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네 미술관 - 아름다운 우리 그림 우리 문화 상상의집 지식마당 6
강효미 글, 강화경 그림 / 상상의집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옛 화가들의 그림을 만날 수 있다.

안내자 역을 맡은 고양이의 깜찍함에 맘을 빼앗긴다.

그런데...

이런 책 좀 많은데...

현실과 작품과의 이음새가 매끄럽지 않은 점이 아쉽다.

고릴라 얼굴로 패러디한 작품들이 있는 앤서니 브라운의 <<미술관에 간 윌리>>,

그의 또 다른 작품인 <<행복한 미술관>>, 

제임스 메이휴의 미술관 시리즈(미술관에 핀 해바라기, 미술관에서 만난 모나리자...)등에서 만날 수 있는

빼어난 재구성에는 못미치는 듯하다.

'길벗어린이'의 내가 처음 가본 그림박물관 시리즈

(아재랑 공재랑 동네 한 바퀴, 봄말 호랑나비를 보았니, 산골짝 이야기...)와 비교해 보아서도 딱히...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우리 옛 그림에 대한 안목을 키워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들에게는 분명 도움이 될 책이다.

지난 여름, 오랜 시간을 들여 우리나라 곳곳을 들여다 보면서 가 보았던 안견 박물관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보려고 갔는데, 그곳에 가서야, 몽유도원도가 우리나라에 없다는 사실을 알고 실망했던 기억이 있다.

가장 먼저 소개되는 그림이 안견의 '몽유도원도'이고, 이 그림이 일본 덴리 대학 중앙 도서관에 있다는 설명이 나온다.

김홍도의 '논갈이', '새참', '우물가', '서당', '씨름', '빨래터'...

신사임당의 초충도 중 '수박과 들쥐'

신윤복의 '단오도', '처네 쓴 여인'. '월하정인도', '어물장수'

김득신의 '야묘도추도'

변상벽의  '묘작도'

정선의 '인왕제색도' 들을 만날 수 있다.

김홍도의 작품들이 아주 많이 실려 있고, 뒤로 가면 작가와 작품에 얽힌 이야기들이 담겨져있다.

이 책에 나오는 많은 작품들은 널리 알려진 작품들이고 누구나 한 번쯤 보았는데... 생각할 작품이다.

이렇게 대중적인 작품들을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눈에 담아두면 참 좋겠다.

그림책 속에 미술관이 하나 들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