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소년 과학자 되다 세상을 바꾼 작은 씨앗 3
전신애 지음, 이진우 그림 / 청어람미디어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에 대한 관심은 <<다산의 아버님께>>를 읽고 나서였다. 정약용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지만, 그의 형제관계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이어지는데 그 책에서도 큰형인 정약전에 대한 이야기가 여러 차례 나오고 있어 그의 인간됨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졌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페이지 수가 적고 어린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기에 <<다산의 아버님께>>에 나타난 이야기 보다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기대했던 데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학년 정도의 아이들이 역사 인물을 편안한 맘으로 만날 수 있다는 데에 이 책의 가치를 높이 두고 싶다.

약용은 말한다. 형의 인품이 자신보다 훨씬 높다고. 술친구들만을 벗하는 형에게 학자로서 못마땅함을 표현했지만, 나중에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그들을 보살펴 준 것은 자신의 글벗들이 아니라 형의 술벗들이었기에 형의 사람볼 줄 아는 눈을 높이 칭송했고, 백성들을 가여이 여기는 그 마음을 높이 우러렀다. 책을 지을 때마다 형에게 보여줬고, 형은 책의 서문을 써 주기도 한다.

약용 또한 그러하지만, 정약전 또한 귀양지에서 위대한 책을 남겼으니... 정신세계가 높은 분들은 자신이 어디에 있든지 그것을 한탄하며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는 창조의 발판으로 삼기도 하여 우리를 부끄럽게 만든다. 물론 고난이 없었다면 정약전이 더 큰 저술가가 되었을 지도 모르겠지만, '현산어보'라는 위대한 책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현산어보의 또 다른 저자인 장창대에 대한 언급도 하고 있다. 약전이 자신의 저술을 도울 총명하고 영특한 젊은이를 구했는데, 그가 바로 창대였다. 창대의 힘이 책의 저술에 무척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알려지지 않는 이러한 사실도 알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이 더욱 반갑다.

해배되어 돌아가게 될 동생과의 만남을 생각하며 동생의 발걸음을 조금 더 편안하게 해 주기 위해 흑산도에서 우이도로 다시 나오려고 하나 섬사람들이 말려 몰래 떠나는데, 흑산도 사람이 뒤따라 와서 모셔도 우리가 모시고 가겠다고 해서 흑산도와 우이도 사람들간에 싸움이 벌어지게 된다. 약전은 다시 흑산도로 돌아가 사람들을 설득하는데 1년이라는 시간을 보낸 후 우이도로 올 수 있게 된다. 이를 약용은 이렇게 회고한다.

요즘 세상에 고을 사또가 서울로 영전했다가 다시 그 고을로 돌아오면 고을 백성들이 길을 막으며 못 오게 한다는 소리는 들었어도 귀양살이 하는 사람이 다른 섬으로 옮겨가려는데 본디 있던 곳의 사람들이 길을 막으며 더 있어 달라고 했다는 말은 우리 형님 말고는 들은 적이 없다.

안타까운 것은 약전이 그렇게 그리던 동생을 만나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고야 만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의 위대한 저서는 남아있다. 그런데 그것 또한 존재 사실 조차 모르고 묻혀 버릴 수도 있었다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으니... 선산의 묘지기의 집에서 잠을 자던 약용과 그의 아들은 벽지에서 약전의 필체를 알아본다. 그리고 남아있는 부분을 베껴 쓰게 한 후 직접 정리해 어보의 일부나마 후세에 전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원본은 찾을 수 없고 필사본만 있는 셈이다. (저자는 정약전의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고 있다는 이 이야기도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고 적고 있다.) 정약전은 처음에 도감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나 보다. 하지만, 지금 전해내려오는 것은 이러저러한 이유로 그림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하지만, 그 필사본만으로도 정약전의 어보는 엄청난 것이라 한다. 200년이 지난 지금에나마 그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고 하니 참으로 다행이다.

*지금 사회 시간에 조선후기에 대해 배우고 있는데, <<다산의 아버니께>>와 <<물고기 소년 과학자 되다>>를 아이들에게 권해 볼 생각이다. 이러한 책 속에서 역사를 만나는 것도 참 의미있지 않겠나 생각해 보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5-25 0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이 초등 중학년에게 좋겠네요. 전에 '우리교육 쑥쑥문고 시리즈'의 인물이야기도 좋았어요.
귀양살이에서도 존경받는 저런 어른이 요즘 세상에도 있을거라고 믿고 싶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