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할미 - 서정오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 신화 우리나라 그림책 1
서정오 지음, 이강 그림 / 봄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신 할미라는 책 제목이랑 어울리지 않게 표지에 나온 두 여인의 모습이, 너무 아리따운 젊은 여자다.  

둘 다 아주 예쁘다는 것은 공통점이지만, 한 명은 허리에 두 팔을 올리고 다른 쪽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심술궂어 보이고 한 명은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이 한없이 선해 보인다. 이 두 여인 사이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아이들이 태어나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아이들은 엉덩이에 파란 몽고 반점을 달고 나온다. 자라면서 사라지는 이 몽고반점에 대해 과학적으로 만나 보려면 멜라닌 색소가 어떻고 저떻고가 되겠지만, 신화로 만나보면 삼신할미가 어서 나가라고 아이의 엉덩이를 탁 쳐서 생긴 멍자국이라는 거다. 그 삼신할미와 관련 된 우리 신화를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읽어 보는 맛이 잘 살아난 그림책이다.  

아기를 내려주는 삼신이 없었던 옛 사람들이 옥황상제에게 삼신을 달라고 빌게 된다. 인간세상과 달리 동해바다 용궁에는 용왕의 아내가 삼신이었는데, 백성들에게 자식을 점지해 주느라 정작 자신은 늘그막에  자식을 얻었더란다. 늦게 얻은 자식이 귀하다 보니 고이고이 키우다가 버릇을 제대로 잡아 주지 못해 용궁백성들의 원성을 살 지경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동해용왕이 딸을 상자에 가두어 땅 세상으로 보내 버리는데 어머니는 딸에게 땅에는 삼신이 없으니 그곳에서 삼신의 일을 하라고 하지만, 미처 삼신이 해야 할 일을 가르치지 못 한채 보내고 만다. 그 덕에 이 망나니(?) 딸은 삼신의 노릇을 제 대 로 못 하게 된다. 할아버지에게 아이를 점지해 주거나 남자에게 아이를 점지해 주니 말이다. 거기다 어떤 집은 아기 밴 지 석달만에 또 어떤 집은 아기 밴 지 삼년만에 아기를 낳게 되어 집집마다 울음소리와 한숨소리가 끊이지 않게 되었더란다.  

참다 못한 땅사람들은 다시 옥황상제에게 빌게 되고 옥황상제는 명진국에 사는 천왕보살 지왕보살의 일곱 살 난 따님아기를 삼신으로 삼으려고 일곱선녀를 시켜 삼신 공부를 잘 시켜 땅으로 내려 보내게 된다. 공부를 잘 했으니 당연히 일도 잘 하게 되는데... 하지만 땅에 두 삼신이 있으니 성질 까칠한 옛 삼신의 텃세를 새 삼신이 견뎌 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옥황상제에게 삼신을 하나만 두시라고 둘다 간청하게 되고. 결국 삼신의 역할을 묻는 시험에서 새 삼신이 통과하게 되는데... 용왕의 딸은 저승으로 가서 죽은 아기를 맡아 기르게 되었더란다. 이렇게 하여 땅세상에 다시 내려 온 새 삼신은 집집마다 아기를 잘 점지 해 주었는데, 사람이 많아지다 보니 일손이 부족했고, 아기 낳는 일을 도와 주던 산파 할머니들이 죽어 삼신이 되어 다시 땅세상으로 내려 오게 되어 집집마다 삼신할미가 있게 되었다는 내력을 담아 둔 그림책이다.  

서정오 선생님이 글을 쓰셨다는 이 책을 통해 대조적인 두 삼신을 보는 재미가 있고, 더군다나 용왕 딸인 옛 삼신이 남자에게 아기를 점지해 주는 대목에서는 아이들이 한 번쯤 웃고 넘어갈 만하다. 그림체도 무척 깔끔하다.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