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00/8/cover150/8992378092_1.jpg)
어느 독서 모임에서 업어온 책을 오늘아침 우연히 들춰본다. 우연이라고 하지만 나도 모르는 필요에서 손이 갔겠다. 30대 후반의 이 책 주인한테 책을 아직 돌려주지 못했다는 걸 알았다. 톨스토이의 생애 마지막 저서라고 소개 받은 이 책에는 대문호가 오랜 세월 쓰고 읽고 경험하고 명상하며 얻은 깨달음이 시적인 형식으로 씌어 있다. 그리고 나를 돌아보게 하는 명언들로 오염되어 들끓는 마음을 잦아지게 해준다. 자기애가 지나친 사람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이익과 행복을 위한 도구여야 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그렇게 이용한다. 물론 그런 욕심을 드러내지 않는 위선을 부리기도 하지만 은근히 드러내면서 악취를 풍기기도 한다. 간교함이 보이는 것이다. 어제 딸아이랑 야밤 토크 중 '답정너'가 튀어 나왔다. 내가 그 신조어를 알고 있다는 사실에 아이는 신기해 했다. 우리 '답정너'는 되지 말자. 지나친 자기 사랑은 오만의 출발점이라고 톨스토이는 말한다. 지나친 자기사랑에 주변사람들은 질리고 피곤해진다.
오늘 나에게 주는 말은, 사람이든 상황이든 자신이든 매사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가지려 감정을 제어한다면 조금 낫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오만의 출발점
안 맞는 바퀴는
굴러갈 때 시끄러운 소리를 낸다.
예의 없는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자기 사랑은 오만의 출발점이다.
오만은 자기만 사랑하는 행동의 정점이다.
우리가 가진 모든 장점을 동원해 다른 사람을 도우라.
몸이 튼튼하다면 약한 이를 돕고
지혜롭다면 그렇지 못한 이를 도와라.
아는 것이 많다면 배우지 못한 이를,
부자라면 가난한 이를 도우라.
하지만 오만한 사람은 다르게 생각한다.
자신에게 다른 사람들이 갖지 못한
무언가가 있다면
다른 사람과 나누지 않고 홀로 간직하려 든다.
- 93쪽
아래는 책소개에서 업어온 글귀
레프 톨스토이의 한 마디
이 책은 인류에 대한 나 자신의 가장 큰 사랑의 표현이다. 함께 읽는 독자들이 내가 책을 쓰면서, 또한 매일 반복해서 읽으면서 경험했던 감동과 흥분을 함께 느껴주었으면 한다. - 톨스토이 (지은이)
이상원의 한 마디
나는 왜 이렇게 나약한지, 올바로 사는 길은 무엇인지, 세상살이에서 만나는 갈등과 고난을 어떻게 극복해나가야 하는지 고민스러울 때 이 책을 펼쳐 보라. 바로 그런 고민에 치열하게 매달렸던 톨스토이가 남긴 글귀들은 어느새 고요한 산사에 앉은 듯 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줄 것이다. 그리고 책장을 덮고 일어섰을 때에는 다시 세상과 마주 볼 용기를 안겨 줄 것이다. - 이상원 (옮긴이)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18/pimg_734585173124227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