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라, 내 동생 한무릎읽기
빌리 슈에즈만 지음, 김서정 옮김, 민은경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 이가 화자가 되어 이야기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 책은 죽은 이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있어 죽음은 낯설지만, 

어떤 이에게는 또 불쑥 다가오기도 한다. 

엄마가 갑자기 아파서 돌아가신 경우를 지금까지 가르치며 두 번 보았다. 

어떤 말이 위로가 될지 몰라 제대로 된 위로를 건네지 못했다. 

동생을 사랑했던 누나, 

아들을 사랑했던 부모님.

아이의 죽음은 한없이 슬프다. 

벤야민은 자신의 죽음을 알아챈다. 

"어, 내가 죽었네. 심장이 멎었어."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벤야민은 죽었지만 가족 곁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죽은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가족들이 죽은 이를 잊으면 모습이 점점 투명해져 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잊혀진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하지만, 투명해진다는 것이 잊혀지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벤야민의 가족은 벤야민과의 이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어쩌면 끔찍한 고통일 그 시간을 견뎌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 그것이 벤야민의 모습을 투명하게 한다. 

죽은 이의 세계에서 벤야민이 만난 쿠르트는 자신의 죽음이 가족 안에서 슬픔으로 머물고 있어 투명해지지 못한다. 

가족들은 그 죽음을 받아들이고 치유를 받아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다. 

잊히지 못한다는 것은 또 다른 슬픔이다. 

쿠르트의 말을 듣고 벤야민은 투명해진다는 것의 또 다른 의미를 받아 들인다. 

가족은 벤야민의 죽음에 대한 고통을 극복하고 함께 했던 아름다운 순간을 기억할 테니 

완전하게 잊혀지는 것은 아니다. 

벤야민이 가고 없지만 벤야민의 생일 케이크 앞에 가족들은 둘러 앉았다. 

누나는 벤야민이 좋아했던 연을 날리기로 한다. 

벤야민은 그 연을 잡고 날아 오른다. 

연이 날아간다. 

누나인 에스터는 말한다. 

"저기 벤야민이 날아가요."

그리고 또 말한다. 

"잘 가라, 내 동생."

표지에 그려진 연, 그 연을 잡고 날아오르는 아이, 그 모습이 이 마지막 장면과 연결된다. 

이 책의 리뷰를 살펴보면 눈물 콧물 때문에 혼났다는 글들이 보인다.

3학년 꼬맹이가 빌려준 책인데 제법 두꺼워서 며칠 걸릴 것 같다고 했더니 눈이 똥그래지면서 말했다. 

"네에? 저는 이 책 앉은 자리에서 다 읽었는데요."

아이가 엄청 감동적이라며 권했다. 

책을 읽고 감동할 줄 아는 아이! 예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