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태 할아버지가 온다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8
박연철 글.그림 / 시공주니어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래시 동화로 이 책을 먼저 만났다. 초등학교 4학년 아이들과 함께 볼 때는 이 책이 참 재미있구나 생각했다.

그리고 아이의 어린이집 친구가 이 책에 특별한 애정을 보이는 바람에 우리 아이에게도 말 안 들으면 망태 할아버지 온다며 조금씩 써 먹으면서 떼쟁이 작은 아이를 위해 특별히 마련한 선물이었다.

그런데, 다 읽고 나서 이 책의 가치를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된다.

솔직히 이 책 읽는 아이들이 접하게 될 경험은 약간의 공포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한다. 특히 우리 아이처럼 분리 불안이 조금이라도 있는 아이라면 말이다.

이야기의 결말은 엄마의 망태할아버지 이야기를 매일 들어도 끄덕없이 말썽 부리던 아이가 꿈속에서 악몽을 꾸고, 아이를 망태할아버지 이름을 빌려 꾸짖기만 하던 엄마는 엄마를 부르는 아이의 목소리를 듣고 달려가서는 아주 온화하고 다정한 표정으로 아이를 안아주면서 낮에 있었던 일에 대해 서로 사과하고 화해한다는 그런 내용이다.

자녀 육아 관련 책들을 보면 아이를 꾸짖을 때 부모들이 다른 사람을 들먹이며 꾸짖는 행동을 경계하는 말들이 많이 나온다. 공공장소에서 뛰면 엄마들은 주로 "저기 아저씨기 이놈하시니 뛰지 마라."고 한다. 이런 방식은 그리 좋지 않다는 거다. 하지만, 엄마들이 단골로 사용하는 메뉴 중 하나인 것은 어쩔 수 없다. 작가도 아마 부모들의 이런 마음의 허점을 노려 이 그림을 그렸나 보다.

하지만... 어떤 면에서 나는 이 그림책이 아이들에게 썩 유쾌하지 않을지도 모를 그런 책이라는 생각도 든다. 비슷한 내용이지만, <<벽장 속의 괴물>>은 읽으면서 참 마음이 가벼워졌었다. 어린이집에서 말 안 듣는 친구들을 잠시 가두어 두는(?), 괴물이 나온다는 벽장 속에서, 두 아이가 괴물 때문에 벌벌 떠는 것이 아니라 괴물을 물리치는 이야기. 그 덕분에 아이들은 더 이상 벽장 속의 괴물을 무서워 하지 않지만, 그 이야기 속에는 눈물이 아니라 웃음이 함께 해서 더욱 더 비교가 된다.

나도 이제 아이에게 망태할아버지 이야기는 더 이상 안 써먹어야 겠다. 하긴, 자꾸 써 먹어 봤자, 아이는 또 그 나름으로 적응을 할 테니 별 효과도 없겠지만.

우리 아이가 이 동화책을 가벼운 마음으로 만났으면 하고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