렝켄의 비밀 - 미하엘 엔데 동화전집 1 동화 보물창고 1
미하엘 엔데 지음, 베른하르트 오버딕 그림, 유혜자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참 좋아하는 작가의 단편집이라는 말에 덥석 책을 샀다. 그리고 재미있게 읽었다. 아이들에게는 어쩜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조금 들었다.

단행본 <<마법의 설탕 두 조각>>에서는 주인공 아이의 이름을 ‘룅켄’이라고 아주 어렵게 썼던 기억이 난다. ‘렝켄’이라고 쓰는 것이 훨씬 편안해 보인다.

머리말을 대신하여 쓰여진 <분명히 밝혀 두자면>에서부터 엔데의 매력이 풀풀 풍겨 나오기 시작하더니 별의별 신기한 이야기가 가득하다.

<끈기 최고 트랑퀼라 거북이>도 무척 인상적이었다. 이 책은 단행본도 있으니 저학년 아이들이라도 재미있게 책과 만날 수 있겠다. <<마법의 설탕 두 조각>>과 <<냄비와 국자 전쟁>>처럼 말이다. (2편이 <<마법의 수프>>던데, 아마도 <<냄비와 국자전쟁>>의 다른 제목이지 싶다.)

<조그만 광대 인형>에서는 똑같은 말이 반복하여 나와서 또 읽는 재미를 더한다. 손때 묻은 장난감이 아이들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한 번 더 이야기 해 주는 글이다.

<렝켄의 비밀>은 단행본으로 따로 리뷰를 써 두어서 생략하고.

잘난척쟁이 <벌거벗은 코뿔소>도 엔데 특유의 대단한 풍자가 들어 있다. 동상(겉모습)만 남긴 채 아주 볼품없는 모습의 알맹이만 데리고 도망가는 코뿔소의 모습이 얼마나 우스운지.

<괜찮아요>에서는 잘못된 아이의 행동을 그때그때 지적해 주지 못한 어른이 만나게 되는 봉변을, 자기랑 함께 있는 한 사람들이 자기를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나중에야 알게 된다는 나젤큐스와 눈앞에서 자신을 볼 때만 사람들이 자신을 인식한다는(눈앞에서 사라지면 잊혀지는) 니젤프림. 두 형제는 그러한 운명 때문에 만나지 못하고 사는데...<니젤프림과 나젤큐스>. 이 글을 읽으면서 작가는 정말로 대단히 머리가 좋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혀꼬이는 이야기>는 읽으면 정말 혀가 꼬여서 웃기다.

<모니의 걸작품>도 정말 웃겼는데, 어제 6학년 우리 반 아이가 모니와 같은 일을 해서 나를 웃기게 만들었다. 미술시간, 배색에 대해 공부하면서 티셔츠 접기와 넥타이 접기를 가르쳐 주고, 사인펜과 색종이를 이용해서 색을 멋지게  입혀 보라고 주문을 했다. 색이 ‘티미’하니까 색연필은 절대 쓰지 말라고 했는데, 박모군이 열심히 티셔츠에 색연필 작업을 한 거다. “야, 내가 하지 말라고 했는데, 우째 그래 말을 안 듣냐?” 했더니, 위기모면 대응법을 발휘한다. “위로 색종이 다 붙일 건데요.” 나 원 참~ 색종이 붙일거면 색연필 색칠은 왜 하냐구요? 모니가 한 일이랑 박모군이 한 일이랑 비슷하다. 차이라면 박모군의 일은 선생님에게 ‘‘나, 원, 참~’‘이라는 말을 들었지만, 모니가 한 일은 걸작품의 창조과정이었다는 차이가 있을 뿐. (동심을 잃은 선생 밑에 살고 있는 박모군이 불쌍한 순간이었다.)

마지막 이야기인 <리붐 라룸 빌리 바룸>-정확한 뜻은 모르겠지만, 수염이 긴 할아버지는 빌리의 끊임없는 질문에 짜증내는 법 없이 정말 잘 대답해 주시고, 그리고 이야기의 원점으로 돌아와서 똑같은 질문을 하면 똑같은 답이 나간다며 이야기를 마무리 하신다.

다시 되짚어 보니, 이 책 정말 읽을 만하다. 2편도 조만간 사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