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녀 동화 보물창고 44
프랜시스 호즈슨 버넷 지음, 에델 프랭클린 베츠 그림, 전하림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근사한 아이를 만났다. 그 아이의 이름은 사라.

얼마 전 다른 출판사의 책으로 절반 정도를 읽다가 말았는데.... 나는 언제나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보고 그러는 중에 어떤 책들은 읽다가 말아 버려서 다음 번에 처음부터 다시 읽곤 한다. 그렇게 읽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어느 책에서 읽었기에 위안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이 재미없어서 그만 두었던 것은 아니다. 그냥 단지 바빴던 것. 그런데, 이렇게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책이나마 끝까지 읽게 되어 너무 좋다.

얼마 전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던 <<빨간 머리 앤>>을 읽고 좋아라 했던 희망이. 담임 선생님도 어릴 때 너무 재미있게 읽었다며 빌려 달라 하셔서 빌려드렸는데, 이제 아주 조금 남았더라며 이야기 한다. 우리 희망이에게 이 책은 그 때 그 책보다도 더 재미있다고 권해 둔 상태다.

고전 명작을 읽을 때 아이들에게 축약된 내용의 책을 읽히는 것은 안 읽히는 것만 못하다고 이야기 한다. 아이가 그 책을 읽었다는 생각에 자라서 이런 완역본 책을 읽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거다. 그래도 그렇게나마 읽지 않으면 '소공녀'라는 이야기가 도대체 어떤 이야기인줄 알기나 하겠냐고 차선책으로 많은 엄마들은 그렇게마나 아이에게 명작을 접해보게 해 주고 싶어 한다. 나는 이 말도 맞고 저 말도 맞다고 생각했었는데, 명작도서를 몇 권 읽어보니 전문가들이 말하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겠다. 명작은 두껍게 나오는 완역번을 골라 읽힐 것. 진한 감동과 함께 아름다운 문학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사라 이야기를 해 보자.

시라 이야기는 어릴 때, 엄마찾아 삼만리처럼 만화로 만난 기억이 가물가물 난다.

부자 아빠를 둔 덕에 기숙학교에서 공주 대접을 받다가 어느 날 아빠가 재산도 하나도 남기지 못한 채 돌아가시자 갖은 구박을 받으며 고생한다. 다이아몬드 광산의 상속녀에서 한순간 거지로 전락해 버린다. 하지만, 기품있는 아이, 사라는 꿋꿋이 이겨낸다. 아이에게 힘을 준 것은 넘치는 상상력. 사라는 쥐가 나오는 좁고 낡은 다락방을 바스티유 감옥이라 생각하기도 하고, 감옥에서도 기품을 잃지 않았던 마리 앙뜨와네트에게 자신을 대입 하기도 한다. 쥐와도 친구가 되는 아이, 멜키세덱이라는 이름을 붙여 부르며 쥐를 길들이기도 하고, 다락방 창 밖의 참새도 친구로 삼는다. 낡고 초라한 공간을 아름다운 곳이라 상상하고, 먹을 것이 없고 춥지만, 무한 상상력으로 이를 극복하려한다.

점심도 굶어서 배가 너무 고팠던 날, 거리에서 주운 은화로 빵을 사서 자기보다 더 배 고픈 거지 아이에게 대부분을 다 줄 수 있는 아이에게 어찌 복이 오지 않겠는가!

이웃집의 인도 신사(사실은 영국신사)는 동업하던 친구의 딸을 찾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하지만 찾을 수 없다. 그러던 중 자신을 모시던 람 다스에게서 전해 들은 이웃 기숙학교의 불쌍한 아이 이야기를 듣는다. 어려움에서도 남모를 기품이 있는 아이, 그 아이의 상상력을 현실로 바꾸어 주고 싶어 람 다스와 함께 계획을 세우는데... 춥고 배고팠던 아이의 침실이 따뜻한 공간으로 바뀌고, 식탁에는 배부르게 먹을 음식이 놓인다. 아이들이 잠자는 틈에 이 모든 일이 이루어지다니. 상상이 현실이 되는 놀라운 순간. 그 감격의 순간에 함께 가슴이 벅차 오른다.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자극하는 동화라는 비판을 받아도 좋다. 나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이 이야기에 그만 홀딱 반해 버렸다.

아기처럼 떼만 쓰는 로티의 엄마가 되어 주고, 뭐든 자신감 없는 어먼가드의 친구가 되어 주고, 힘들게 일하는 불쌍한 베키의 동반자가 되어 주는 멋진 아이 사라. 풍부한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짓기 좋아하고 사라가 해 준 많은 이야기들은 아이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데 그런 중에 질투와 시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 모든 것을 물리칠 정도의 고상함이 아이에게 넘쳐난다.

'바로 이 아이'라고 외치는 인도 신사. 사업에 실패한 줄 알고 돌아가신 아빠를 대신 해 동업자 친구는 이제 사라에게 많은 것을 줄 수 있게 되었다.

사라의 부만 믿었던 민친여학생 기숙학교 교장. 그녀의 악랄함 덕에 사라가 눈부시게 빛난다.

처음에는 이런 친구가 있다면 참 좋겠다 생각하며 읽었는데, 이 책을 읽은 많은 아이들이 사라와 같은 풍부한 마음을 지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