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28일 시작, 총 28시간 소요 녹음완성.
2012년 7월24일 1차 편집 시작.
녹음 속도가 빨라 편집할 도서가 많이 밀려있다.
지난 주 김훈 장편소설 <흑산>(총 19시간) 1차 편집을 마치고 오늘 <화차> 편집에 들어갔다.
미야베 미유키가 장치해놓은 복선들이 다시 눈에 띄었다. 혼마의 시선으로 표현된,
사람을 묘사하는 섬세한 눈과 사람을 꿰뚫는 예리한 눈은 동시에 작가의 것이리라.
소비자금융규제법과 개인파산에 대한 것까지 오늘 편집한 부분에서 나왔는데,
작가의 치밀한 자료조사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이 책의 주제로 통하는 '거울'에 대한 복선이 아주 초반부터 눈에 띈다.
다리 부상으로 휴직을 하고 있는 형사 혼마는 불현듯 옛날 일이 떠오른다.
상습절도범 소녀에 대한 기억인데, 솜씨가 좋았던 그 소녀는 훔친 고급 브랜드의 옷과 시계나
액세서리까지 한번도 밖에 나갈 때 착용하질 않았다.
대신 아무도 못 보게 방문을 걸어 잠그고 커다란 전신거울 앞에서 이것저것 번갈아 입어보았다.
오로지 자기 방의 거울 앞에서만. 그러면 어울리지 않는다는 핀잔을 들을 염려도 없으니까.
......
아무도 없는 곳에서만 자기주장을 한다. 찔리는 구석이 있으면 다 그렇게 된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그 소녀는 지금 어떻게 지낼까. 벌써 이십 년도 더 지난 옛날 일이다. 어쩌면 당시의 자기 나이 또래 아이의 엄마가
되어있을지도 모른다. 입을 굳게 다물고 한마디도 하지 않는 그녀에게 설교를 늘어놓으려 애쓰면서 변변히 말도
제대로 잇지 못하던 풋내기 형사의 얼굴 따윈 잊은 지 오래겠지만. (p9)
우리는 착각 속에 산다. 행복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다.
정작 무언가를 손에 쥐면 행복할 것 같지만 절대 오래가지 않는다. 모든 건 순간이다. 그 느낌마저 순간의 착각이다.
가즈오의 약혼자, 한순간에 사라진 여인 세키네 쇼코는 "나는 그저 행복해지고 싶었다"고 말한다.
어떤 게 행복일까? 크고 아름다운 집이 있으면 행복해질 것 같았던 쇼코, 우리의 다른 이름이 아니고 무얼까.
이 세상에는 다리를 원하지만 허물벗기에 지쳐버렸거나 게으름뱅이거나 벗는 방법을 모르는 뱀이 수없이 많다는 거죠.
그래서 그런 뱀들에게 다리가 있는 것처럼 비춰주는 거울을 파는 뱀도 있다는 말씀. 그리고 뱀들은 빚을 내서라도
그 거울을 사고 싶어하는 거예요. (p347)
거울은 당연히 있는 그대로 비춰줄 것 같지만 거울마다 약간은 다른 느낌을 준다. 확실히 어떤 거울은 실제보다
이쁘게 보이게 한다. 옷가게 거울 앞에 서면 모델처럼 날씬한 내가 서있어 기쁘고 놀라운 경험이 다들 있을 거다.
그러면 당연히 그 거울을 사고 싶지만 대신 옷을 사고 만다. 집에 와서 입어보면 실망하겠지만.
우리는 뱀에게 다리가 있는 것처럼 비춰주는 거울 하나를 사기 위해, 행복이라는 이름의 착각을 사기 위해
결국 행복을 놓치고 있는 건 아닌지. 끔찍하고도 아름다운 비유가 <화차>를 더 무게 있게 한다.
이 책 편집하며 한 번 더 읽게될 거라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