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에서 이야기책까지 - 상상력을 키우는 독서가 진짜 독서!
와키 아키코 지음, 홍성민 옮김 / 현문미디어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의 책읽기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런 류의 책을 즐겨 읽고 있다.

대학교 때까지만 해도 에세이류의 책을 가볍게 읽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제는 조금 더 전문적이 되었다는...ㅋㅋ~

이 책은 아침독서에서 책둥이라는 영유아 신문을 창간하면서 인터파크와 연계하여 유아 독서대를 주는 이벤트를 실시하는 바람에 선물에 눈이 어두워 금액 채우려고 샀던 책이다. 이런 류의 책이 여러 권 소개 되어 있었는데, 책 소개고 뭐고 안 보고 제목만 딱 보고 고른 책이었다.

처음에는 뭐~ 특별할 것도 없다는 느낌이 들어, 책 산 것을 조금 후회했다. 다 아는 이야기 한다는 느낌. 하지만, 끝까지 읽으면서, 역시, 책은 끝까지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책 내용에 많은 것을 공감했다.

똑같이 책 읽지 않는 아이들이지만 옛날 아이들과 요즘 아이들의 차이점이라면, 옛날에는 곳곳에 이야기가 널려 있었지만, 지금은 이야기가 다 죽어 있다는 것.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에서 편해문님은 옛날 아이들은 놀이에 시간 투자를 했지만, 요즘 아이들은 놀지 않는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즉, 이야기 해 주는 어른이 주위에 없고, 아이들은 게임과 TV에 중독되어 시들시들해져 가고 있다는 거다. 그런 아이들에게 책읽기를 권해야 하는 것은 바로 우리 어른들의 몫이라는 말에 밑줄을 그었다.

훌륭한 책은읽기만 해도 쓴 사람의 인간성과 그곳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인간성을 자연스럽게 전해준다. 어린이와 가까운 주위의 어른이 자신이 정말 좋다고 생각하는 책을 어린이에게 전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돕는 것, 그것이 생활문화를 잃은 시대의 우리가 어린이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많지 않은 일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한다.

영유아들을 위한 북스타트 운동을 언급하면서 저자는 그림책이라는 도구가 부모자식간의 즐거운 커뮤니케이션의 도구가 되기에 의미있는 운동이라고 이야기 한다. 아이를 텔레비전 앞에서 놀게 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는 거다. 자꾸 질문하면서 올바른 대답을 강요하는 것은 조심해야 할 일 중의 하나.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주변사람이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잘 읽지 않아도 되며, 아이가 글을 읽을 수 있더라도 읽어주기를 그만두지 말라.

-너무 세밀한 그림은 영화가 그러한 것처럼 글을 읽으면서 아이가 할 수 있는 상상의 길을 방해한다.

-그림책으로 자연스럽게 읽기를 배우기 위해서는 어른 옆에 딱 붙어서 같이 책을 들여다 보면서 이야기를 듣는 것이 좋다. 즉, 아이의 책 읽기에는 유치원선생님보다는 부모가 더 큰 공을 들여야 한다는 거다.

-글자를 읽게 하지 말고 책을 읽게 하라.

-전래동화의 끔찍한 장면들에 대한 작가의 생각 : 등장인물이 괴롭고 힘들어 하면 그것은 슬픈 일, 힘든 일로 느꼈지만 잔혹한 장면들은 대개가 괴로움이나 슬픔을 동반하지는 않는다. 추상적인 사건일 뿐. 어린이는 자신의 키에 맞는 상상을 하기 때문에 괜찮다. 전래동화의 메시지는 단순히 즐긴 것을 만에 담아두면 언젠가 '아, 이런 거였구나.'하고 깨달을 때가 온다는 것.

-뭐든 많이 읽어라는 주문은 아이가 책을 못 읽게 방해하는 중요한 과오 : 대신 좋은 책을 읽어 주고 소개하는 것, 좋고 나쁨을 구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 많이 읽기 보다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천천히 책을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치는 일이다.

-요약 된 책 : 명작이 이런 것이라면 책은 재미없는 것이라는 오해를 하게 하고 책에서 멀어지게 한다.

-위인전은 초등학생 보다는 중, 고등학생이 읽는 것이 좋고, 진실을 왜곡하지 않은 것을 잘 골라야 한다.

-어린이에게 좋은 책은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눈이 따뜻해야 하며 훌륭한 아동문학은 어린이가 어른을 이해하는 가이드북 역할까지 하는 것이라 한다.

-책읽기에서 상상력이란 환상적인 것을 그리는 능력이 아니라 그 자리에 없는 것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능력이다.

-12세 전후의 어린이 : 메타인지(자신의 인지 패턴을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판단하는 능력)가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 인생 최대의 전환기인 이 때 코닉스 버그, 마이, 캐스트너, 린드그랜 등의 작품을 읽으면 큰 도움이 된다.

-자신의 애독서 가운데 '모순이 있어도 재미있다.'고 할 수 있는 작품이 몇 권 있다면 새로운 책을 읽을 때 성급한 판단을 유보하고 우선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줄 쳤던 부분들이다.

작가의 주장 중에 무척 인상적이었던 것은 삽화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예전에 비해 우수한 삽화가가 부족하다고 한다. 우수한 삽화라면 아이들의 글 읽기에 잔잔한 상상력을 발휘 할 수 있게 하는 글읽기의 보조장치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며 글읽기에 방해가 되는 요소(상상력의 방해. 너무 친절한 그림들)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작가는 화려한 그림보다 흑백의 삽화들을 더 높이 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읽은 시공주니어에서 나온 피노키오 책의 삽화가 무척 특이했던 것 같은데... 그 그림이 언뜻 떠 오른다. 호첸플로츠 시리즈의 그림도 그러한 그림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남편이 어린 시절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책이라면서 샀던 호첸플로츠 책을 보면서 정말 좋아했던 것은 옛날에 읽었던 책과 그림이 똑같다는 거였다.

부담없이 가볍게 읽을 수 있어 좋았고, 책읽어주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더 생각하게 해 주어 좋았고, 어린이 그림책의 화려한 그림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접할 수 있어 좋았고, 전래동화에 대한 어른들의 염려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안심할 수 있어 좋았던 그런 책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9-22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자를 읽게 하지 말고 책을 읽게 하라.' 정말 동감이에요~ 글자는 읽었으되 무슨 내용인지 모르는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어요.ㅜㅜ 삽화에 대한 생각도 동감이고요~
전래동화가 아니고 '옛이야기'라고 하자는 서정오선생님 생각에 동의해요. 일본식 표현이 그대로 쓰이는 말이 말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