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27일 녹음, 총 3시간 40분 소요 완료
앉은 자리에서 꼬박 끝냈다.
시인 이정록은 어머니의 언어, 어머니의 기억, 어머니의 삶을 통해 걸쭉한 서사를 환기하고
울림통이 큰 시어는 물론 가슴 저 밑자리에 꺼지지 않는 불씨 하나 끄집어 올려 피워준다.
충청도 말이 생각보다 잘 되었다. 참말 좋은 거다. 무름하니^^
시인은 충청도 말 감수까지 받아 시집을 냈다.
여기 72편의 시는 '시'와 '시어', '시를 쓰는 일'에 대한 시이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그런 것의 은유로 '어머니학교'는 존재한다. 어머니가 툭툭 뱉어내는 에로스의 언어
또한 걸죽하다. 우리는 모두 어머니학교의 동창생이기도 하다, 시인의 말대로.
시인의 친구가 편안하게 찍은 어머니 사진(흑백)들도 참 좋다.
내일이면 12월이 시작되는데 마음 따뜻해지는 시어들로 푹 익은 무마냥 마음도 무름해지고 싶다.
한 군데 오자는 아쉽다
73쪽 '칠순 천사' 중, 여자는 죽을 때가지 하늘을 나는 꿈을 꾼단다. (가지 ---> 까지)
몸과 맘을 다
(어머니학교 15)
장독 뚜껑 열 때마다
항아리 속 묵은 시간에다 인사하지.
된장 고추장이 얼마나 제맛에 골똘한지
손가락 찔러 맛보지 않고는 못 배기지.
술 항아리 본 적 있을 거다.
서로 응원하느라 쉴 새 없이 조잘거리던 입술들.
장맛 술맛도 그렇게 있는 힘 다해 저를 만들어가는데,
글 쓰고 애들 가르치는 사람은 말해 뭣 하것냐?
그저 몸과 맘을 다 쏟아야 한다.
무른 속살 파먹는 복숭아벌레처럼
턱만 주억거리지 말고.
한창훈 장편소설 <꽃의 나라>
2012년 2월 20일 녹음시작 총 12시간 소요 녹음완료.
편집할 책이 밀려 있는데 먼저 하고픈 것부터. 며칠 전 편집 시작 2012년 11월 30일 편집 완료
항구에서 도시로 고등학교 유학을 간 주인공을 중심으로 79년 10.26 전후 불안감과
80년 5.18 광주혁명 당시 상황이 생생하게 나온다.(이건 3분의 2 지점 이후)
당시 방송이나 언론에서는 실상이 전혀 나오지 않았고 주인공도 '라디오에서는 아바 노래만
나왔다'고 말한다. 대학 때 총학생회에서 보여준 슬라이드로 처음 목격한 나도 너무 놀라고
분개했던 기억이 활활 재생된다. 소설은 먼저 5.18 이전의 폭력에 물든 사회상과 가족과 학교에서의 폭력적 분위기를 서사로 끌어들여 보여준다.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폭력서클(당연한 것처럼), 군대식 학과(교련), 폭력과 권위만을 내세우는 교사와 아버지, 욕설과 폭력이 아무렇지 않게 일상인 학생들.
주인공이 그 당시 거리에서 군인들에게 쫓기다 같이 쫓기고 있던 생물교사와 조우하는 장면에서 왜 이런 일을 벌이는지
묻는 대목이 나온다. 생물교사도 궁금해 자신의 옛스승에게 물어봤더니 알래스카 개 이야기를 들려주더란다.
젊고 튼튼한 개들 사이에 늙고 병든 개 한 마리를 끼워넣어 집중적으로 그 병든 개만 채찍질 하는데 그러면 그 개가 내지르는
끊임없는 비명, 그 처절한 비명이 다른 개들에게 공포심을 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찍소리 못 하고 썰매를 끌게 된다고.
"그 사령관은 그게 필요한 거야. 공포와, 그것을 만들어내는 혼란이." (204쪽)
이 소설의 마지막은 이렇다.
오래지 않아, 사령관은 대통령이 되었다.
내 기억은 거기까지이다.
- 272쪽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이렇게 쓴다.
나는 '희망'이라는 말을 믿지 않는다. 그것은 누렇게 삭아버린, 한번도 지키지 않았던 생활계획표 같은 것이다.
내가 믿는 것은 미움이다. 미움의 힘이다. 우리가 이렇게 앓고 있는 이유는 사랑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보다,
미워할 것을 분명하게 미워하지 않아서 생긴 게 더 많기 때문이다.
영화 <26년>, 이번 주 안에 봐야겠다.
마음 무름해지는 시집 읽다가 이 소설 다 읽고 영화 보면 다시 힘이 불끈 들어갈 것 같다.
아무튼 올해 11월의 마지막 날, 그리고 12월을 맞이하는 마음으로 소중한 하루, 스스로도 존중할 수 있는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