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_ 자기만의 방(1929-1935)

이 평전은 많은 부분 보부아르의 회고록과 일기를 참고해서 쓰고 있다. 회고록에 기술하지 않았거나 완곡하게 쓴 부분은 일기장에서 자세히 언급된 경우가 많았다. 안에서 보는 나와 밖에서 보는 나, 둘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롭지는 못했던 게 오히려 인간적으로 보인다. 일기장도 백 퍼센트 순수한 나이기는 어렵지 않을까. 세간의 추측과 오해가 오히려 당연할 듯.

#
어리석은 사람들을 봐주지 않기로 평생 정평이 나 있었던 보부아르가 교사로 일하며 이 시기에 쓴 원고는 아무것도 출간되지 않았지만 어떤 글을 쓰든 “타자의 신기루” 그리고 정직 자유 사랑의 관계라는 늘 똑같은 주제로 돌아왔다. 그들은 열렬히 대화했고 눈물과 결핍, 오해와 이해로 점철했으며 감정에서든 글에서든 서로 날카로운 조언과 비평을 반겼다. 사르트르가 편지에 썼듯 “일심동체”적 믿음이 있었다.

2년의 계약을 깨고, 헤어져 있는 괴로움을 극복하고자, 사르트르가 결혼을 제의하기도 했지만 보부아르는 당혹스러웠고 거절했다. 이건 보부아르를 위해서였는데 영리한 그녀는 계산을 했다. 부르조아 제도에 대한 생각을 바꾼 유일한 이유는 출신문제. 아이를 남는 것은 “아무 목적도 없고 정당화될 수도 없는 세계 인구의 증식으로 보였다.” 계약 기간을 늘리고 자주 만나는 걸로 했다. 이 시기, 서로 다른 지역으로 발령을 받았으나 두 사람이 받아들이는 생의 의미는 좀 달랐다. 마르세유에서의 이 때를 보부아르는 괜찮아 하면서도 가장 불행해 했다. 사르트르는 우울이 찾아왔다.

보부아르는 이미 알고 있던, 후설의 현상학에 감명받은 사르트르는 철학을 일상으로 돌려놓고 경험을 쓰는 데에 뿌리가 되게 하고 싶었다. 이는 “생생한 현실”을 쓰고 싶었던 보부아르의 생각과 같으면서도 달랐다. 사르트르는 경험을 살아 내는 대신 글로 쓰려 했고 그 점이 Beauvoir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삶에 대한, 지금 여기의 현실에 대한” 충실성에 거슬렸다. 사르트르는 세계를 관찰과 반응을 너머 언어로 정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보부아르는 그건 말이 안 된다고 했다. 런던을 고작 12일 여행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는 게 보부아르 생각이었다.

보부아르는 많은 문학작품을 읽었고 버지니아 울프의 “모든 작품”을 읽었다. 사르트르가 우연성에 대한 철학적 집필로 고심할 때 소설로 써보길 권했고 탐정소설을 좋아한 사르트르는 자신을 앙투안 로캉탱에 투영하여, 르아브르를 배경으로, 철학적 질문을 담은 소설을 쓸 수 있었다.


#

“ 보부아르의 비판은 상세하고 깐깐했지만 그게 바로 사르트르가 ‘변함 없이’ 그녀의 조언을 수용하는 이유였다. “(172)


시간 나는 대로 여행을 함께 다닌 두 사람. 11월의 르아브르 해변 카페에 이십 대 두 사람이 앉았다. 그 자리에서 절대자를 향한 오래된 갈망과 지적 욕망과 삶의 노력이 속상해 “한바탕 눈물 쏟는” 보부아르를 상상해본다. (아마도 바다는 흐렸을 것이고 빗방울이 한두 방울 떨어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내가 잠시 가닿았던 르아브르 해변은 7월이었어도 흐렸다)
다음날에도 보부아르는 심란해 사르트르와 논쟁을 벌이고… 격론하고 상대에게 자기주장을 직설하면서도 금이 가지 않는 관계 그런 타자와의 관계라면 말년에 최고의 관계였다고 회고하고도 남을 수 있지 않을까. 사르트르는 모르겠지만 보부아르는 그가 자기 생의 증인이 될 수 있을 거라 여겼다. 사르트르 사후 보부아르는 ‘작별의 의식’을 쓰고 사르트르 삶의 증인이 된 셈이다. (이 책 표지 참 깔끔하다. 전에 읽다가 접어두었는데 이번에 다시 읽어야겠다)

감정적 결핍에는 서로 같은 거리로 더 깊이 다가가지 못한 면도 있지만 완벽하지 않아서 완벽한! (아직은 이십 대) 상대의 기호에 자신을 맞출 필요도 예쁘게 보일 필요성도 느낄 이유 따위 없이, 자기 기만에 빠지지 않고 오롯이 자기 자신 되기.

#
1927년 보부아르의 일기에 벌써 비슷한 표현이 나온다. 그녀는 자신에게 명령한다. “보부아르 양이 되지 마. 내가 되자. 외부에서 부과하는 목표, 충족해야 하는 사회적 틀에 연연하지마. 나에게 작용할 것이 작용하면 그걸로 다 된거야. “ -140쪽


르아브르 해변에서의 논쟁에 “사르트르는 술과 눈물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진리는 없다면서 그녀가 형이상학이 아니라 술 때문에 우울해지는 것 뿐이라고 했다. 하지만 보부아르는 술이 장막을 걷어 진실의 추악한 민낯을 드러낸다고 생각했다. (172)”

1935년 2월 사르트르가 환각증과 우울증을 인정했다. “보부아르는 사르트르의 철학대로라면 정신이 육체를 지배하니까 광기도 본인이 미쳤다고 믿는 것밖에 더 되겠느냐고 냉담하게 지적했다. (173)”

막상막하 천생연분.


- 맨아래 사진은 2016년 칠월 초 흐린 르아브르 해변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5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2-10-04 20: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에서의 사르트르는 왠지 철학가가 아닌 진짜 한 남자인 남편으로 비춰지는군요?
일기라서 더 친근하게 읽혀서일까요?^^

프레이야 2022-10-04 22:05   좋아요 2 | URL
여러 가지로 조명하는 것 같은데 재미난 일화가 많네요. 한 사람의 구석구석을 알기란 쉽지 않겠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겠죠. 모순되고 격렬하고 지적이면서 열망도 많은 두 사람. 똑똑한 인간들 같으니라구. 시몬이 일기장에다가 키작은 그남자라고 ㅎㅎ

2022-10-04 2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4 2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선 2022-10-05 02: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두 해가 그 뒤로도 오랫동안 같은 느낌이 듭니다 쉰한해라니... 언젠나 자신이 되려고 했다니 멋지네요


희선

프레이야 2022-10-05 11:38   좋아요 2 | URL
그죠 ^^ 평생을 기약하는 결혼식 올리고 헤어지는 커플에 비하면 평생 서로의 생에 증인이 되어준 관계이니 이러쿵저러쿵 말들은 많아도 결국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모순 없는 사람은 없으니.

기억의집 2022-10-05 09: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보브아루 찾아보니 1908년 생이네요. 시대를 비교해도 엄청 진보적이었네요. 울프와 교류가 있었을까요? 울프의 작품을 다 읽었다면… 울프와 보브아르의 서로의 생각이나 가치관이 궁금해집니다…

부산에서 프님 만나 편안한 여행 되서 즐거웠어요. 조만간 부산 페이퍼 올려야지 생각하고 있어요. 여행끝나고 갑작스레 알바 제의가 들어와 금토일 풀 알바 했는데 나이 들어 일하니 너무 힘들어 북플에 들어와 글읽을 수조차 없더라고요. ㅎㅎ 어제부터 피곤이 좀 가시긴 하는데.. 개피곤합니다. 하하. 프님덕에 즐거운 여행 돼서 고마움 한가득입니다. 조만간 트리조명 오면 보낼께요. 아직도 작가님이 발송 안 해 주셨어요 ㅠ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프레이야 2022-10-05 10:02   좋아요 1 | URL
울프와 교류하진 않았나 봅니다. 그런 말은 아직 나오지 않네요. 모든 작품을 읽었다고 하니 좋아했고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보이죠^^

2022-10-05 1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5 16:4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