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촌 형 그림이 있는 책방 3
이현주 지음, 박철민 그림 / 보림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도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꼭 한 권 사야겠다.

권정생 선생님 이야기에 자주 등장했던 이현주 목사님이 쓴 책을 처음으로 만났다. <<아기 도깨비와 오토제국>>-예전에 학급문고에 있었는데, 지금은 있는지 모르겠다. 있다면 한 번 꼭 읽어 봐야겠다.

작가는 우리가 육이오라는 슬픈 역사를 어떻게 해석하고 소화해서 앞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통일 조국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하며 써 본 글이라고 이야기 한다. 주먹의 힘은 다른 주먹의 힘으로는 이길 수 없다는 사실. 성태와 근태가 홍탱크와 오토바이를 어떻게 물리쳤는가를 읽어내려 가다보면 가슴이 뻥 뚫림을 느낄 수 있으리라.

똥구멍이 찢어질 듯 가난하고, 아버지는 늘 술에 취해 있지만, 그 속에서도 언청이 근태는 5학년이지만 공사판에서도 일할 정도로 억척스럽다. 나 성태의 아버지와 근태의 아버지가 사촌간이라 이들은 육촌간이 되고 근태는 성태에게 육촌형이 된다. 이들이 사는 양짓담과 음실은 한산계라는 작은 개울을 사이에 두고 있는데, 육이오를 겪으면서 어떤 사연을 품게 되었는지 두 마을은 원수지간이 되어 있다. 하지만, 세월이 약인지라, 전쟁이 끝난지도 오래 되었고 마을 사이에 다리도 놓여지고 그 때 원수졌던 사람들도 차례차례 죽고... 마을 젊은이들이 앞장 서 두 마을은 다시 사이좋은 마을이 된다. 더군다는 두 마을의 아이들은 한 교실에서 함께 뒹구는 친구들이니 두말 할 것도 없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부터다. 두 마을에 다른 동네에서 아이들이 전학오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음실마을에 '한산 목장'이 들어서고, 주인의 아들인 세아와 세아의 보디가드 홍탱크 때문에 아이들의 삶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때마침 양짓담에도 웬 부자가 이사와서 벽돌공장을 차렸는데, 주인의 조카는 오토바이를 타고 학교에 오는 바람에 오토바이라는 별명을 갖게 된다. 먼저 세력을 잡았던 세아와 홍탱크는 오토바이에게 아이들 표현식으로 하자면 '맞장'을 뜰 것을 제안하고, 한바탕 큰싸움을 벌인다. 선생님의 등장으로 싸움이 중지 되긴 했지만, 순위를 메기기 보다는 서로를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타협을 본다. 대신 양짓담과 음실은 홍탱크와 오토바이를 중심으로 세를 형성하여 서로 대립하는 아이들의 전쟁이 시작되게 된다. 그런데... 양짓담에 있던 근태네가 음실로 이사를 가면서 일은 묘해진다. 두 마을 아이들은 서로의 마을에 들어갈 수 없다는 묵언의 금기를 가지고 있었는데, 근태와 성태는 그들이 가진 특별한 혈육 관계 때문에 아버지의 심부름으로 근태가 옛날에 함께 살았던 성태네 마을로 건너 오게 된 것이 문제가 되었다. 두 대장들은 마을의 명예를 걸고, 두 아이의 싸움을 부치기는데... 처음에는 서로 치고 받던 두 아이 중 근태가 먼저 나의 얼굴의 피를 닦아 주면서 "난 안 싸워! 성태는 내 동생이야. 내가 왜 동생하고 싸워야 해? 난 죽어도 안 싸운다!"하고 이야기 한다. 화가 난 홍탱크의 주먹 주먹 세례를 받는 모습을 보고 나는 육촌형을 위해 돌멩이를 들고 홍탱크에게 덤벼들고, "성태 자식 요절을 내 버려."라는 홍탱크의 말에 근태는 다시 "어떤 놈이든 성태를 건드리면 죽여 버릴 테여!"하고 말하고 아이들은 "우린 이제 안 싸울텨!"하고 말한다. 그리고 "싸울테면 늬들끼리 싸워!"라고 말한다.

그리고 말라붙은 내 코피를 맑은 개울물로 씻어 주며, 근태는 이렇게 말한다.

"됐어. 이제는 서로 안 싸워도 되는 거야. 우리가 똘똘 뭉치기만 하면 저 새끼덜 꼼짝 못하게 할 수도 있어."

쓰다보니 주저리주저리 이야기를 늘이고 말았다. 그만큼 나는 이 이야기를 자세히 기록해 두어 꼭 기억하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것은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었다. 내가 어른이 되어서 읽은 책을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서 만나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그 글이 5학년에 내려가 있단다. 가볍지 않은 소재를 다룬 그 글이 아이들의 생활을 담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나 보다. 그런데 이 책이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하나라는 해결책은 없는 반면 오늘 읽은 <<육촌형>>은 우리가 숱하게 만날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현명하게 이겨나가야 할지를 (굳이 육이오 전쟁과 연관지어 생각하지 않더라도)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보게 하는 동화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이런 글이 실리는 것은 어떨까 하고 처음으로 생각해 보았다. 교과서 편집위원도 아니면서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0-06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현주 목사님의 '아기도깨비와 오토제국'은 우리집에 있어요. 그리고 4학년인가 실렸던 '알게 뭐야'가 있죠.
이 책은 처음이에요~ 요즘 아이들은 6촌은 커녕 4촌도 개념이 없어요.ㅜㅜ 내용소개가 잘 되어서 좋군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작가 의도와는 다르게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더군요. 너무 일찍 읽어서 숨은 뜻을 알겠나 싶어요. 나중에 정말 읽어야할 때 안 읽으니까 그것도 문제고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