸네요. 언제부터였을까요.
수리 후 전시장을 다시 찾아 갔습니다.

이번 전시의 중심 소재는 가자미라는 게 특이하기도 하고요. 바닥을 감지하고 자신의 몸 색깔도 바꿀 줄 아는 가자미에 대한 여울님의 시선, 각기 다른 시선들의 중첩과 만남, 교차하는 시선과 그 각도에 대한 생각에 교감합니다. 마무리 잘하시길 바라고요,
또 새로운 시도를 항상 기대하겠습니다.

다 달라서 좋고 다다를 수 있어서도 좋고 다다르지 못해서 더욱 좋은 날들입니다. 실수에서 배우고 실수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는 말씀, 시인이고 화가인 여울 님 서재에 포스팅된 인터뷰에서 들었어요. 공감의 박수 보냅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23-12-14 17: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시회 소식도 좋지만... 프레이야 님, 책을 내셨으면 페이퍼를 올려 주셔야죠?
책 제목이 고독한 기쁨, 인가요? 제목이 참 좋습니다.
책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프레이야 2023-12-17 10:48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
페크님 말씀대로 책 소개 혹은 고백 페이퍼
소소하게 올렸어요.

희선 2023-12-15 0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주 시작부터 비 오고 어제 그리고 오늘 새벽에도 비가 오는군요 겨울비가 오래도 온다 싶습니다 눈이 오는 게 더 좋은데... 유배문화체험촌도 있군요

멋진 전시회였군요 다 다른... 가자미도 다 다르고 사람도 다 다르겠습니다 다른 걸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좋겠네요

프레이야 님 추워진다고 하니 감기 조심하세요


희선

프레이야 2023-12-17 10:53   좋아요 1 | URL
포항의 옛이름이 장기라고 하네요.
지형도 그렇고 옛날에 그곳에 수군도 배치되어 있어서 유배지의 조건들에 맞는 고장이었대요.
그냥 조그만 체험촌인데 날씨 따뜻한 날 주변을 걸으면 좋겠더군요. 다시 한번 가야겠어요.

여울님은 시선이 남다른 것 같아요. 항상 그렇게 깊고 맑은 시선으로 작품활동 하시는 모습이 참 좋아 보여요. 다음엔 어떤 시도를 하실지 또 기대되네요. 관심 가져 주셔서 고맙습니다.
희선님도 감기 조심하시고요~

2023-12-16 1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포항 “스페이스 신선”에서 12.12일까지 합니다.
여울 님 서재에서도 엿볼 수 있네요.
늘 새로운 시도로 나아가는 전시를 축하드리며,
좋은 시간 되길 바랍니다. ^^
도록의 일부만 소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광안리 해변에 있는 소극장에서 아리엘 도르프만 원작,
동명의 연극을 같이 보았다.
세 배우 모두 열정적으로 연기했다.
시네마낭독극장에서 함께했던 우리 다섯은 각기
연령이 달랐지만 괸심사와 지향점이 비슷했다.


슈베르트 현악사중주 ‘죽음과소녀’

“이 곡에서 슈베르트가 단지 암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완전히 소진된 감정의 표출이다.”
- 알프레드 아인슈타인


그림1 한스 발둥 그린
그림2 에곤 쉴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체호프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0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박현섭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ine-theater 내기 The Live

7월부터 11주간 매주 월요일 영화의전당에서 하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시네마낭독극장에 참가했다. 15명씩 두 반이 선착순으로 선발되어 네 분의 강사와 함께 배우고 즐기는 시간을 가졌다.

9월 24일 저녁에 야외극장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애니메이션에 목소리 더빙을 하는 역할이다. 보는 영화에서 영화 속으로 들어가 참여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졌다.
내가 속한 반은 “할머니의 꽃신”.
다른 반은 “옥자의 관부재판”.
모두 위안부 옥자 할머니의 이야기다.
2022년 생존자 11명.
현재는 9명이라고 한다.
다들 울컥하는 순간을 잘 넘기고
각자의 캐릭터에 몰입해 잘해낸 것 같다.
그날 야외극장 저녁바람이 무척이나 상쾌했다.

11주간 온몸으로 열강해주셨던 주강사 님의 초대로 오랜만에 연극을 보았다. 그분은 극단 배관공 배우다. 몸 전체로 보여주는 연기자들을 존경한다. 신체언어 쓰는 걸 잘 못하는 사람이라 부럽기도 하고.

<The Live>는 체호프 단편 <내기>를 모티프로 무성 단편영화 기법을 결합해 재기 넘치고 감동적인 연극이었다. 원작의 의미를 잘 살려냈다. 태어나서 죽음을 맞기까지 종신형에 빗댄 “삶” 혹은 “목숨”을 걸고 우리는 어떤 내기를 해야 할까.

마치고 오는 길에 가을이 완연한 비가 내린다. 함께한 글벗이 집까지 우산을 씌워 주고 갔다. 고마워요. 돌아와 민음사 책을 뒤져 십 년 전에 그어놓는 밑줄을 발견하고… 연극에서 저 대목을 그대로 읽는 목소리가 좋았다. 스스로 형을 마친 자의 자유와 호방함이 느껴져 카타르시스가 왔다.
책을 진정 경멸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강을 건너고 나면 뗏목을 과감히 버리라고 했듯. 아직은 강 물결에 몸을 맡긴다. 제대로 맡길 수 있기만이라도…

오늘날의 입장에서 미디어를 결합해 다채로운 감각 경험을 하게 한 연극이었다. 연극 중에 나온 책이 여러 장르로 여럿 있다. 특히 레미제라블을 책장에 꽂아 무대와 영상에 배치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것 같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6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3-10-08 01: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애니메이션 더빙도 해 보시다니 멋진 경험이었겠습니다 일본군 위안부였던 분 이야기여서 마음 아프기도 했겠네요 이제 아홉분 남았다니... 시간만 가는 느낌도 듭니다 남은 분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희선

프레이야 2023-10-09 16:41   좋아요 2 | URL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잊혀져가는 분들이 안타까워요.

페크pek0501 2023-10-09 22: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좋아하는 체호프 단편선이네요. 작품이 다 좋았어요. 재독할 만한 책 같아요.
‘내기‘는 인상적으로 읽어 제 책에 내용을 넣기도 했죠.
프레이야 님, 오랜만의 출현이십니다. 자주 출현해 주십시오. 반갑습니다.^^

프레이야 2023-10-19 14:26   좋아요 2 | URL
페크님 반갑습니다.^^

yamoo 2023-10-20 13: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일반인들이 하기 힘든 경험을 하셨네요! 부럽습니다~~

아..근데 두번째 이미지...내기 포스터가 매우 인상깊네요. 그림 그릴 때 참고해야 겠습니다!ㅎㅎ

프레이야 2023-10-20 13:15   좋아요 1 | URL
그죠 ㅎㅎ 포스터 그림 저도 눈길 갔어요. 내용을 잘 나타내기도 했고요. 그림 날로날로 성장하고 있겠네요 야무님.

2023-11-19 12: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130237?sid=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