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하는 말들
(공감26 댓글2 먼댓글0)
|
2025-01-31
|
 |
오늘 밑줄
(공감21 댓글0 먼댓글0)
|
2025-01-30
|
 |
음독, 종이사전, 손으로 연필 쥐고 종이 위에 글씨 쓰기, 음력 새해를 맞이해서 조금 새로운 습관을 붙여보기로.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너도나도 미친듯 운동해서 좋은 몸, 좋은 삶 살아보겠노라 하는데 거기에서 뇌는 왜 빼놓니, 뇌도 필요해, 좋은 운동 전신 운동! 해서 오 하고 메모해놓았다.
(공감15 댓글0 먼댓글0)
<독서의 뇌과학>
|
2025-01-28
|
 |
재독, 인간의 뇌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빵!하고 터져버린다. 스스로를 놓아버린다는 뜻. 쉬는 동안 잘 쓰담쓰담해주면 금세 활기를 찾아 가동성 있게 움직이고. 1만 시간의 법칙과 휴식의 중요성, 예술가의 뇌는 일반인의 뇌와 다르다는 점. 우울증의 무게차는 딱 보름이다.
(공감19 댓글2 먼댓글0)
<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
|
2025-01-28
|
 |
생의 태도를 가늠해보기 딱 알맞은 때에 내게 온 책, 작가의 작품은 많이 읽지 못했으나 읽는 면면 영혼이 강풍에 휘날릴 적마다 어떤 확고한 태도를 지니라고, 그게 좋을 거라고 혼내지도 않고 강한 어조로 이야기하지 않고 넌지시 속삭임을 건네받았던 것도 같다. 오래도록 재독하겠다.
(공감17 댓글4 먼댓글0)
<토니 모리슨의 말>
|
2025-01-28
|
 |
하루키
(공감22 댓글4 먼댓글0)
|
2025-01-27
|
 |
20250127
(공감22 댓글4 먼댓글0)
|
2025-01-27
|
 |
토니 모리슨의 말
(공감23 댓글2 먼댓글0)
|
2025-01-25
|
 |
나는 당신의 자매입니다
(공감28 댓글0 먼댓글0)
|
2025-01-10
|
 |
우파니샤드
(공감22 댓글8 먼댓글0)
|
2025-01-09
|
 |
마음
(공감20 댓글5 먼댓글0)
|
2025-01-06
|
 |
삶은 누군가를 만나 서로의 생각과 감정과 몸짓과 표정을 나누는 일이라는 걸 알았다. 미즈바야시 아키라의 소설에 몰입하는 동안. 음악을 조금 더 알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내게 그 깊이가 얕아 아쉬웠다. 진실되게 활자를 대하고 마주하는 이들의 눈빛을 바라보자, 다짐하게 만든 소설.
(공감24 댓글3 먼댓글0)
<부서진 향주>
|
2025-01-05
|
 |
자본을 읽자
(공감21 댓글2 먼댓글0)
|
2025-01-02
|
 |
오랜만에 리딩
(공감18 댓글0 먼댓글0)
|
2025-01-02
|
 |
존재에 걸맞게
(공감26 댓글4 먼댓글0)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
2024-01-31
|
 |
새장 안의 새는 하늘에서 실컷 잘 놀다 잠깐 히파르키아를 보러 오고 스스로 선택을 할 수 있을뿐, 그 조언을 받아 선택한다. 한 번의 인생, 걷고 또 걸으면서 히파르키아라면 이랬겠지 싶어 어제보다 더 오늘 감정의 파도를 다스렸다. 이혼은 100번을 생각해도 잘한 선택이다. 빛을 찾기로 했으니까.
(공감28 댓글0 먼댓글0)
<철학자, 강아지, 결혼>
|
2024-01-26
|
 |
좋은 인생이란 무엇인가
(공감27 댓글0 먼댓글0)
|
2024-01-26
|
 |
반 고흐
(공감23 댓글0 먼댓글0)
<반 고흐>
|
2024-01-25
|
 |
서로가 서로에게
(공감18 댓글2 먼댓글0)
<D에게 보낸 편지>
|
2024-01-25
|
 |
책
(공감35 댓글2 먼댓글0)
|
2024-01-24
|
 |
히파르키아
(공감30 댓글3 먼댓글0)
|
2024-01-23
|
 |
바람이 불고 한반도에 한파가 시작된 날, 클레어 키건의 긴 단편을 읽고난 후 눈물이 멈추지 않아 뚝뚝 떨어지는 눈물이 책장을 적시는 걸 가만히 응시했다. 아는 만큼 행하고 행할 수 있는 만큼만 사랑하기로 다짐했다. 딸아이와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로. 한겨울에 뜨거운 여름날을 불시에 만났다.
(공감30 댓글2 먼댓글0)
<맡겨진 소녀>
|
2024-01-22
|
 |
공동체에 대해서
(공감29 댓글0 먼댓글0)
|
2024-01-22
|
 |
예수와 인간에 대해서 성찰하게 만드는 소설. 인간이 인간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지 무엇을 앗아갈 수 있는지 비교대조하며 보여주는 소설. 묵직한 한 방. 소시민 빌 펄롱에게서 예수를 보았다. 모두가 고개를 저으며 그를 부인하던 모습도. 불안을 발판으로 삼아 그는 주저함 없이 그의 일을 행한다.
(공감24 댓글4 먼댓글0)
<Small Things Like These : Shortlisted for the Booker Prize 2022 (Paperback, Main)>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