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하늘말나리야 - 아동용,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책읽는 가족 1
이금이 글, 송진헌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 반에 이금이 작가의 사인이 든 책이 두 권이 있다.

<<김치는 영어로 해도 김치>>와 <<내 친구 재덕이>>가 그것인데, 반 아이 하나가 저자의 사인행사에 간다고 자랑하길래 교실 책에 사인 하나 받아달라고 했더니 덤으로 책을 하나 더 사서 선물로 주는 것이다. (기특하기도 하여라.)

그 이후 <<유진과 유진>>, <<밤티마을 큰돌이네집>>, 그리고 이 책을 들였다.

국어 교과서에서 <송아지 내기>를 만나던 날, 아이들이 책을 들고 나에게로 와 (수업 시작 전) "선생님, 보세요. 이금이 작가가 지은 거래요." 한다. 그 글의 첫 부분에 고샅이라는 말이 나와 낱말찾기를 아이들과 했는데, 이 책에도 이 단어가 두 번이나 나와서 <송아지 내기>를 떠올리게 했다.

서로 다른 상처를 가진 세 아이-미르, 소희, 바우-가 각각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 나가고, 이들의 상처는 서로를 어루만져 주어 그들을 성장하게 한다. 부모의 이혼으로 갈등을 겪고 있는 사춘기 입문 소녀 미르와 아빠와의 추억이 있어 아빠를 미워할 수 있음을 부러워하는 어른같은 아이, 소희(소희는 너무나도 가진 것이 없지만, 그로인해 소희는 빨리 자라 철이 남보다 더 일찍 들고 그 환경으로 인해 자신을 가꾸어 나간 듯하다.)와 사랑하는 엄마의 죽음으로 어릴 때부터 말을 잃은 아이가 되어 버린 바우! 서로에게 다가가는 시간은 길었지만, 그들의 관계는 그래서 가볍지 않다.

아이들은 자란다. 몇 년 전 5학년을 할 때였다. 우리반 아이 하나는 항상 행복했다. 일기장에 보면 사랑하는 가족의 이야기가 넘쳐 났고, 그리고 표정도 언제나 신이 나 보였다. 나는 그 아이가 참으로 부러웠다. 얼굴도 예쁘고, 공부도 잘 하고, 성격도 좋고, 주변 환경도 너무너무 좋아 행복해 어쩔 줄 몰라하는 아이를 보면서 세상에는 참으로 많이 가지고 행복하게 지내는 아이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좀 더 생각해 보니 그 아이의 가장 큰 보물은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성격인 것 같았다. 똑같은 환경 속에서도 행복한지 모르고 지내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그 아이는 자신이 언제나 행복하다며 생글거리며 웃고 다녔다. 그런 생각을 할 수 있는 힘이 자신을 더욱 더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이겠지?

또 세상 불행은 언제나 자기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아이도 만났다. 하긴 아이가 처한 상황이 굉장히 가슴 아프고 어린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힘들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하지만, 그 속에서도 희망을 만나기를 간절히 바랬다. 그런데, 학년이 끝나 갈 무렵인 지금 이 불행한 아이의 영혼의 상처는 책을 통해 많이 치유가 된 듯하다. 책에서 만난 나보다 더 불행한 아이를 통해 내가 얼마나 행복한 아이인가를 뼈저리게 느꼈다는 아이의 고백을 통해 나는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기를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비슷한 고통을 겪고 있는 아이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그런 책이라 생각된다. 아이들은 책을 통해 자라난다.

**너도 하늘말라리야라는 책 제목이 가지는 의미는 책 속에서 만나보면 될 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